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4-16 23:55
[잡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은 함정이 있는게
 글쓴이 : 븅아
조회 : 1,790  



한국 기자들은 그냥 딸랑 이것만 갖고 와서


오 TSMC 다음 삼성이 압도적 2등이구나 구도를 만드는데


저게 삼성전자 순수 파운드리 매출이 아님...



트렌드포스 원본을 보면  





밑에 주석 1번으로 삼성 매출은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매출을 합친 매출이라고 적어놨죠.. 근데 요부분은 쏙 빼놓고 가져옴..




실제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합친 매출 구조를 그 중 파운드리 매출은 절반도 안되는 그런... 상황임에도 꼭 저걸 무시하고 보니 오류가 일어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1-04-17 00:15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18% 시장점유율 중에 엑시노스 생산 같은 삼성전자 자체 수요 를 빼고 외부업체에서 주문받아서 생산 하는 비중은 위에 있는 41% 정도 밖에 안됨. 즉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최대 고객은 바로 삼성전자 자신임. 그래서 실질적인 삼성전자가 외부회사의 주문을 받아 생산하는 순수 pure play  파운드리 기업으로서의 시장 점유율은 8% 밖에 안됨. 즉 TSMC 의 1/7 밖에 안되고 UMC 나 글로벌 파운드리 수준 밖에 안된 다는 것임. 아직은 갈길이 매우 매우 멀다는 것임.

이건 앞으로 인텔이 파운드리 기업으로 등장하면 어떤 식으로 점유율을 계산할 지 매우 애매하게 됨. 만약 삼성전자식으로 인텔의 자체 칩 생산 수요도 파운드리 매출로 잡게 되면 단번에 인텔이 700억 달러로 TSMC 를 제치고 파운드리 업계의 압도적 1등 (점유율 80%)을 하게 될 것이고 만약 자체 주문분은 제외하고  순수 pure play 외부주문만 계산에 넣게 되면 삼성전자도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삼성의 시장점유율은 8% 로 떨어지게 될 것임.
이름없는자 21-04-17 01:29
   
또 삼성의 포트폴리오를 보고 느끼는게 LSI 사업도 너무 부진함. AP, DDI, 이미지 센서 이거다 스맛폰 부품에 불과함.  DDI 는  TV 부폼 도 좀 있을지도 모르겠네. 그 흔한 PC 부품이나 그외 스마트 폰에 들어가는 잡다한 칩들 가전제품이나 사무기에 들어가는 그 많은 칩들 이런게 거의 없이 그냥 자체 수요의 소수칩에만 의존하고  적극적으로 수없이 많은 중국이나 대만의 또 미국의 외부 업체에 팔려는 노력이 없음.

내가 늘 하는 말이 삼성 LSI 사업부는 제발 대만 미디어텍을 본받아서 적극적으로 다양한 칩을 설계해서 제품라인을 갖추고  외부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고 봄.  스마트폰 AP 만 해도 갤 S 등  일부제품만 엑시노스 쓰는데 생산량이 많은 중저가 스마트폰 모델에도 저렴한 엑시노스칩을 개발해서 자체적으로도 쓰고 중국업체들에도 팔아야 함. 삼성 LSI 사업부의 경쟁업체는 대만 미디어텍임. 지금 중국의 가전이나 폰 업계에  열심히 칩을 팔지않으면 반도체 기업으로 LSI 사업부의 미래는 없음.
     
중고인생 21-04-17 12:10
   
제가 생각하기엔 님이 맞는말씀도 잇고 틀린부분도 있다고 봅니다

삼성은 ap를 뺀 나머지 ddi ,이미지센서, tv컨트롤로등은 삼성파운드리에서 이제 생산을 안하고

대만업체인 umc 와미디어텍에 맞긴다고 합니다

그만치 삼파의 파운드리에서 캐파가 무지하게 부족하다는뜻이에요 자사칩등을 대만업체에 의뢰한것은요

그리고 엑스노스 같은경우에 중국업체에 공급한다는 뉴스 못밧나요 이미지센서도 그러니깐 소니

다음으로 이미지센서2위죠 삼성자체조달가지곤 소니와 격차가 많이 날것입니다

외부시장 이미 계척하고 있는데 무슨 뜬금없는 말을 하는지 모르겟네요

돈냄세기가막히게 맞는 삼성이 자체조달만 한다??? 참 웃긴애기군요 ㅎㅎㅎㅎㅎㅎ
호갱 21-04-17 08:21
   
tsmc도 첨단공정은 15%밖에 안됨
걍 쓸떄없는 분석질임
나머지는 레거시 공정으로 삼성이 손도 안댈 정도로 돈도 안되고 관리만 피곤한 영역임
이제서야 반도체 품귀나면서 주목받는거지
     
력삼동 21-04-17 09:02
   
15대  8이네요  ㅎㅎㅎ
하긴  TSMC는  자체  R&D 상품이  없으니
 
 
Total 16,52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64
13003 [기타경제] 세계로 번지는 DHC 논란…글로벌 청원에 일본인도 동참 (5) 스크레치 08-14 1790
13002 [자동차] '엔진 없는' 전기차 뜨니.. 철강도 특수 누린다 (1) 스크레치 02-06 1790
13001 [전기/전자] 헝가리의 러브콜 韓배터리 기업 보조금 최대 50% (5) 스크레치 03-05 1790
13000 [전기/전자] 반도체 핀펫특허 논란 확대…"TSMC도 침해" (7) 귀요미지훈 09-17 1791
12999 [전기/전자] 한국에 기회 될까..'반도체 공급난' 美 자동차업… (1) 스크레치 01-16 1791
12998 [잡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은 함정이 있는게 (5) 븅아 04-16 1791
12997 [기타경제] 롯데월드타워, 첫 국빈 만찬 유치 "서울 명소서 세계 명… (3) 스크레치 02-22 1792
12996 [기타경제] 韓, OECD회원국 중 ‘남녀임금 격차’ 제일 커…33개국 중 … (11) 스쿨즈건0 03-06 1792
12995 [기타경제] 2020 국가오일소비 랭크 (2) rozenia 02-06 1792
12994 [기타경제] 두산밥캣 폴란드 영업망 강화…동유럽시장 공략 본격화 (2) 스크레치 05-12 1792
12993 [기타경제] K편의점 돌풍 말레이시아 CU, 오픈 열흘 만 ‘문전성시’ (3) 스크레치 04-13 1792
12992 [전기/전자] 갤폴드에 손가락물려 혈압 잰다?..삼성 특허취득 (4) 스크레치 04-28 1792
12991 [기타경제] '기저효과' 40% 웃도는 수출 증가세...지속 성장 변… (8) 봉대리 06-01 1792
12990 [전기/전자] "롤러블 OLED 패널 시장 규모, 5년 안에 15배 이상 커진다" (5) 스크레치 03-27 1794
12989 [전기/전자] "화웨이는 스파이" 美 vs 맞서는 中, 중간에 낀 유럽.. (6) 스쿨즈건0 03-30 1794
12988 [전기/전자] 돌돌말리는 전자제품 상용화 눈앞…대면적 '화이트 … (3) 진구와삼숙 05-23 1794
12987 [잡담] 좌우타령도 나라를 살려놓고하자 좀... (17) 훅간다 07-22 1794
12986 [잡담] 오사카 간사이 공항, 매주 64편씩 줄어들고 있어... (2) 피에조 08-15 1794
12985 [기타경제] 생활 속에 자리잡은 Jap 불매운동 (5) 굿잡스 08-23 1794
12984 [전기/전자] 中화웨이 유럽판매 반토막..미 초강력 제재 통했다 (2) 스크레치 12-01 1794
12983 [자동차] 루이스 수아레스 현대차 아이오닉5로 달렸다? (1) 스크레치 03-06 1794
12982 [전기/전자] 삼성전자, 차량용 이미지센서 시장 진출 본격화.. "소니 … (5) Architect 07-13 1794
12981 [기타경제] '삼겹살 2만원' '칼국수 9000원'..서울, 외식… (1) 가비 03-16 1794
12980 [전기/전자] 동국대 노용영 교수팀, 차세대 투명 반도체 소재 개발 (4) 진구와삼숙 08-23 1795
12979 [과학/기술]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K-시티', 오늘 문열었네요. (6) 귀요미지훈 12-10 1795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