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3-05 18:29
[과학/기술] 원자력硏,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반 내열 합금' 신기술 개발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1,753  

http://v.media.daum.net/v/20180305120041910
국방·에너지·항공우주 산업 핵심소재로 무한대 활용 가능 기대

국내 연구진이 항공기 엔진이나 가스터빈 부품과 같이 고온의 열을 견뎌야만 하는 핵심 부품 소재를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활용,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활용, 기존 대비 성능은 높이면서 20배나 빠르게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을 만들 수 있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3D프린팅기반의 내열 합금 신기술 개발을 이끈 김현길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공정을 지켜보고 있다./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세계 최초로 '3D프린팅기반의 내열 합금 신기술 개발을 이끈 김현길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공정을 지켜보고 있다./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이 기술은 원천성을 인정받아 현재 국내를 포함, 미국·일본·유럽(프랑스) 등지에 특허 등록을 완료한 상태다.

'산화물 분산강화(ODS)' 소재는 내열이 필요한 모든 금속 재료에 고온에 강한 산화물을 섞어 만든 합금이다.

현재 비행기 엔진, 원자로 부품, 가스 터빈, 미사일 노즐 등과 같이 고온 강도와 내열성이 필수적인 국방·에너지·항공우주 산업분야 등에서 핵심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존 '산화물 분산강화' 기술은 금속과 산화물을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혼합한 후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됐다.

또 초기 재료 단계에서 강화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최종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미 강화 공정을 거쳐 강도가 크게 증가 된 합금을 재료로 쓸 수밖에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데 적잖은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신기술은 최종 제품을 만든 후 제품 금속 표면에 산화물 입자를 도포하고 3D 프린터의 레이저 열원으로 금속을 녹이면서 동시에 산화물 입자를 혼합, 냉각해 금속 내부에 내열층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산화물 입자를 금속 내부에 고루 분포시키면서 가공 시간과 비용을 기존 기술 대비 20분의 1로 단축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만 강화할 수 있어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원의 하재주 원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원자로 수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한 이 기술로 제작한 핵연료 피복관의 경우 1200℃의 고온에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아 핵연료의 안전성을 5배 정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핵연료 피복관 시장만 국내 연 500억 원, 세계 1조 원 규모에 달하고 있어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내열 금속의 수입대체 및 수출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테판 18-03-05 23:47
   
오...어디든 이렇게 묵묵히 자기일 하시는 분들때문에 대한민국이 돌아갑니다.ㅜ
자파리 18-03-06 10:38
   
불철주야 어려운 길을 묵묵히 가는 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원천 특허가 더욱 많이 확보되길 기대해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09:35
   
[과학/기술] 원자력硏,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반 내열 합금' 신기술 개발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3:55
   
[과학/기술] 원자력硏,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반 내열 합금' 신기술 개발 잘 읽었어요~
 
 
Total 16,5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92
13151 [전기/전자] 삼성 中시안2공장 증설..통큰 투자로 연내 가동 속도전 (6) 스크레치 08-04 1753
13150 [잡담] 걍 마이크론이 덤핑 ㅈㄴ 한 건데 강남토박이 05-26 1753
13149 [과학/기술] 원자력硏,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반 내열 합금' … (4) 진구와삼숙 03-05 1754
13148 [과학/기술] 성균관대 권대혁 교수팀, '바이러스 스스로 죽게 하… (4) 진구와삼숙 01-15 1754
13147 [기타경제] 철강에 AI 적용.. "2025년 세계 최고의 디지털 철강 강국" (1) 스크레치 02-08 1754
13146 [기타경제] 현대重·삼성重, 단골손님 그리스 선사에 LNG운반선 1척씩… (1) 스크레치 04-08 1754
13145 [금융] 연준, 사모펀드 악용 1조3천억달러 레버리지론 경고 (2) 뮤직클럽 11-10 1755
13144 [잡담] 국내외 악재에 ‘쌍둥이 적자’까지… 경제 펀더멘털도 … (53) 델리알리 06-03 1755
13143 [기타경제] 아시아 최저임금 순위 (시급 기준) (6) 스크레치 07-16 1755
13142 [기타경제] 한달새 -5%, 올들어 -15%, 원화 가치 ‘뚝뚝’…환율 1500원 … NIMI 09-25 1755
13141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초대형 LNG선 2척 수주 임박 (7) 스크레치 06-04 1756
13140 [기타경제] 中 1인당GDP 1만달러대 지켜, 코로나 제압 '중국굴기�… (5) 스크레치 03-05 1756
13139 [잡담] 미얀마 임시정부,포스코 사업중단 공식요청 (6) 유기화학 03-27 1756
13138 [기타경제] 비비고 국물요리 韓넘어 세계 입맛 사로잡았다 (3) 스크레치 05-17 1756
13137 재팬디스플레이, 은행에 1조 지원 요청…일부 공장 정지… (5) 스크레치 07-28 1758
13136 [과학/기술] 알리바바,슈퍼컴보다 1억배 빠른 컴퓨터 도전 (3) 답없는나라 03-08 1758
13135 [전기/전자] 드디어 '노캔' 기능 장착?..삼성 '갤럭시 버즈 … (5) 스크레치 04-17 1758
13134 [기타경제] 韓수출 완전히 살아났다..당분간 회복세 이어질 듯 (3) 스크레치 03-01 1758
13133 [과학/기술] 네이버, 작년 R&D에 영업이익보다 많은 1조 3321억원 투자 (7) Architect 03-23 1758
13132 [주식] 10대 증권사, 3분기 누적 순이익 7조원 안팎 예상(종합) (1) 키륵키륵 11-11 1758
13131 [자동차] '이대로만 나와라' 애플다운 애플카 (7) 스크레치 01-24 1759
13130 [자동차] 현대차가 투자한 英전기차 업체, 나스닥 데뷔..130억달러 … (1) 스크레치 03-26 1760
13129 [전기/전자] 충격! LG 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망한 이유 (4) 이름없는자 04-07 1760
13128 [기타경제] "역시 情이다" 오리온의 착한 가격 정책에 네티즌 응원 &#… (2) 스크레치 08-27 1760
13127 [전기/전자] 삼성 갤럭시S22 FE, 디멘시티 9000탑재예정? (1) 리얼백 03-25 1760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