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1-15 14:37
[전기/전자] 낸드 치킨게임 3줄요약
 글쓴이 : 혜성나라
조회 : 1,785  

1. 디램은3개사(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낸드는5개사가 경쟁한다.

2. 디램으로 삼성 하이닉스는 총알(자금)을 듬뿍 장전했다.

3. 치킨게임하면 미국(텍사스***), 일본(키옥**), 중국(YM**)의 3사는 살아남아야 한다. 과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혜성나라 21-01-15 14:38
   
삼성이 과연 치킨게임으로 후발주자를 털어낼지? 안털어낼지? 궁금하기는 합니다.
     
유기화학 21-03-31 09:27
   
222
개구리왕자 21-01-15 15:09
   
낸드하면 젤 궁금한게 도시바는 왜 그 기술을 삼성에게 알려줬을까와
처음 개발 당시 개발자 마쓰오카 후지오란 사람을 왜 쩌리 취급하고 기술을 등한시했는지 아직도 의문..
아마 지금처럼 커질 줄 몰랐겠죠??? 결국 키운건 삼성인가??
     
유기화학 21-03-31 09:27
   
22
중고인생 21-01-15 15:12
   
이게 가정이긴합니다만

삼성이 ymtc를 죽이기 위해서 치킨겜을 한다???

치킨겜을 한다고 해도 ymtc같은경우 공산당정부기업인데 공적자금을 엄청나게 퍼붇고 잇는데 과연 통할지가 미지수네요

잘못하면 도시바 와 미쿡애들이 죽으면 오히려 중국 ymtc사 유리한 고지에 올라갈수도 잇다고 봅니다
     
혜성나라 21-01-15 16:09
   
중국공산당 돈이 없어요. 칭화유니와 YMTC중 중국공산당에게 어디가 더 중요하죠? 당연히 칭화유니인데 결과는 부도~
          
중고인생 21-01-15 16:15
   
칭화유니는 d램업체입니다 이건 미쿡이 반도체 제재로 인해 망햇구요

미쿡에서는 낸드플레쉬 분야에선 제재를 할생각이 없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중공정부에서는 ymtc에 공적자금 엄청나게 투입하고 잇다고 합니다
               
혜성나라 21-01-15 16:31
   
맞습니다. D램은 제제해서 싹을 자르고, 낸드는 보조기엌장치라 덜 신경쓰죠, 하지만 YMTC도 미 상무부에서 만지작하고 있어요, 그리고 중국공산당 밀어줄돈이 없어요. 돈이 없으니 금융개방을 했고 월가의 통제안에 들어간거죠. 왜 안되는지 아시겠죠?
유기화학 21-01-15 15:31
   
낸드 치킨게임가나요? ㄷㄷㄷ
     
혜성나라 21-01-15 16:11
   
치킨게임의 3박자를 완벽하게 갖춘 삼성, 1. 수율이 좋와야한다. 2. 돈지랄을 할수있는 총알이 충분해야 한다. 3. 세계 점유율이 커야한다. ㅋㅋㅋ 다 죽었어~
          
목수 21-01-16 12:50
   
그중 돈지랄이 가장 효과적이라 봅니다 바로 삼성이 가장 잘하는 일이지요
               
유기화학 21-03-31 09:27
   
ㄷㄷㄷ
땡말벌11 21-01-15 15:34
   
이미 삼성에서 낸드 가격 인하 검토 시작했습니다.
ㅋㅋㅋㅋㅋ
     
유기화학 21-03-31 09:27
   
22
리얼백 21-01-15 15:47
   
미국텍*은 자동차 반도체 부업뛰어서 망하지는 안을꺼같고

SSD는 반도체 잘만드는회사가 유리한데
일본이 이미 낸드 당시에 반도체 기술이 한국에 발리고 있어서 추가 투자 안하고 팔아서
개발비 회수한거죠

당시에 일본이 낸드로 제품내어도 가격경쟁력이 없었습니다
낸드 상용화 이만큼 된거는 그만큼 삼성이 내구성이 뛰어난걸 *싸게* 찍어내서죠.

아니면 램디스크나 인텔 옵테인이 메인 스트림이였을꺼.

일본이 진출해서 살아남으려면 아직도 100기가 60만원 짜리 SSD 이랬다가 시장 퇴출됐을겁니다.

램디스크나 옵테인이 메인스트림 됐으면 개평도 못챙겼을건데 낸드로 가서
기술료 개발비회수해서 돈 챙겨갈수 있게 된거니 이렇게 된게 이상한게 아니죠.
 
 
Total 16,52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46
13003 [전기/전자] 삼성전자 55인치 TV도 이젠 8K시대...초대형 탈피 대중화에… (4) 스크레치 07-22 1790
13002 [기타경제] 세계로 번지는 DHC 논란…글로벌 청원에 일본인도 동참 (5) 스크레치 08-14 1790
13001 [전기/전자] 한국에 기회 될까..'반도체 공급난' 美 자동차업… (1) 스크레치 01-16 1790
13000 [자동차] '엔진 없는' 전기차 뜨니.. 철강도 특수 누린다 (1) 스크레치 02-06 1790
12999 [전기/전자] 헝가리의 러브콜 韓배터리 기업 보조금 최대 50% (5) 스크레치 03-05 1790
12998 [잡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은 함정이 있는게 (5) 븅아 04-16 1790
12997 [전기/전자] 반도체 핀펫특허 논란 확대…"TSMC도 침해" (7) 귀요미지훈 09-17 1791
12996 [기타경제] 롯데월드타워, 첫 국빈 만찬 유치 "서울 명소서 세계 명… (3) 스크레치 02-22 1792
12995 [기타경제] 韓, OECD회원국 중 ‘남녀임금 격차’ 제일 커…33개국 중 … (11) 스쿨즈건0 03-06 1792
12994 [기타경제] 2020 국가오일소비 랭크 (2) rozenia 02-06 1792
12993 [기타경제] 두산밥캣 폴란드 영업망 강화…동유럽시장 공략 본격화 (2) 스크레치 05-12 1792
12992 [기타경제] K편의점 돌풍 말레이시아 CU, 오픈 열흘 만 ‘문전성시’ (3) 스크레치 04-13 1792
12991 [전기/전자] 갤폴드에 손가락물려 혈압 잰다?..삼성 특허취득 (4) 스크레치 04-28 1792
12990 [기타경제] '기저효과' 40% 웃도는 수출 증가세...지속 성장 변… (8) 봉대리 06-01 1792
12989 [전기/전자] 돌돌말리는 전자제품 상용화 눈앞…대면적 '화이트 … (3) 진구와삼숙 05-23 1793
12988 [잡담] 오사카 간사이 공항, 매주 64편씩 줄어들고 있어... (2) 피에조 08-15 1793
12987 [기타경제] '삼겹살 2만원' '칼국수 9000원'..서울, 외식… (1) 가비 03-16 1793
12986 [전기/전자] "롤러블 OLED 패널 시장 규모, 5년 안에 15배 이상 커진다" (5) 스크레치 03-27 1794
12985 [전기/전자] "화웨이는 스파이" 美 vs 맞서는 中, 중간에 낀 유럽.. (6) 스쿨즈건0 03-30 1794
12984 [잡담] 좌우타령도 나라를 살려놓고하자 좀... (17) 훅간다 07-22 1794
12983 [기타경제] 생활 속에 자리잡은 Jap 불매운동 (5) 굿잡스 08-23 1794
12982 [전기/전자] 中화웨이 유럽판매 반토막..미 초강력 제재 통했다 (2) 스크레치 12-01 1794
12981 [잡담] 반도체 초호황온다... (1) 유기화학 02-05 1794
12980 [자동차] 루이스 수아레스 현대차 아이오닉5로 달렸다? (1) 스크레치 03-06 1794
12979 [전기/전자] 삼성전자, 차량용 이미지센서 시장 진출 본격화.. "소니 … (5) Architect 07-13 1794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