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20 19:27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중남미 전체 국부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962  

대한민국과 


중앙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대륙 전체 국부 현황 비교 




현재 남미 대륙 전체보다도 국부가 많은 대한민국 


여기에 멕시코와 카리브해 연안국가등 중앙아메리카 국가들까지 

모두 합쳐야 대한민국 전체 국부와 유사해 지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17년 대한민국과 중남미대륙 전체 국부 비교> 




[국부 비교] (2017년) (크레디트 스위스) 



- 대한민국 (6조 5861억 달러)  (* 북한 : 436억 달러) 

- 중남미대륙 전체 국부 총합 (7조 9257억 달러) 






[인구 비교] (2017년) 



- 대한민국 (5118만 1299명)

- 남미대륙 전체 인구 총합 (6억 4601만 3697명) 





[면적 비교] 



- 대한민국 면적 (10만 210) 

- 중앙 + 남아메리카 대륙 전체 면적 (2133만) 











<2017년 중남미대륙 국부 순위> (크레디트 스위스) 



* 대한민국 (6조 5861억 달러) 

* 북한 (436억 달러) 






1. 브라질 (2조 5450억 달러)

2. 멕시코 (1조 8347억 달러) 

3. 칠레 (6866억 달러)

4. 콜롬비아 (6433억 달러)

5. 아르헨티나 (5612억 달러)

6. 페루 (5452억 달러)

7. 쿠바 (1663억 달러) 

8. 에콰도르 (1322억 달러)

9. 도미니카 공화국 (1221억 달러)

10. 코스타리카 (1038억 달러)

11. 우루과이 (996억 달러)

12. 베네수엘라 (913억 달러)

13. 과테말라 (673억 달러)

14. 파나마 (607억 달러)

15. 엘살바도르 (572억 달러)

16. 파라과이 (427억 달러)

17. 온두라스 (395억 달러) 

18. 볼리비아 (367억 달러)

19. 자메이카 (186억 달러)

20. 아이티 (178억 달러)

21. 트리니다드 토바고 (140억 달러)

22. 니카라과 (122억 달러) 

23. 바하마 (117억 달러)

24. 바베이도스 (47억 달러)

25. 가이아나 (25억 달러)

26. 벨리즈 (22억 달러) 

27. 수리남 (21억 달러) 

28. 세인트루시아 (18억 달러)

29. 앤티가 바부다 (15억 달러)

30. 그레나다 (12억 달러)

31. 도미니카 연방 (12억 달러)

32.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9억 달러) 












<2017년 중남미대륙 1인당 국부 순위> (크레디트 스위스) 




* 대한민국 (12만 8682 달러) (참고 - 북한 (1702 달러)) 






1. 칠레 (3만 8596 달러)

2. 우루과이 (2만 9642 달러)

3. 페루 (1만 7566 달러) 

4. 멕시코 (1만 4728 달러)

5. 콜롬비아 (1만 3487 달러)

6. 아르헨티나 (1만 2670 달러)

7. 브라질 (1만 2274 달러)

8. 베네수엘라 (2917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늘나무 18-08-20 19:36
   
경제상식에 무식하다고 표현할 수 있을만큼 아주 약한 저...^^; 님 글과 귀요미지훈님 글을 보며 조금씩 깨어나는 중입니다~ 아는 게 없어 댓글을 달 수도 없는 슬픔을 안고 있기에...ㅠㅠ 늘 잘 보고 있다는 인사만 전합니다...ㅎㅎ
     
스크레치 18-08-20 19:39
   
뭐 그냥 다들 서로 공감하면서 토론하는 공간이죠

저도 유식한거 하나도 없습니다. 그냥 이쪽분야에 관심이 많을뿐이죠 



그러니 님께서도

아는게 없다고 생각하지도 마시고

무식하다고 절대 생각하지도 마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다 똑같습니다.

그냥 댓글달면 되는겁니다.
     
귀요미지훈 18-08-20 20:05
   
저도 똑같아요. ㅎㅎ

인터넷 하다 경제관련 기사 있으면 가끔 걍 퍼올 뿐..ㅋㅋ

하늘나무님 지식도 나눠 주시고 편하게 자주 오세요..^^
B형근육맨 18-08-20 19:38
   
이렇게 보니 한국의 경제규모가 어마어마 하다는걸 한눈에 알아보게 되네요.
자료 감사합니다
덕분에 참 많이 배우고 갑니다 꾸벅~
     
스크레치 18-08-20 20:17
   
대한민국 경제는

그야말로 "기적" 이라는 표현이 딱 맞습니다.
블랙미스릴 18-08-20 23:34
   
아르헨티나 왜 이렇게 죽었죠? 오래전 이기는 해도 세계 수위권의 경제 규모를 자랑했는데. 당시 아르헨이 얼마나 잘 나갔냐면 이태리 배경 이었던 애니메이션 '엄마 찾아 삼만리'에서 주인공 소년의 엄마가 가정부로 일하러 갔던 나라가 다름아닌 아르헨 이었죠. 그랬던 나라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스크레치 18-08-21 12:41
   
그 잘나가던게 너무 오래전 일이라서요
파롸다이스 18-08-21 01:22
   
문제는 대부분이 부동산이라는거.. 인구 감소해서 집값 폭락하면 날아가버리는..
     
4457205 18-08-21 10:43
   
서울 부동산은 오르면 더 올랐지, 절대 폭락하지 않습니다. 서울 부동산은 전세계적인 서울의 위상을 바라봤을 때 전혀 비싼 편이 아니며,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부동산 자산에서 서울 부동산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지방 부동산 거품이 터져도 국부는 생각보다 많이 감소하지 않을 것입니다.
          
rozenia 18-08-21 13:22
   
태클까지는 아니지만 솔직히 지방부동산거품이 위험한게 아니라

서울경기지 부동산거품이 터질가능성이 너무 높다는게 문제인거죠. 서민층이 애써 돈모아서 아파트나 땅으로 성장한다는걸 막는게 아니라 그렇게 실구매자 보다 되파는 층이 너무 많아져서 근본적으로 집값이 상승하면서

종국에는 거품이 터지면 이들은 되팔곳이 없고 가격이 반토막이하가 되니 한거번에 무너진다는 뜻이입니다. 이건 필수적으로 한국의 산업경제 금융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것이며

당장에 물가와 임금과도 연결될거고 은행권 대출도 조이게 되면서 도리서 잘해볼려는 서민층이 망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게 될거란 뜻이죠.

당장에 안터진다고 풍선을 무한정 불어대면 안터질수가 없으니까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적당선을 넘어선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통일이나 평화협정 이후 북부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차라리 안정화되거나 보합유지 정도는 가능하겠죠.
               
프리홈 18-08-22 08:28
   
영국잡지 기사는 통일이 될 경우, 서울의 부동산가격이 10 배까지 상승한다고 보고있네요.

지금도 선진국 젊은이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는 것이 소원일진대,
하물며 통일이 된다면 젊은이, 부유층, 은퇴자 할 것없이 한국으로 이민러쉬가 이루어진다고 하죠.
지금은 부유층들이 싱기폴이나 동남아 등으로 유입되는데 통일이 되면 한국으로 러쉬.
중국의 부유층까지 이민을 온다  하지요.

싱가폴, 홍콩, 베이징의 부동산 임대료보다 서울의 임대료가 훨씬 저렴.
해서 서울의 부동산가격이 10 배까지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하니 정확성여부를  떠나 알아서 판단하시길...

통일이 되기 전인데도  평양의 부동산이 중국인들의 사재기로 앙등중이고 통일후 5 배이상을 보고있네요.
평양도 현재 아파트가 매매가능 하다네요.

1. 우선 쾌적한 안전과 보안......유럽은 이민자 유입과 테러증가로 안전하지 않다고보고요.
    통일로 인해 95% 의 북한리스크 요소제거,  중국/러시아는 UN 상임이사국이라 행동조심 (5 % 위험요소)
2. 행정서비스,  의료서비스, 교통서비스, 통신서비스, 24 시간 편의점서비스, 고객서비스의 품질이 최고수준
3. 한식이 건강식이라는 인식
4. 고전과 현대문화의 조화와  4 계절이 있는 아름다운 자연(한강, 북한산 등)의 조화
5. 지정학상 외국여행의 진출입 용이
6. 통일로 북한의 7,500 조원의 지하자원으로 노르웨이의 국부펀드보다 몇배의 거대 국부펀드를 조성,
    세계 최고수준의 복지수준 달성 (노르웨이는 세계 1 인당 GDP 5 위, 복지수준 2 위)

잡지사가 제기하지 못한  미세먼지가 은퇴생활 건강에 약점일 수 있으나,
대형차량들의 수소전기차화 진전으로 큰 개선이 이루어 지리라 기대합니다.
sariel 18-08-21 08:29
   
매번 재미있는 자료 올려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ohmygirl 18-08-21 08:49
   
대한민국 6조 5861억 달러 = 7,369조 8,459억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8&aid=0002414278 이 기사에는 우리나라 국부가 1경 3,817.5조라고 써있는데.. 왜 차이가 많이 나는 걸까요?
     
스크레치 18-08-21 12:43
   
저도 그 기사 봤는데

크레디트 스위스와 평가하는 기준항목이 좀 다르거나

포함시키는 요소가 다르거나 한게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전세계 국부를 한꺼번에 평가한건

매년 나오는 크레디트 스위스 자료 뿐이라
 
객관적으로 국가별로 비교할때는 크레디트 스위스 자료가 적당한듯 하여

참고한 것입니다.



대한민국 한국은행과 통계청에서 매년 통계 내고 있는

대한민국 국부 현황도 상당히 중요한 참고자료라고 생각합니다.
     
프리홈 18-08-22 08:02
   
한국통계와 크레디트 스위스 자료에 차이가 있는 것은
토지가격과 지하자원의 가격이 포함되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아닌가 싶네요.

토지나 지하자원인 경우, 국제적 표준 가격비교(기준) 나 매장량의 측정기준 설정에 어려움이 있기 때운 아닌가 하네요.

예를 들어, 일본의 부동산버블기에 동경일대를 팔면 미국전체를 구입할 수가 있었지요.
그래서 글로벌 국부비교시 토지와 지하자원의 가치를 제외했다고 보이네요.
4457205 18-08-21 10:41
   
언제나 귀한 자료 감사드립니다.
     
스크레치 18-08-21 12:44
   
별 말씀을요..
멀리뛰기 21-01-02 14:42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중남미 전체 국부 현황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31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중남미 전체 국부 현황 감사^^
 
 
Total 16,52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32
13053 [전기/전자] 삼성전자, 중국 스마트폰에 5G 통신반도체 공급 확대할 … (9) 스크레치 08-17 2764
13052 [전기/전자] 5G 통신장비..삼성전자로 기우는 통신업계 (11) 스크레치 08-17 3351
13051 [기타경제] 대우조선, 세계 첫 LNG 증발감축선 건조..."선주 100억 손실… (13) 스크레치 08-17 4093
13050 [금융] 중국 국영기업 디폴트 (5) 귀요미지훈 08-18 3613
13049 [기타경제] 중국, 미국에 항복 (18) 귀요미지훈 08-18 4168
13048 [기타경제] S&P·무디스, 터키 신용등급 한단계씩 강등 (5) 귀요미지훈 08-18 1707
13047 [전기/전자] 삼성 스마트폰, 베트남 시장 1위 질주 (8) 스크레치 08-18 2680
13046 [기타경제] 韓·中 조선업계…韓 '웃고' 中 '울상' (17) 스크레치 08-18 4439
13045 [잡담] 망국적인 급격한 최저임금인상 (42) glober11 08-18 3178
13044 [자동차] 차량 야적장에 밀려든 바닷물…BMW, 침수차량 판매 논란 (10) 굿잡스 08-18 2284
13043 [잡담] 자원개발비리 (5) smat27 08-19 1361
13042 [자동차] 호주 자동차시장 업체별 점유율 (2018년) (5) 스크레치 08-19 2439
13041 [자동차] 러시아 자동차시장 업체별 점유율 (2018년) (6) 스크레치 08-19 2771
13040 [자동차] 벨로스터N 돌풍에…현대차 고성능모델 쏟아낸다 (4) 스크레치 08-19 3227
13039 [과학/기술] 한화·두산, 세계 최초 초대형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7) 좋은비 08-19 3221
13038 [전기/전자] 외산 규격 전송장비, 국내 업체도 개발 (3) 진구와삼숙 08-19 2377
13037 [기타경제] 선진국 진입 예상국 빅4 현황 (1인당 GDP 변화 양상) (9) 스크레치 08-19 4741
13036 [자동차] 베트남, 현대차를 롤모델로 자동차 사업에 뛰어 들어.. (16) 귀요미지훈 08-20 4057
13035 [전기/전자] 그래핀 이용해 고화질 LCD 만든다 (3) 진구와삼숙 08-20 1655
13034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OLED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증… (9) 진구와삼숙 08-20 2396
13033 [기타경제] (베트남언론) 한국정부, 베트남 이주노동자 채용에 엄격 (16) 귀요미지훈 08-20 4660
13032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중남미 전체 국부 현황 (19) 스크레치 08-20 3963
13031 [기타경제] 日 닛산 전기차배터리 매각… LG화학 반사이익? (5) 4457205 08-21 2966
13030 [전기/전자] 세계 TOP3 AP 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6) 스크레치 08-21 3247
13029 [전기/전자] '뚝심의 삼성전기' 2년 전 투자한 PLP 사업 마침내 … (8) 스크레치 08-21 3570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