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21 10:40
[기타경제] 日 닛산 전기차배터리 매각… LG화학 반사이익?
 글쓴이 : 4457205
조회 : 2,965  

향후 출시될 닛산 전기차, 타 회사 제품 탑재 가능성
르노에 공급하는 LG화학 닛산에도 공급 가능성 높아
일본 닛산자동차가 전기차배터리 자회사 AESC를 중국 인비전 그룹에 매각하면서 LG화학 등 국내 전기차배터리 업체가 새 수요처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닛산자동차는 최근 자사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업부를 중국 에너지 회사 인비전그룹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부는 자회사 AESC 뿐 아니라 미국 스머나·테네시주 소재 생산공장, 영국 선덜랜드·잉글랜드 공장, 일본 오바마·아쓰기·자마 공장까지 포함한다. 

AESC는 2007년 닛산과 NEC가 설립한 배터리 제조사로 닛산 전기자동차 '리프'에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세계 5위 규모로 성장했다. 닛산이 지분 51%, NEC가 49%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매각에 따라 인비전은 닛산이 보유한 AESC 지분 51% 가운데 25%를 인수한 뒤 나머지를 추가로 사들일 예정이다. 

인수업체인 중국 인비전 그룹은 현재 고용된 인원과 각 사업 본부와 개발 센터를 그대로 유지하고, 닛산이 지분 25%를 보유하는 배터리 생산 전담 부서를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매각은 지난해 닛산이 중국 GSR캐피털과 10억달러 규모 매각 협상에 한 차례 실패한 후 재추진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닛산의 이번 매각을 전기차 개발에 더욱 집중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 닛산의 배터리 제조 사업부는 자동차용 리튬 이온 배터리 부문에서 세계 최대 규모지만 내년 출시될 신형 닛산 리프(리프 이 플러스)에 LG화학 배터리 탑재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외부 공급 업체로 눈을 돌리고 있어서다. 

따라서 향후 출시될 닛산 전기차에 어떤 배터리가 탑재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업계에선 닛산이 AESC 매각 후에도 25% 지분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만큼 일정기간 AESC로부터 공급을 받을 것이라고 봤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배터리 공급사를 다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경우 국내 전기차배터리 업체인 LG화학, 삼성SDI 뿐 아니라 중국 CATL 등 배터리 전문 제조사에 새 수요처가 생기게 된다. 다만 LG화학의 가능성을 높게 보는 시각이 많다. LG화학은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한 축인 르노자동차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LG화학은 최근 중국 리튬 생산 업체인 '쟝시깐펑리튬'사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수산화 리튬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지난 6월 캐나다 '네마스카 리튬'과 3만5000t의 수산화 리튬 도입 계약을 맺은데 이어 이번 계약까지 모두 8만3000t으로 전기차 17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

닛산의 경영진들이 세계 9위의 배터리 회사 AESC를 중국에 매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왜 일본 회사들이 죽어나가는지 알겠습니다. 삼성과 LG, SK는 눈에 불을 켜고 배터리 개발 중인데 일본 경영진들은 초등학생도 안 할 법한 바보같은 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한때는 아시아 최고의 경제선진국-기술선진국이었던 일본의 경영진들이 중국에 매각한다는 이런 어이없는 결정들을 내리니 한편으로는 기가 막힙니다.

차라리 우리나라 한화나 두산, 효성, 코오롱에서 사갔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4457205 18-08-21 10:40
   
좋은비 18-08-21 12:26
   
밧데리도 이미 우리나라가 선점했기때문에 가격때문에 진입을 못하고 기술경쟁력에서 안됩니다

앞으로 전기차나 수소차가 상용화가되고 기반을 잡을때면 이미 국내 업체 삼성 엘지 sk 이업체가 다 잡아 먹을

걸로 보입니다
페레스 18-08-21 17:46
   
이런건 sk나 엘지는 왜 인수안할까요
기술은 몰라도 여러 일본회사와의 납품망이라든가 그런게 꽤 가치가 있을거 같은데
돈이 없나...
멀리뛰기 21-01-02 14:42
   
[기타경제] 日 닛산 전기차배터리 매각… LG화학 반사이익?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31
   
[기타경제] 日 닛산 전기차배터리 매각… LG화학 반사이익?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49
13048 [전기/전자] 삼성전자, 중국 스마트폰에 5G 통신반도체 공급 확대할 … (9) 스크레치 08-17 2764
13047 [전기/전자] 5G 통신장비..삼성전자로 기우는 통신업계 (11) 스크레치 08-17 3351
13046 [기타경제] 대우조선, 세계 첫 LNG 증발감축선 건조..."선주 100억 손실… (13) 스크레치 08-17 4093
13045 [금융] 중국 국영기업 디폴트 (5) 귀요미지훈 08-18 3612
13044 [기타경제] 중국, 미국에 항복 (18) 귀요미지훈 08-18 4168
13043 [기타경제] S&P·무디스, 터키 신용등급 한단계씩 강등 (5) 귀요미지훈 08-18 1707
13042 [전기/전자] 삼성 스마트폰, 베트남 시장 1위 질주 (8) 스크레치 08-18 2680
13041 [기타경제] 韓·中 조선업계…韓 '웃고' 中 '울상' (17) 스크레치 08-18 4439
13040 [잡담] 망국적인 급격한 최저임금인상 (42) glober11 08-18 3177
13039 [자동차] 차량 야적장에 밀려든 바닷물…BMW, 침수차량 판매 논란 (10) 굿잡스 08-18 2284
13038 [잡담] 자원개발비리 (5) smat27 08-19 1361
13037 [자동차] 호주 자동차시장 업체별 점유율 (2018년) (5) 스크레치 08-19 2439
13036 [자동차] 러시아 자동차시장 업체별 점유율 (2018년) (6) 스크레치 08-19 2770
13035 [자동차] 벨로스터N 돌풍에…현대차 고성능모델 쏟아낸다 (4) 스크레치 08-19 3227
13034 [과학/기술] 한화·두산, 세계 최초 초대형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7) 좋은비 08-19 3221
13033 [전기/전자] 외산 규격 전송장비, 국내 업체도 개발 (3) 진구와삼숙 08-19 2377
13032 [기타경제] 선진국 진입 예상국 빅4 현황 (1인당 GDP 변화 양상) (9) 스크레치 08-19 4741
13031 [자동차] 베트남, 현대차를 롤모델로 자동차 사업에 뛰어 들어.. (16) 귀요미지훈 08-20 4057
13030 [전기/전자] 그래핀 이용해 고화질 LCD 만든다 (3) 진구와삼숙 08-20 1655
13029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OLED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증… (9) 진구와삼숙 08-20 2396
13028 [기타경제] (베트남언론) 한국정부, 베트남 이주노동자 채용에 엄격 (16) 귀요미지훈 08-20 4660
13027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중남미 전체 국부 현황 (19) 스크레치 08-20 3962
13026 [기타경제] 日 닛산 전기차배터리 매각… LG화학 반사이익? (5) 4457205 08-21 2966
13025 [전기/전자] 세계 TOP3 AP 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6) 스크레치 08-21 3246
13024 [전기/전자] '뚝심의 삼성전기' 2년 전 투자한 PLP 사업 마침내 … (8) 스크레치 08-21 3570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