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13 12:35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GDP 변화양상 (1980년~2023년)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5,646  

현재 주요 선진국 가운데 

대한민국과 인구, 1인당 국민소득, 경제규모등이 가장 유사한 나라가운데 하나인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현재 서방선진 7개국 (G7) 회원국 중 하나로 

1975년 G7 중 6번째로 가입을 하였습니다. (7번째 국가는 1976년 캐나다) 


현재도 세계 주요 선진국이면서 

유럽대륙 4위의 거대한 경제규모를 자랑합니다. 





대한민국과 이탈리아의 역대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대한민국 - 이탈리아 인구 현황> (2018년)




1. 대한민국 (5163만 5000명)

2. 이탈리아 (5929만 1000명) 








<대한민국 - 이탈리아 명목 GDP 변화 양상> (2018~2023년) (IMF) 



2018년 (대한민국 - 1조 6932억 46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1819억 7000만 달러)

2019년 (대한민국 - 1조 7776억 50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2614억 5600만 달러) 

2020년 (대한민국 - 1조 8639억 97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3402억 4600만 달러)

2021년 (대한민국 - 1조 9574억 35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4106억 5400만 달러)


2022년 (대한민국 - 2조 553억 57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4849억 8400만 달러)

- 대한민국 사상 최초 명목 GDP 2조달러 돌파 


2023년 (대한민국 - 2조 1546억 4900만 달러) (이탈리아 - 2조 5542억 2300만 달러) 















[주요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 이탈리아 역대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IMF) 



1980년 (대한민국 - 1704 달러) (이탈리아 - 8555 달러) (이탈리아가 대한민국의 약 5배)

1981년 (대한민국 - 1870 달러) (이탈리아 - 7746 달러)

1982년 (대한민국 - 1978 달러) (이탈리아 - 7649 달러)

1983년 (대한민국 - 2181 달러) (이탈리아 - 7932 달러)

1984년 (대한민국 - 2391 달러) (이탈리아 - 7837 달러)

1985년 (대한민국 - 2457 달러) (이탈리아 - 8090 달러) 

1986년 (대한민국 - 2803 달러) (이탈리아 - 1만 1456 달러) (이탈리아 사상 최초 1만달러 돌파) 

1987년 (대한민국 - 3511 달러) (이탈리아 - 1만 4379 달러)

1988년 (대한민국 - 4686 달러) (이탈리아 - 1만 5927 달러)

1989년 (대한민국 - 5737 달러) (이탈리아 - 1만 6553 달러)

1990년 (대한민국 - 6516 달러) (이탈리아 - 2만 642 달러) (이탈리아 사상 최초 2만달러 돌파)

1991년 (대한민국 - 7523 달러) (이탈리아 - 2만 1785 달러)

1992년 (대한민국 - 8002 달러) (이탈리아 - 2만 3106 달러)

1993년 (대한민국 - 8741 달러) (이탈리아 - 1만 8564 달러)

1994년 (대한민국 - 1만 206 달러) (이탈리아 - 1만 9141 달러) (대한민국 사상 최초 1만달러 돌파)

1995년 (대한민국 - 1만 2333 달러) (이탈리아 - 2만 607 달러)

1996년 (대한민국 - 1만 3138 달러) (이탈리아 - 2만 3033 달러)

1997년 (대한민국 - 1만 2132 달러) (이탈리아 - 2만 1809 달러)

1998년 (대한민국 - 8085 달러) (이탈리아 - 2만 2282 달러)

1999년 (대한민국 - 1만 409 달러) (이탈리아 - 2만 1968 달러)

2000년 (대한민국 - 1만 1948 달러) (이탈리아 - 2만 113 달러)

2001년 (대한민국 - 1만 1253 달러) (이탈리아 - 2만 420 달러)

2002년 (대한민국 - 1만 2783 달러) (이탈리아 - 2만 2289 달러)

2003년 (대한민국 - 1만 4209 달러) (이탈리아 - 2만 7489 달러)

2004년 (대한민국 - 1만 5908 달러) (이탈리아 - 3만 1240 달러) (이탈리아 사상 최초 3만달러 돌파)

2005년 (대한민국 - 1만 8640 달러) (이탈리아 - 3만 1959 달러)

2006년 (대한민국 - 2만 888 달러) (이탈리아 - 3만 3340 달러) (대한민국 사상 최초 2만달러 돌파)

2007년 (대한민국 - 2만 3061 달러) (이탈리아 - 3만 7685 달러)

2008년 (대한민국 - 2만 431 달러) (이탈리아 - 4만 689 달러) (이탈리아 사상 최초 4만달러 돌파)

2009년 (대한민국 - 1만 8292 달러) (이탈리아 - 3만 6850 달러)

2010년 (대한민국 - 2만 2087 달러) (이탈리아 - 3만 5658 달러)

2011년 (대한민국 - 2만 4080 달러) (이탈리아 - 3만 8003 달러)

2012년 (대한민국 - 2만 4359 달러) (이탈리아 - 3만 4470 달러)

2013년 (대한민국 - 2만 5890 달러) (이탈리아 - 3만 5220 달러)

2014년 (대한민국 - 2만 7811 달러) (이탈리아 - 3만 5457 달러)

2015년 (대한민국 - 2만 7105 달러) (이탈리아 - 3만 163 달러)

2016년 (대한민국 - 2만 7535 달러) (이탈리아 - 3만 662 달러)

2017년 (대한민국 - 2만 9891 달러) (이탈리아 - 3만 1984 달러)

2018년 (대한민국 - 3만 2775 달러) (이탈리아 - 3만 5914 달러) (대한민국 사상 최초 3만달러 돌파)

2019년 (대한민국 - 3만 4269 달러) (이탈리아 - 3만 7232 달러)

2020년 (대한민국 - 3만 5788 달러) (이탈리아 - 3만 8543 달러)

2021년 (대한민국 - 3만 7430 달러) (이탈리아 - 3만 9719 달러)

2022년 (대한민국 - 3만 9143 달러) (이탈리아 - 4만 966 달러)

2023년 (대한민국 - 4만 867 달러) (이탈리아 - 4만 2133 달러) 












- 1980년 약 5배에 달했던 대한민국과 이탈리아 국민소득 격차는 

이제 최종예상은 약 1200달러 차이로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사실 불과 작년 IMF 예상으론 2019년에 대한민국이 이탈리아를 역전시키는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올해 4월 예상은 아무래도 유로화 강세 환율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반영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작년 2017년 IMF 4월 기준 대한민국 - 이탈리아 국민소득 예상은> 



2019년 (대한민국 - 3만 1180 달러) (이탈리아 - 3만 942 달러) (대한민국 첫 이탈리아 역전) 

2020년 (대한민국 - 3만 2348 달러) (이탈리아 - 3만 1658 달러)

2021년 (대한민국 - 3만 3583 달러) (이탈리아 - 3만 2298 달러)

2022년 (대한민국 - 3만 4832 달러) (이탈리아 - 3만 2865 달러) 





이렇게 작년 예상치엔 대한민국이 최대 2천달러 가까이 이탈리아를 국민소득 격차에서 벌리는것으로 

나왔을 정도로 



이제 대한민국과 이탈리아는 양국 환율 상황에 따라서 앞으로 

엎치락 뒤치락 하는 관계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3% 내외의 경제성장률, 이탈리아는 0~1%로 선진국 중 일본과 함께 최하위권이라 

사실 경제성장률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큰 이변이나 세계경제에 충격을 줄만한 큰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면 

이탈리아가 대한민국에 역전당하는것은 

어찌보면 시기가 언제냐 정도만 남은 기정 사실화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08-13 17:12
   
IMF의 2018 ~ 2023 GDP 예상을 보면 매년 최소 3% 이상씩 늘어나는데...

국내외 기관들이 예측하는 이 기간의 (환율요소 배제) 경제성장율만으로 보자면
한국의 경우 얼추 비슷하게 달성이 가능한 수치인데, 이탈리아의 경우에는 (유로화 가치가 계속 올라가지 않는 한) 경제 성장율만으로는 달성이 불가능한 수치로 보이네요.
     
스크레치 18-08-14 23:14
   
예 그럴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유진아범 18-08-13 17:52
   
이탈리아 문제가 머냐면 ..
주수입원이 되는 산업중에
고급자동차랑 명품관련사업이
점점 어려워진다는것임

차가 전기차쪽으로 넘어가는 추세라
전통방식엔진이 대세인 이태리는
영향을 받을것이고

패션관련산업이 중국자본이 들어와
중국이민자들에 의해 양적팽창만
늘어나서 저급화 되고있는 시점임
요즘 이태리 메이커가 좀더 저렴하게
풀리는 이유임 . 말이 메이드인 이태리지
실지는 그냥 메인드 차이나임 ..

결국 예상치보단 못나올거임 ..
     
스크레치 18-08-14 22:27
   
이탈리아의 명품산업은 프랑스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죠

자동차 이름만 들어도 가슴떨리는 람보르기니 등등


이탈리아가 명품산업의 이미지가 있긴 하지만


이탈리아 북부지방은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입니다.

이탈리아의 기계공업이나 이런것도 유럽에서 최고 수준이구요



하지만 대한민국 만큼의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은 또 아니긴 하죠



중국자본이 참 여기저기 문제입니다. 요즘
미데카아 18-08-13 23:17
   
제가 무식한지 모르지만.
이태리가 저렇게 GDP 규모가 큰지 몰랐네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은것도 아니고.
아무리 EU 주요국가래 하더라도. 저렇게 먹거리가 있는 줄 몰랐네요.
     
스크레치 18-08-14 22:28
   
지금으로부터 무려 40년전에 서방선진 7개국 모임 G7에 가입했던 나라입니다.

최근에야 대한민국이랑 엇비슷해져서 이렇게 비교당하고 있긴 하지만


과거에는 비교당하는게 이탈리아 굴욕이었을겁니다.
니내아니 18-08-14 16:57
   
터키발 악재로..우리도 좀 약간은 여파가 오겠지만 올해 거의 엇비슷해질것 같다는 예측입니다
     
스크레치 18-08-14 22:29
   
예 유로화도 급락중이라

올해 환율은 어떻게 반영될지가 궁금하긴 합니다.


현재 달러 빼곤 다 급락중이라

(뭐 터키, 아르헨티나, 러시아 같은곳은 너무 최악으로 급락이라 문제인것이고)
자그네브 18-08-14 19:37
   
저도 2023년 이전에 역전할거라 생각합니다.
가까운 미래에 이탈리아에 1인당 GDP역전, 캐나다에 GDP역전, 일본에 연간수출액 역전 요거 3가지 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스크레치 18-08-14 22:29
   
현실적으로 고 3개가 일단 가까운 시일내에 대한민국이 도전해볼 목표치이긴 합니다.
멀리뛰기 21-01-02 14:38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GDP 변화양상 (1980년~2023년)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29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GDP 변화양상 (1980년~2023년) 좋은글~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86
13106 [기타경제] 중국 총부채 33조 달러···GDP 대비 304% '경계 수준' (9) leahgotti 08-09 3650
13105 [자동차] 현대·기아차 점유율, 수입차 포함해도 70% (7) 스크레치 08-09 1799
13104 [자동차] 일본車 '품질 신화' 송두리째 흔들…닛산·스바루… (4) 스크레치 08-09 2493
13103 [기타경제] [삼성 180조원 투자 특집] 삼성 130兆 ‘통 큰 국내투자’… (7) 스크레치 08-09 1803
13102 [기타경제] 4대그룹 총 투자규모 현황 (14) 스크레치 08-09 2633
13101 [기타경제] 올 2분기 일본 기업중 순이익 1위는 도요타 아닌 도시바. (13) 블랙미스릴 08-09 3637
13100 [기타경제] 미 주간 실업신청, 무역마찰에도 오히려 줄어 21만3000명 (3) leahgotti 08-09 1400
13099 [잡담] 아베 공적자금 660조 주식에 투자했다는데... (12) 파워레이서 08-10 3391
13098 [기타경제] 저무는 日조선업…아이치조선소 완전 폐쇄 (13) 진구와삼숙 08-10 3697
13097 [주식] 유럽증시 급락 중 (6) leahgotti 08-10 3149
13096 [자동차] 재계 1,2위 삼성·현대차, 자율주행차 힘 합칠까 (10) 스크레치 08-11 2603
13095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차세대 '4D낸드'로 메모리반도체 기술… (10) 스크레치 08-11 3272
13094 [기타경제] 日재해 속 빛난 네이버 라인…먹통 된 전화 대신 활약 (9) 스크레치 08-11 4299
13093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인구 현황] 최신 2018년 기준 (10) 스크레치 08-11 3819
13092 [기타경제] 한화그룹, 5년간 22조 투자..3.5만명 일자리 창출 약속 (8) 아로이로 08-12 1849
13091 [전기/전자] 닛산 신형 리프에 LG 배터리 탑재 (9) 스크레치 08-12 2779
13090 [기타경제] "한류 확산중" 日언론 "한국방송콘텐츠 수출액, 일본의 6… (16) 스크레치 08-12 4715
13089 [기타경제] 한국, 국제회의 개최 순위 2년 연속 세계 1위 (6) 귀요미지훈 08-12 2806
13088 [전기/전자] 역대 최고 스펙 '갤노트9'…어떤 부품 들어갔나 … (15) 스크레치 08-12 3889
13087 [기타경제] 도시바 미 lng 사업 손실액 메모리 매각 이익으로 처리. (7) 블랙미스릴 08-13 3622
13086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GDP 변화양상… (12) 스크레치 08-13 5647
13085 [잡담] 대만의 자존심 기업의 매출액 (19) 축신 08-14 4910
13084 [기타경제] 1-7월 한, 중, 일 선박수주 동향 (3) 귀요미지훈 08-14 2022
13083 [기타경제] 글로벌 배터리 전쟁.."한국이 가장 앞서 있다" (6) 귀요미지훈 08-14 2982
13082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신소재 개발 (6) 귀요미지훈 08-14 2606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