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5-16 16:56
[전기/전자] 반도체 패권전쟁 뛰어든韓..10년간 510조 원 투자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987  

https://news.v.daum.net/v/20210514061911843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반도체 패권을 장악하고 있는 대한민국 

미국이 세계 1위 경제력을 바탕으로 

엄청난 자금을 투자해서 반도체 패권을 공고히 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대한민국도 질수는 없지요 

우리가 할수있는선에서 

대규모 투자로 세계 2위 반도체 패권을 계속 우리도 공고히 가져가야 하겠습니다. 







[참고]



<2019년 세계 반도체시장 국가별 점유율 현황> 



1위 미국 (55%)

2위 대한민국 (21%)

3위 유럽 (7%)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5-16 16:56
   
서클포스 21-05-16 17:25
   
한국은 메모리 쪽 반도체 즉..  SSD (이것은 데이타 저장공간과 관계있져.. 서버에도 많이 쓰이고)  와 흔히 말하는 램 쪽은 꽉 잡고 있고..

이제 남은게 시스템 반도체 인데.. 이쪽은 CPU  GPU 각종 센서류 등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쪽 분야의 설계는 한국이 아직은 따라가기 무리고

한국이 지금 주력하는것은  저 시스템 반도체 쪽의 위탁 제조 생산 기술입니다.. 이 설계와 더불어 실제로 제조 생산
하는데에도 첨단 기술이 들어갑니다.  이런 실제 생산 즉 파운드리 분야가 한국이 현재 주력하고  투자 하는 분야
입니다..  현재도 NVIDIA GPU 를 삼성 파운드리에서 생산중이져. IBM 칩도 위탁 생산하고 있고.. 아마존 이나 기타
독자적 반도체 설계를 하는 회사들이 삼성에게 생산을 맡기고 있습니다.
기성용닷컴 21-05-16 18:10
   
우리나라 화이팅!!
앞으로도 쭉쭉 가즈아~~
Architect 21-05-16 18:30
   
전략 잘 짜고 있어요. 제 솔직한 생각 밝히자면 팹리스는 독자 생태계 육성도 중요하지만 워낙 쉽지 않은 작업이기에 삼성이나 SK같은 자금력 큰 회사들이 해외에서 인수합병으로 좋은 회사들 사오는것도 효과적일 것 같고, 파운드리는 SK도 참전 선언했고 삼성이 DSP파트너 동맹군 형성하며 초미세공정도 열심히 개발해나가고 있으니 성과는 나올 거라고 보고요. 메모리는 지금 용인에 클러스터도 만들고 있고 항상 잘해왔으니까 알아서들 잘 하겠죠. 한가지 아쉬운건 아직 장비와 부품 자립도가 너무 낮다는거.. 10조 투자한다고 하더라도 그중 절반 이상은 해외 기업한테 나가는거니까 많이 아쉽죠. 7~8000억 정도 영업이익 내면서 두각을 드러내는 장비회사가 하나쯤은 있어야 인수합병으로 몸집도 불리고 연구비도 많이 쓸 수 있을텐데 국내 1위 다투는 세메스와 원익IPS도 2~3000억 정도에 그치는게 현실이니.. 이건 삼성과 SK가 책임감 가지고 국내 생태계를 육성해야 한다고 봅니다. 2019년에 그렇게 당하고도 정신 못차리면 안되죠.
서클포스 21-05-16 18:51
   
파운드리 분야는 중국이나 심지어 미국 조차도  한번 뒤쳐지면 따라가기 힘든 분야임..

즉 영구히 계속 해먹을수 있다는 분야이고.. 산업의 쌀 이라고 불리는 반도체  최고의 미래 먹거리고

그런 반도체의 생산 제조 분야를 잡고 계속해서 최고를 유지 할수 있는 가장 경쟁력이 있는 분야가 바로 파운드리

분야가 아닐까 합니다..
식후산책 21-05-16 19:58
   
DB하이텍 매물로 나왔을때 lg가 인수했으면 어땠을까 ...
     
Architect 21-05-16 20:16
   
요즘 LG그룹은 아예 반도체에 대한 비전도 의지도 없는 것 같아요. LG가 디스플레이, 가전, 전장 모두에 걸치고 있으니까 실리콘웍스도 그룹 차원에서 작정하고 키워보면 꽤나 클수 있을 국내 1위 팹리스인데 관심을 거의 못 받다가 결국 LX로 분리됐으니.. 물론 본인들도 생각이 있겠지만 많이 아쉬운건 사실입니다.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487
12931 [기타경제] 4월 수출 512억달러 역대 1위..전년비 41.2%↑(상보) (5) FOREVERLU.. 05-17 2181
12930 [자동차] 유럽 10개국 전기차 판매량 (3) 별하늘 05-16 3014
12929 [기타경제] 러시아 GDP 갉아먹는 '푸티니즘' (56) 스크레치 05-16 5320
12928 [전기/전자] "LG폰 철수로 삼성천하" 사상 첫 점유율 80%대 전망 (11) 스크레치 05-16 2504
12927 [기타경제] '제2의 곰표맥주' 만들자..신세계도 수제맥주 전… (5) 스크레치 05-16 1660
12926 [기타경제] 한국·호주·싱가포르, 코로나 mRNA 백신 제조시설 놓고 경… (4) 스크레치 05-16 2745
12925 [기타경제] "왜 한국을 좋아하나"..日 언론이 바라본 한국의 존재감 (5) FOREVERLU.. 05-16 3442
12924 [전기/전자] 반도체 패권전쟁 뛰어든韓..10년간 510조 원 투자 (7) 스크레치 05-16 2988
12923 [기타경제] 베트남산 쌀 브랜드 특허분쟁..美 이어 호주로 확산 (4) 스크레치 05-16 2746
12922 [전기/전자] 中통신빅3 뉴욕증시 퇴출..'트럼프 뒤집기'는 없… (2) 스크레치 05-16 1730
12921 [자동차] 삼성SDI, 美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에 원통형 '2170 배… (7) 스크레치 05-16 1841
12920 [기타경제] 3월 말 중국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 1.8%로 저하 (3) ㅉㅉㅉㅉ 05-16 1059
12919 [전기/전자] 기술 뻥튀기 마이크론에 발끈..삼성 "D램 회로폭 정확히 … (2) 스크레치 05-16 2655
12918 [기타경제] 그리스 해수욕장 재개장, 우려 속 봉쇄 푸는 유럽 (1) 스크레치 05-16 574
12917 [자동차] 현대모비스 美 공장 채용 확대…수주 다각화 시동 (1) 스크레치 05-16 808
12916 [기타경제] 현대로템, 이집트에 에어컨 설치 전동차 9차분 인도 (1) 스크레치 05-16 933
12915 [기타경제] 10명 중 4명 韓 싫다는 '이 나라'.. 이유는? (2) 스크레치 05-16 2254
12914 [기타경제] 스페인의 자신감?.. 여름 관광객 유치 나서 (1) 스크레치 05-16 704
12913 [전기/전자] 폴더블폰, 삼성보다 4년 늦지만..애플은 늘 그랬다 (1) 스크레치 05-16 1185
12912 [자동차] 제네시스 쾌속질주…'K-럭셔리카' 통했다 (2) 스크레치 05-16 1087
12911 [전기/전자] 삼성전자 vs TSMC: 현재의 시장점유율 숫자에 속지 말라 (5) 축신 05-16 1821
12910 [자동차] 현대차 日도요타 추월, 액센트·i10 ‘베트남 국민차’ 등… (2) 스크레치 05-16 1563
12909 [전기/전자] 삼성전자 예상보다 더 빨라지는 '대형 M&A시계' (1) 스크레치 05-16 1611
12908 [전기/전자] 중국, 美 화웨이 제재 연장에 "中 첨단기업 괴롭힘 구실" (2) 스크레치 05-16 1052
12907 [기타경제] '세계2위 커피 수출국' 베트남, 1분기 커피수출 11%… (2) 스크레치 05-16 122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