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5-28 08:49
[기타경제] 인구절벽 위기 가속…‘청년은 떠나고, 신생아는 줄고’
 글쓴이 : 봉대리
조회 : 1,557  

[KBS 춘천]
[앵커]

강원도의 인구절벽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특히, 해가 갈수록 젊은이는 점점 떠나고, 출생아수는 점점 감소하는 2중의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중략.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봉대리 21-05-28 08:49
   
유장만 21-05-28 08:54
   
강원도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문제인데 0.88 ㅠㅠ
     
봉대리 21-05-28 09:01
   
이걸 어떻게 풀어야 할지 난제네요.  한국이 어디 유럽같은 평화로운 곳에 있으면 인구감소도 별로 신경안쓰이겠는데 양옆으로 인구대국 도적넘들이 있으니 경제적으로 문제지만 안보상으도 큰문제입니다.
롤랑디앙 21-05-28 09:04
   
이슬람난민이나 흑인 받아들이기 싫으면 통일 말고는 답이 없음
평당1억 21-05-28 09:09
   
인구절벽 얘기가 나온게 벌써 10년은 된듯. 그럼에도 계속 나빠지고 악화되서 결국 민족소멸이란 결과까지 도출되고 있다는것은 한국이란 나라가 문제를 다루는데 심각하게 무능하거나 아님 하늘이 정한 "운명"이라 바꿀수 없다는 뜻. 개인적으론 한국처럼 기복신앙심한곳에서 하늘이 버린것 같진않으니 "전자"가 이유인것 같음. 이번 정권에서도 출산율 올리라고 했더니 "비혼"을 내미는 등신짓을 하는 꼬라지를 보고 있자니....그냥 정책권자들이 아무 생각이 없다고 봄. 엊그제 정부가 밀어붙히는것 처럼 인간들 없으면 중국인에게 국적 줘서 쪽수 채우면 그만이라고 보고 있는듯. 인구 감소는 기업으로 따지면 "매출감소"로 볼수가 있는데...10년이상 매출감소가 지속되며 부도가 현실화 되는 상황에 경영층이 "매출증대"에 아무 생각이 없다는것은 망할게 뻔한 회사란 그림밖에 안나옴.
     
VㅏJㅏZㅣ 21-05-28 10:06
   
인구감소 얘기는 80년대 후반부터 나온 얘기임
산업화 될 수록 출산율은 급격히 감소하는 거
인구감소율이 제일 급격했던 때가 박정희, 전두환 30년
          
가세요 21-05-28 10:16
   
지금이 최고아닌가요?
               
할게없음 21-05-28 20:33
   
당연하지 우리 세대가 한창 대학가고 사회 배울 때 티비에서 나오는 게 맨날 한녀 된장녀 소리였고 결혼하면 인생 망한다 이야기 하고 학자금 대출은 대출대로 문제고.. 이미 1명대 진입한 게 80년대부터고 1.0x대 진입한지도 10년이 훨 넘었고 코로나와 사회 문제등이 계속 이어져 오면서 더 감소한 것 뿐. 특히 작년부터는 코로나 때문에 비단 한국 뿐만 아니라 대부분 나라가 출산율 감소 했음. 00년대부터 브레이크 잡았어야 하는 부분인데 지난 대통령들 모두가 해내지 못한 똥을 이제 와서 치우라고 하는 것도 웃길 뿐이고. 보수고 진보고 대통령 4명이나 바꼈고 2명씩 지나왔는데 아무도 해결 못했음. 근데 왜 문재인 대통령만 그걸 해결 못한다고 욕 먹어야 함? 앞으로 누가 대통령 된다고 출산율 오를까? 집주고 돈 주면 애 낳을 거 같음? 아직 이런 착각 하는 사람들 때문에 안 되는 거임. 난 5억 있어도 애 안낳음 그돈으로 내 혼자 겜하고 놀러다니고 맛있는 거 먹고 나한테만 오로지 시간 쓸 수 있는데 애 낳으면 그 돈과 시간 에너지 다 뺏기는데 누가 낳음? 그게 요즘 우리 세대의 마인드임. 난 다음에 나경원이나 황교안 홍준표가 대통령 된다고 해도 최소한 출산율 부분은 욕 안 할 거임. 출산율 문제 정말 중요한 문제인 건 맞지만 그건 누가 어떻게 한다고 해결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그렇다고 노력 하지 말라는 건 아니지만 애초에 다이나믹한 결과를 낳을 수 없는 문제란 거임. 그냥 개개인의 마인드가 바뀌는 그날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음. 어차피 우린 통일이란 최후의 수단도 있고
토미 21-05-28 09:13
   
결혼해서 아기를 낳으면 해택을 확실히 준다면.
특히 애를 안심하고 오후7시까지 저렴한 가격이든 무료든 맡아주고
애 놓으면 천만원 주고
교육은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그리고 애 한명당 월 50만원씩 지급

이러면 출산율이 안오를까?
그리고 출산하면 임대주택 당연히 1순위.
청약 1순위로.

그럼 결혼해서 애놓고 사는게 해택이 많으니 결혼도 할려고 그러고 특히
아파트청약 1순위라면 많이들 하겠구만..그 욕심이 생겨서라도.

지금같이 쓸데없는데 돈을 천문학적으로 쓰지말고 출산을 위한 정책에 집중해야 할듯.
     
flowerday 21-05-28 09:22
   
안오름.
청약 1순위하면 뭐합니까. 집값 갑으려면 애는 꿈도 못꾸는데.
지방을 어떻게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드느냐가 관건.
교육, 의료, 직장 그 3가지가 만족된다면야... 물론 쉽지안겠지만 그만큼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가야할 듯.
          
토미 21-05-28 09:37
   
지방으로 이주는 더 현실성이 없음.
지금 부동산 청약하면 경기도 일대 평당 천이백정도
29평이면 3억6천
두사람 맞벌이하면 월소득 500정도 잡으면
35년상환하면 윌 부담 얼마안됨.

문제는 청약이 아니고 올란가격으론 6억대는 대출막아놓고
하니 살 엄두가 안남.
계산상 맞벌이하고 그러기 위해선 반드시 자녀를 맡아줄
제도가 필요함.
맞벌이하다 포기하는게 애들대문임.
맞벌이하고 분양가로만 해서 대출풀면
충분히가능.
아파트말고 빌라는 더 쉽고
디비디비딥 21-05-28 09:21
   
많이 낳도록 하는 것도 있지만
고아원이나 미혼모들같이
이런쪽 인구를 지원해 줘야죠.
이미 태어난 아이들 좌절하지 않도록.
외국인보다 백배천배 귀한 인재가 될텐데.
     
봉대리 21-05-28 09:26
   
이제 해외에 애기들 입양보내는건 금지했으면 좋겟습니다.
KKIRIN 21-05-28 09:45
   
무슬림화 하면, 자식은 많이 낳을겁니다.
컬링 21-05-28 09:53
   
음... 강원도가 관광지가 뜨면서? 제주도 처럼 인구가 많이 늘었다고 생각했는데 아닌가 보군요.
노세노세 21-05-28 10:57
   
북한도 인구가 안느는 거 보면 통일된다 해도 인구절벽은 계속 될 듯;;
우리나라는 인구감소 이유가 너무 많아 해결이 힘든거 같은데요...
예로...비정규직..이것 하나도 해결하기 불가능...기업 입장에선 너무 좋은 시스템이라 절대 버리지 못함...
오죽하면 다음생엔 정규직...대기업기준 생산직 경우 10~30%정도 정규직이고 나머진 하청비정규직...
비정규직은 직업에 대한 만족감이 많이 떨어지고...결혼에도 지장을 많이 미치게 되죠..
단지 이 하나만 해도 해결방법이 없는데...
nux03 21-05-28 11:11
   
주택 공급 문제는 확실히 개선이 필요함 요.

요즘 애들 말로는

첫 번째, 결혼식은 하지만 혼인신고는 하지 않는다고 함요.
왜? 혼인신고 하면 1가구 1청약, 하지 않으면 각각 2청약 가능하다고 하네요.
즉 그만큼 청약 당첨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네요.

신혼부부 주택공급은 현재 공급도 문제이지만,
신혼부부가 직장문제 등등 원하는 지역과는 맞지 않아서 선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두 번째, 혼인신고를 하지 않으니 서로의 의견이 달라서 언제 헤어질지 등등 미래가 불안하고
또 양육비, 육아로 인해서 몫돈 마련이 더욱 어려워지니 아예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주택 당첨 또는 내집 마련 이후에 혼인신고를 하고 아이를 낳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뭔가 해결책이 조금이나마 보이지 않습니까?
젊은이들이 안정적으로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살 수 있게 하는 제도적인 정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아마도 이 문제는 개선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할게없음 21-05-28 20:38
   
이렇게 인터넷이 발달하고 SNS나 유튜브로 국경을 넘어선 사회에서 출산율이 오른다는 건 불가능에 가까움. 우리나라가 유독 심하지만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임. 중국만 봐도 개도국이 우리 개도국 시절보다 더 급격한 저출산에 시달리고 있음. 쟤네만 그런가? 아님 님들 알고 있음? 동남아 출산율도 미끄럼틀 그 자체임. 태국은 이미 1명대 진입한지 오래고 말레이도 1명대 진입하고 있고 필리핀 인도네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이런 나라들도 계속 급격한 내리막길 타고 있음. 1명대가 머지 않았음. 재네 1인당 GDP 2천~3천달러 이런데도 말임. 심지어 베트남조차 얼마전까지 1명대였음. 거기다 대만은 이미 우리보다 인구감소 훨 빨리 시작했었죠. 그게 현재 시대의 흐름이에요. 우리나라가 유행이 왜 빠른데요? 누구보다 흐름을 잘 캐치해서고 무슨 사회 현상이 나오면 그걸 다른 나라들보다 먼저 더 급격하게 받아 들여서 그런 거임. 이런 건 정부가 어떻게 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님..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413
13215 [전기/전자] 삼성SDI, 2027년 전고체 배터리 대량 양산 계획 (17) 스크레치 05-30 4423
13214 [자동차] 제네시스 GV80 두바이 경찰차로 변신..럭셔리카 대열 합류 (2) 스크레치 05-30 3145
13213 [과학/기술] 러시아 백신 스푸트니크V 국내 대량 생산 초읽기 돌입 (9) 스크레치 05-30 3015
13212 [전기/전자] 반도체 기업 1, 2위 TSMC-삼성전자 격차 더 커졌다 (13) 대팔이 05-30 3626
13211 [전기/전자] 화웨이 해외지사, 악성코드 경유지로 이용…보안 소홀 … 캡틴홍 05-30 2094
13210 [기타경제] 세계10대 군사경제력 순위 현황 (2020년) (10) 스크레치 05-30 5518
13209 [자동차] 日소니 전기차시장 뛰어드나..연내 日내 도로 실증시험 (13) 스크레치 05-29 3324
13208 [기타경제] 韓 식품수출 '역대 최고'..라면·김치·떡볶이 ↑ (2) 스크레치 05-29 1817
13207 [과학/기술] SK바사 내년 상반기 '국산 백신' 한국에 우선 공급 (10) 스크레치 05-29 2089
13206 [기타경제] 코로나기간 명품업체 韓·中이 먹여살렸다 (6) 스크레치 05-29 1661
13205 [기타경제] 코스타리카 '선진국클럽' OECD 문턱 넘었다 (14) 스크레치 05-29 3646
13204 [전기/전자] 인텔 부진, 삼성 반격..더 치열해진 '반도체 왕좌'… (1) 스크레치 05-29 1464
13203 [기타경제] 호주 수출늘린 韓 정유사, 웃을 수만은 없는 이유 (2) 스크레치 05-29 2139
13202 [자동차] "삼성 보고 있나?" 기아차, 고객에 '애플워치' 뿌… (3) 스크레치 05-29 2225
13201 [잡담] 세계 반도체 산업 현황 (4) 강남토박이 05-29 1719
13200 [기타경제] 韓 세계10대 경제대국 진입역사 (IMF) (10) 스크레치 05-29 2769
13199 [주식] 대한민국 경제와 주식시장 그리고 나와의 관계 (1) 지팡이천사 05-29 1311
13198 [기타경제] 韓美 경제동맹 불안한 中, K반도체·배터리에 손내민다 (21) 스크레치 05-29 6162
13197 [기타경제] 일본 해상서 한·일 화물선 충돌…日선박 침몰로 3명 실… (16) 봉대리 05-29 4783
13196 [기타경제] 韓 샤인머스켓 中서 인기..일본에 돈 낼까? (5) 스크레치 05-28 5501
13195 [전기/전자] LG, AI 스타트업 펀드에 220억 투자 (2) 스크레치 05-28 1163
13194 [기타경제] 홈술도 고급지게 한잔 '캬~'..바람 탄 수제맥주 대… (1) 스크레치 05-28 960
13193 [기타경제] 1분기 '역대급 수출' 비결 있었네.. G20 상품 수출 … (2) 스크레치 05-28 2147
13192 [전기/전자] 삼성전자, 매출 1조 넘는 강소협력사 9곳 K-반도체 생태계… (2) 축신 05-28 1845
13191 [잡담] SK, 일본 중소 반도체기업 인수위한 투자 회사를 설립 축신 05-28 954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