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9-14 21:27
[기타경제] KCC에서 엄청 대단한 일 하나 터뜨렸습니다.
 글쓴이 : 4457205
조회 : 3,208  

KCC·원익·SJL 컨소시엄 美모멘티브 30억弗에 인수

달에 찍힌 인류 최초의 발자국.

그 주인공은 1969년 아폴로 왕복선을 타고 우주로 날아간 닐 암스트롱이다. 당시 그가 착용한 신발은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졌는데 다름 아닌 GE실리콘이 만든 제품이었다. 이 역사적이고도 세계적인 기업이 마침내 대한민국의 품에 안겼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CC와 원익그룹, 임석정 회장이 이끄는 SJL파트너스 컨소시엄은 12일 세계 3대 실리콘 기업인 미국 모멘티브를 인수하기로 모멘티브 최대주주인 아폴로사모펀드(PE) 측과 사실상 합의했다. 매각 금액은 30억달러(약 3조3840억원)로 최종 확정됐다. 이는 국내 사모펀드 역사상 최대 규모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이다. 펀드와 국내 기업이 합작한 최초의 해외 M&A이기도 하다. KCC 컨소시엄과 모멘티브 측은 이르면 13일 계약서에 공식 서명할 방침이다. 

모멘티브의 전신은 GE실리콘이다. 최대주주인 미국 사모펀드 아폴로PE가 2006년 GE실리콘을 사들이면서 사명이 모멘티브로 바뀌었다. 모멘티브는 미국 다우코닝·독일 바커와 함께 '세계 3대 실리콘 기업'으로 통한다. 다우코닝이 1위, 모멘티브가 2위, 바커가 3위다.

실리콘 사업이 주력인 모멘티브는 실리콘보다는 규모가 작은 세라믹·석영 분야에서도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모멘티브 최대주주는 아폴로·오크트리·DE SHAW·펜트워터 등 4곳의 미국계 사모펀드 운용사들로 지분율은 총 75%다. 이 중 아폴로가 40%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25% 지분은 미국 델라웨어 장외주식시장(OTC)에서 거래된다. KCC 컨소시엄은 PE 보유지분과 OTC에서 거래되는 주식을 모두 사들여 100% 지분을 확보할 방침이다. 3사 투자비율은 SJL이 50%, KCC 45%, 원익 5%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KCC 컨소시엄의 모멘티브 인수는 국경을 넘어선 빅딜이라는 의미 외에도 국내 핵심 산업인 반도체 및 원천 소재 시장에 더 큰 활력을 불어 넣어줄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맞서 전 세계 반도체 핵심 부품 주도권을 한국이 보다 확고히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M&A를 통해 전 세계 실리콘 시장 10위권 밖이었던 KCC는 단숨에 '넘버2' 실리콘 회사로 발돋움한다. 현재 연 2000억원 규모인 KCC의 실리콘 매출은 모멘티브 인수를 통해 2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건축자재 전문기업인 KCC가 '실리콘'이라는 신성장 동력을 본격적으로 장착하게 된 셈이다.

이번 딜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모멘티브 인수로 KCC는 넘버2 브랜드는 물론 수천 건의 원천기술까지 확보하게 됐고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가동 중인 모멘티브 생산라인까지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원익그룹도 이번 M&A를 통해 글로벌 세라믹·규소 시장 최강자로 올라선다. KCC 컨소시엄과 아폴로 측은 모멘티브 인수 후 즉각적으로 이 회사를 실리콘과 세라믹·석영 두 개의 별도 법인으로 분리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현재 모멘티브 실리콘 사업부는 뉴욕 워터포드에, 세라믹·석영 사업부는 오하이오 시스터반리에 위치해 있다. 모멘티브 실리콘 법인은 KCC와 SJL이 각각 50%씩 지분을 나눠 갖고, 세라믹·석영 법인은 SJL과 원익이 50%씩 보유할 방침이다. KCC의 실리콘 사업부를 따로 분리해 모멘티브 실리콘 법인과 통합하거나 그 산하에 두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맥락에서 원익의 세라믹·석영 사업도 분리해 모멘티브 세라믹·석영 법인과 통합하는 방안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국내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수조 원대 크로스보더 딜이 성사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임석정 SJL파트너스 회장의 역할이 컸다. 당초 이번 딜은 모멘티브의 석영·세라믹 사업군에 관심이 있던 이용한 원익 회장이 임 회장에게 공동인수를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아폴로가 모멘티브를 절대 쪼개 팔지 않을 것으로 봤던 임 회장은 평소 인연이 두터웠던 정몽진 KCC 회장도 참여시켜 모멘티브 전체를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는 후문이다.

모멘티브는 원래 중국계 화학기업에 넘어갈 뻔 했지만 결국 한국 기업의 품에 안기게 됐다.

-------------------------------

중국 기업에 넘어갈 뻔 했던 세계 2위의 실리콘 회사 모멘티브(GE실리콘)이 갑자기 한국의 KCC에 인수되었습니다. 정말 자랑스러운 일입니다.

함께 입찰에 참여한 원익그룹이라는 회사는 삼성의 주요 협력사로, 국내 기업 중에서 상당한 반도체 장비 기술력을 갖춘 회사로, 떠오르는 태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익그룹도 세라믹, 석영 분야에서 세계 1위인 모멘티브를 인수함에 따라 단숨에 엄청난 원천기술들을 확보하고 세계 1위 세라믹, 석영 회사가 되었습니다.

원래 이런 분야는 한국이 일본에게 좀 밀렸는데, 조금씩 조금씩 일본의 소재 기업들이 압도적인 규모의 한국 소재 대기업들을 우러러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4457205 18-09-14 21:27
   
스크레치 18-09-14 21:28
   
굿
lanova 18-09-14 22:22
   
장기적으로 실리콘은 kcc, 석영-세라믹은 원익이 인수하는 형태로 거래구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7310100056520003514
노원남자 18-09-15 05:29
   
돈빨로는 중국이 압도적으로 내세워서 인수할법한데 아무래도 미국이 중국을 아주 극딜넣는시국인지라 미국기업이 중국에 팔려가느니 한국에 팔겠다란것같이 보이네요.
멀리뛰기 21-01-02 14:47
   
[기타경제] KCC에서 엄청 대단한 일 하나 터뜨렸습니다.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37
   
[기타경제] KCC에서 엄청 대단한 일 하나 터뜨렸습니다. 멋진글~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076
12880 [기타경제] 韓 조선 누적수주 "중국·일본 합친 것 보다 많아" (7) 스크레치 09-11 3660
12879 [기타경제] 미중 무역전쟁이 미국의 일방적인 승리가 아닌 이유 2 (13) 가을겨울 09-12 2328
12878 [전기/전자] 삼성전자, AT&T와 美 5G 전국망 구축한다 (3) 스크레치 09-12 1208
12877 [자동차] [현대기아 질주] 세계 SUV시장 점유율 TOP 5 순위 (상반기) (8) 스크레치 09-12 2566
12876 [잡담] 8월 자동차 생산·수출·내수 동반 상승..올 1월이후 처음 (6) 그림자악마 09-12 1371
12875 [부동산] 잠실 엘스 10년간 실거래가 (8) 자의뉴스 09-12 2535
12874 [기타경제] 해외로 떠나는 중국기업들 (7) 귀요미지훈 09-12 3461
12873 [전기/전자] 삼성전자, 자율주행차 핵심 'GPU' 직접 만든다 (20) 스크레치 09-12 3108
12872 [금융] 미중 무역전쟁 진행상황 (10) 십자군 09-12 3916
12871 [부동산] 전 세계 부동산 버블 팽창…IMF 글로벌주택가격지수 사상… (5) 십자군 09-12 2132
12870 [전기/전자] 주목받는 삼성 반도체 패키징 (13) 스크레치 09-12 5340
12869 [과학/기술] 울산과기원, 휘발유보다 효율 높은 전기차 배터리 개발 (7) 귀요미지훈 09-13 2289
12868 [기타경제] 유럽대륙 1인당 GDP 증가현황 (5년간) (10) 스크레치 09-13 2124
12867 [기타경제] (대만언론) 대만기업들 중국 철수 고려 중 (7) 귀요미지훈 09-14 3997
12866 [전기/전자] [단독]삼성전자 "2025년 완전 자율주행" (13) 스크레치 09-14 2574
12865 [잡담] SK텔레콤이 화웨이 도입안한 이유는..KT도 마찬가지 일듯 (11) 페레스 09-14 2532
12864 [과학/기술] 반도체에 빛 쏘면 스스로 도핑…"전도도 10만배 향상" (4) 진구와삼숙 09-14 1456
12863 [전기/전자] SKT, 화웨이 5G장비 안쓴다… 삼성·에릭슨·노키아 선택 (7) 스크레치 09-14 1140
12862 [전기/전자] LGD '아이폰 OLED' 제2 공급사...삼성 독점 깨졌다 (3) 스크레치 09-14 1267
12861 [기타경제] KCC에서 엄청 대단한 일 하나 터뜨렸습니다. (6) 4457205 09-14 3209
12860 [기타경제] [미래에셋]박현주 ‘책임경영’ 통했다...세전이익 1조원… (4) 4457205 09-14 1211
12859 [자동차] 현대·기아차, 멕시코 등 신흥시장서 거침없는 질주…목… (7) 스크레치 09-14 1939
12858 [전기/전자] 마냥 못 웃는 LGD...수율 낮아 애플 주문량 맞출지 불투명 (12) 스크레치 09-14 2441
12857 [기타경제] 일본인 관광객 '20%↑'… 한국관광공사 "여세 몰아… (17) 스크레치 09-14 2735
12856 [기타경제] 싱가포르 지도 바꾼 현대건설의 대역사 (13) 스크레치 09-14 354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