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3-06 23:42
[잡담] 한국 출산율 증가 가로막는 두 번째 원인 - 노동시간
 글쓴이 : conanmoon
조회 : 2,151  

최근 현 주당 최대 52시간인 법적최대허용 노동시간을 69시간으로 늘리겠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64시간과 69시간 중에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데, 두 가지가 근본적으로 그렇게 많이 차이나는 정책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전 세계 선진국들은 근무시간을 줄이고 주 4일제도 논의하는 상황에서, 정말 후진적인 정책이라고 보는데요.

가뜩이나 출산율이 떨어지는데, 노동자를 배려하지 않는 정책을 고수하는게 현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게 아닐까하는 우려가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생각해봐도, 주당 69시간을 일한다면 주 5일로 따졌을 때 13~14시간을 일해야 겨우 채워지는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자는 시간이외에는 일만 하게끔 할 수 있게 해준다는거죠. 그러면 가뜩이나 칼퇴도 안되는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퇴근 후 다른 걸 생각할 시간도 없을 거고, 주말에나 연애를 할 수 있을텐데, 주말에도 힘들어서 밖에 나가기 귀찮고 잠만자면서 월요일을 준비해야하는 사람들이 지금도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더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정책이 아닌지 우려되기 때문이죠. 

그런데 정말 노동시간의 증가가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게 맞는지, 관련 연구 결과가 실제하는지 궁금해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내용을 보면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

"Cox의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노동시간은 둘째 자녀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노동시간이 1시간 늘어나면 둘째 출산 확률은 약 1.61% 감소하였고, 주당 40시간 이하로 일하는 남성에 비해서 61~80시간 일하는 남성의 경우 둘째 출산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남성의 직업별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사무종사자에 비해서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일 경우 둘째 출산 위험이 약 13.78배 높았다. 첫째 자녀의 연령을 만 5세 이하로 제한하여 분석한 경우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녀 연령이 만 5세 이하일 때 취업여성의 경우는 남성 노동시간과 가사노동시간이 각각 둘째 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이며, 비취업여성의 경우 가사노동시간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아니지만 남성이 노동시간을 줄이면 가사노동시간을 늘려 이것이 둘째 자녀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매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첫째나 셋째 자녀 출산을 분석해본 결과 이때는 남성의 노동시간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연구 결과는 "첫째" 자녀 출산에 대해서는 노동시간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이 한 명 낳는 것은 노동시간이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거겠죠. 조금 놀라운 결과입니다. 뭐 생각해보니 첫 아이를 낳는 것은 남녀가 서로 좋아하면 별 문제없이 가능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듭니다.

그러나, 현 상태 인구 유지를 위한 최소 필요 출산 율은 2.0을 넘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결국 부부당 아이를 최소 둘은 나아야 그 사회가 저출산의 걱정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둘째"를 낳느냐, 안 낳느냐가 출산율 유지의 관건이겠군요.

그럼 "둘째"를 낳는데 있어서는 노동시간이 어떤 영향을 줄까요? 위 내용 중 관련 문구를 짚어보겠습니다. 

"남성의 노동시간은 둘째 자녀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노동시간이 1시간 늘어나면 둘째 출산 확률은 약 1.61% 감소하였고, 주당 40시간 이하로 일하는 남성에 비해서 61~80시간 일하는 남성의 경우 둘째 출산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남성의 직업별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사무종사자에 비해서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일 경우 둘째 출산 위험이 약 13.78배 높았다. "

남성의 노동시간이 1시간 늘어나면, 둘째를 "출산하지 않을 확률"이 1.6% 정도 늘어난다고 하네요. 그럼 69시간에서 40시간을 제외한 29~30시간을 이 비율에 곱해보겠습니다. 1.6 * 29~30 = 46.4% ~ 48% 정도 나오네요. 69시간 일하면 거의 46% 가까이 개인의 둘째 포기 확률이 높아진다는 거네요. 그럼 우리나라의 모든 첫째를 가진 부부들 중 절반 정도는 둘째를 포기하게될 수 있다는 거네요. 같은 조건에서 사무직보다 몸쓰는 일에 종사하는 분들은 둘째 포기 위험이 거의 14배 높다고 하니, 몸쓰는 분들은 거의 둘째를 안 낳을 수 있다는 말로 들리네요.

이렇게 찾아보니,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69시간 정책은 국가가 출산율에 대해서 진지하게 걱정하고 고민하고 있지 않다는 말로 밖에 해석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저출산을 더 가속화 시키고 싶어 안달난게 아닌가하는 생각이듭니다. 저만해도 야근이 너무 많이하는 직장에서는 사귀던 연인에게 재때 연락하기가 힘들었습니다. 일하는 동안 여유가 없고, 집에 가서는 너무 피곤해 뻗기 바빴죠. 그러다보니 연인에게도 소홀해 질 수 밖에 없고, 결국 헤어진 기억이있습니다. 이게 저만 이상한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자기 살기 바쁘면 다른 이를 돌보거나 다른 사람과의 진지한 관계를 이어나가고 발전시키는게 힘든 분들도 분명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기분을 아시는 분들이라면, 이러한 정책이 과연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어떤 긍정적 결과를 가져다 줄지 의문입니다. 

이번 정책으로 현 정부는 청년들 삶의 여유를 조금 더 주고, 그들이 연인을 만나 결혼과 출산을 생각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생각이 전혀 없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그냥 회사를 위해 자기 삶도 없이 노예처럼 일만했으면 좋겠다는 노골적인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보고, 그렇게해서 너희의 건강이 어떻게되든 회사와 국가의 경제를 위해 희생만하라고 권장하는 듯 보입니다. 또한 한국으로의 이민을 생각하는 외국인들에게도, 이렇게 회사와 국가를 위해 희생할 각오가 없으면 이 나라에 들어오지마라는 의사를 매우 강력하게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정책이 버젓이 시행될 수 있는 나라에 그나마 저녁이 있는 삶을 보장하는 북미, 유럽등의 선진국들을 놔두고 누가 이민을 오려할지도 참 의문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dlrjsanjfRk 23-03-07 06:03
   
출산률을 말하는 윤가와 노동시간을 말하는 윤가가 둘이서, 멱살잡고, 싸우는 중. 대환장파티가 따로 없습니다. 두 정책끼리 충돌을 해버린겁니다. 개판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죠. 있으나 마나한 정부며, 무정부상태라는 말을 하는이유. 너무도 비효율적이며, 너무도 비상식적인 두 정책이니까요. 두 정책이 서로 이겨보겠다고, 충돌을 하는 꼴이죠.
     
dlrjsanjfRk 23-03-07 06:08
   
로드맵조차 없으며, 준비조차 안되어 있으며, 그때그때 나오는대로 하다보니,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난거죠. 월급값, 밥값조차 못하는 인간들입니다. 기생충이 따로 없죠. 여기저기 검사출신들을 낙하산으로 처 집어넣으니, 문제가 안생길수가 없으며, 전문직은 전문가에게 맞겨야하는 이유입니다.
엄청난녀석 23-03-07 14:05
   
우리 아버지 세대나 할아버지 세대만 놓고보면
노동시간과 출산율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걸 알 수 있음.
그들에겐 쉰다는 것이 없었지않나요?
그냥 삶의질 향상으로 인해 눈은 높아졌는데 본인들의 월급으론 해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출산을 포기하는겁니다.
막말로 가진것 많고 많이 버는 사람들은 결혼도 잘하고 자식들도 많이 낳아요.
KKIRIN 23-03-08 11:55
   
마음 속에 "헬조선"이라는 단어가 빠지지 않는 한, 출산율은 올라가지 않을 것입니다.
호밀빵 23-03-09 07:52
   
나무만 보는 거랑 같잖아.
부동산도 해외랑 비교할 때, 일부만 보고 저걸 우리도 따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사회 현상은 여러가지 문화가 맞물려 돌아가기 때문에 하나만 따라할 수 없다.

저출산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이유를 나열하면...
1. 농경 국가에서 출산은 생산이었지만, 도시 국가에서 출산은 비용으로 변한다.
2. 수도권 집중 현상. 그로 인한 부동산 거품, 주거 불안정.
3. 청년 취업의 어려움... 직업이 안정되어야 집도 사고, 결혼도 하고, 출산도 할 여유가 생기지.
4. 고령화 국가로 진입하면서 사회의 노인 부양 부담.
5. 인터넷, 게임, AV 로 인한 인간의 욕구 해소.
6. 이러한 문제를 모두 이겨내고 결혼했을 때, 맞벌이, 노동 시간, 양육 문제...
7. 내가 겪었던 걸 자식도 겪어야 하는 교육열, 사교육, 입시지옥,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 그리고 다시 반복되는 청년 취업 문제...
8. 나와 사회는 부모님을 모셨는데, 나는 홀로 서야 한다는 노후 문제.

한국의 저출산은 이 모든 것들이 맞물려 돌아가는 거다.
이중에서 하나만 꼭찝어서 해결하기도 힘들지만, 설사 그렇게 한다고 해도 저출산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코로나 시국에 세계가 금리 내리고 집값 오르는데, 문재인이 뭘 했으면 달랐을까?
반대로 미국이 금리 올리고, 윤석렬은 금리 동결하고 모든 대책 다 쏟아내지만 폭락을 못 막잖아.
베이비붐 시기 때, 애 하나만 낳고 정관 수술 받으면 아파트 준다고 했어. 그래도 6-7 명씩 낳았다.

때가 되면 변화의 흐름이 생겨. 한국은 아직 그 때가 안된 것 뿐이야.
 
 
Total 1,50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1 [잡담] 현대차, 2월 베트남 5467대 판매…전월 比 56.3%↑ 축신 03-21 1453
1130 [잡담] 대중국 반도체 장비 규제로 가장 큰 손실을 보는 건 미국… (14) 강남토박이 03-21 1726
1129 [잡담] 크리스 밀러 교수: 한국은 미국 반도체 전략의 최고 수혜… (4) 강남토박이 03-20 4365
1128 [잡담] 삼성의 반도체 투자와 더불어 로봇에도 투자한 것은 역… (7) 야크조 03-20 3373
1127 [잡담] 칩스 법은 대놓고 TSMC 저격법 ㄷㄷㄷ (8) 강남토박이 03-19 3945
1126 [잡담] 정인성 작가 "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재와 시장 특성 " 조지아나 03-19 2698
1125 [잡담] Chat gpt 무료 앱 주의요함_ 강제 카드 자동결재 조지아나 03-18 1396
1124 [잡담] 중국 반도체 공장 앞으로 어떻게 되냐는 질문이 많은데 (6) 축신 03-18 2769
1123 [잡담] 현기차 미국,인도에서 떡상중 (4) 강남토박이 03-18 3118
1122 [잡담] 삼성전자 300조 투자 남사 215만평 계발 계획.jpg (2) 축신 03-18 2207
1121 [잡담] TSMC 떡락 삼성전자 떡상!!! (4) 축신 03-18 3837
1120 [잡담] 버핏, JS모건, 블랙록이 TSMC 팔아치운 이유 ㄷㄷㄷ (4) 강남토박이 03-16 3816
1119 [잡담] 대기업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율 15%로 확대 / SBS (4) 조지아나 03-15 1873
1118 [잡담] 이재용, 반도체 '승부수…용인 파운드리에 300조 투자 조지아나 03-15 1928
1117 [잡담] “인도 문익점? 인도→한국, 국내 참깨 80% 인도산” 참… (8) 조지아나 03-14 4150
1116 [잡담] "중국 대체할 엄청난 IT소비시장 찾았다"… 인도 추켜세… (2) 조지아나 03-14 2200
1115 [잡담] 인도,'글로벌 생산기지'노동 시간 제한 완화 12시… (2) 조지아나 03-14 1220
1114 [잡담] 美상무장관 "인도와 반도체 협력 강화"…보조금 '교… 조지아나 03-13 1156
1113 [잡담] 반도체 칩스 법 최대 수혜국가는 대한민국임 (30) 강남토박이 03-12 4266
1112 [잡담] 광고 모델 어떨지요? 14세 소녀 스노우 보드 셰게 챔피언 (5) 조지아나 03-09 3855
1111 [잡담] SK 유착의혹 사모펀드 '증권 금융 합수부" 수사 대상… 조지아나 03-08 1952
1110 [잡담] 미국이 반도체 관련해서 중국 현지 생산을 제재하는 것… (65) 야크조 03-08 5373
1109 [잡담] [영상] 이란 "세계 2대 리튬 광산 발견"… (9) 조지아나 03-07 2915
1108 [잡담] 미 반도체과학법 견딜 방법은 있다 (7) 디저 03-07 2809
1107 [잡담] 한국 출산율 증가 가로막는 두 번째 원인 - 노동시간 (5) conanmoon 03-06 2152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