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03 15:51
[잡담] 한은 "자본유출, 금리보다 국가 리스크 영향 커"…금리인상 늦어지나
 글쓴이 : 부두
조회 : 2,243  

한국은행이 금리인상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네요

뭔가 믿는 구석이라도 있는 걸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바람노래방 18-07-03 16:33
   
개인적 추측,
전쟁리스크가 사라졌다고 보나보네요, 것땜에 자신감이 생긴듯 합니다.
호갱 18-07-03 17:01
   
정말 중국이 망하거나
외인들 돈놀이거나
둘중하나죠. 꼭 걔들 기대에 부응해줄 필요없음 외환보유고도 넘치는데
kira2881 18-07-03 17:16
   
지금 내수경기가 금리 올릴때가 아니죠.

금리 잘못 올렸다간 가랭이 찢어집니다.
노브레인 18-07-03 18:36
   
음 금리를 안올린다 는건 대단한 자심감인데/

금리올리면 가계대출 1500조인가 된다는데

서민들 만 죽어날텐데.

아무튼 저는 지지함.
페레스 18-07-03 21:06
   
무슨 자신감이나 믿는 구석이 있어서가 아니라 지금 상황서 금리 올리면 젓되기 땜에
못 올린다가 올바른 해석 같음
     
Banff 18-07-04 03:19
   
+1 

아직 인플레는 통제가능수준인지라 여유는 있고, 박근혜정권 최경환때 경기부양시킨다고 부동산 부양책으로 워낙 변동금리 주택 대출자를 많이 양산시켜놔서, 금리올리면 부실대출자 양산되어 미국 모기지사태같은 금융위기가 보이는게 크죠. 

근데, 미국이 올 하반기 예정대로 두차례 더 올리면 한국도 따라 올려야지 안그러면 외국자본이 나가고 이를 붙잡기 위해 환률이 더 오르기 때문에 버티기 힘들거에요.
moii 18-07-03 21:07
   
전 안올린다기보단 현상유지로 보입니다.
점진적으로 한반도 전쟁리스크가 감소하여 대외 신용도는 올라가는 상황이라
금리인상으로 인한 원화강세 효과로 저금리 국가들의 투자유치로는 최선의 상황이지만
현시점에서 국내 여러 이슈로 인한 기업환경상 섣불리 인상하기는 상당한 부담이라 판단한 것 같습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멀리뛰기 21-01-02 14:33
   
[잡담] 한은 "자본유출, 금리보다 국가 리스크 영향 커"…금리인상 늦어지나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22
   
[잡담] 한은 "자본유출, 금리보다 국가 리스크 영향 커"…금리인상 늦어지나 감사^^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21
13248 [잡담] 한은 "자본유출, 금리보다 국가 리스크 영향 커"…금리인… (9) 부두 07-03 2244
13247 [과학/기술] '고무처럼 늘어나는' 배터리 제조기술 찾았다 (3) 귀요미지훈 07-03 2096
13246 [자동차] (드뎌) 벨로스터N 서킷 주행 맛보기 (3) 까르페디엠 07-03 1614
13245 [과학/기술] KAIST, AI 기반 드론 자동 이착륙 기술 개발 (3) 귀요미지훈 07-03 1844
13244 [전기/전자] 폴더블폰 개발사에 핵심 투명필름 테스트 공급 중 (8) 귀요미지훈 07-03 3020
13243 [기타경제] 주요선진국 실수령 연봉 순위 (2018년) (16) 스크레치 07-03 4899
13242 [기타경제] 외환보유액, 사상 첫 4000억달러 돌파 (13) 오랑꼬레아 07-04 4037
13241 [자동차] 벨로스터 N (여러 시승기 중에서 제일 보기가 좋은 것 같… (7) 까르페디엠 07-04 3038
13240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8) 귀요미지훈 07-05 3234
13239 [잡담] 오늘 무역전쟁 13;00시 (9) 화금수 07-06 3475
13238 [기타경제] 미국과 중국 무역 관련해서 뉴스를 보고 있는데요. 언론… (9) 승리는우리 07-06 2165
13237 [잡담] 요즘 경제 관련된 이야기 많아서 생각이 들었는데 (11) 전쟁망치 07-06 1972
13236 [전기/전자] 중소형 OLED, 삼성디스플레이 천하…점유율 95% (4) 스크레치 07-06 2059
13235 [전기/전자] 관중 땀구멍까지 또렷이… 8K OLED TV시대 열린다 (9) 스크레치 07-06 2640
13234 [전기/전자] LG, 글로벌 텔레매틱스 시장 1위..하만은 3위 (5) 스크레치 07-06 2995
13233 [기타경제] 아시아 개발도상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11) 스크레치 07-06 3147
13232 [기타경제] 빚더미 中기업… 줄줄이 디폴트 (18) 귀요미지훈 07-07 5687
13231 [주식] 아시아증시 급락...환율도 출렁 '후폭풍' ~ (6) 별찌 07-07 3590
13230 [자동차] 까만형과 벨로스터N, 인제서킷 (4) 까르페디엠 07-07 1846
13229 [기타경제] 중앙+남부 아시아 국부 순위 (2017년) (2) 스크레치 07-07 2434
13228 [기타경제] 무역전쟁에도 미국산 대두 가격 반등 (17) 굿잡스 07-08 3993
13227 [금융] 이명박근혜정부때 발생한 가계 부채때문에 금리인상이 … (50) 스컬리더 07-08 3193
13226 [기타경제] 인도네시아 꼬마들, 뽀로로만 찾아요 (8) 스크레치 07-08 4064
13225 [전기/전자] 대만 HTC, 1500명 해고…애플·삼성 고래싸움에 시장점유율… (18) 스크레치 07-08 5179
13224 [기타경제] 유럽 개발도상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6) 스크레치 07-08 3064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