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1-22 23:24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까지 걸린시간 (3만불 -> 4만불까지)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677  

대한민국이 5~6년뒤인 2023년이나 2024년경 

1인당 국민소득 4만불 돌파가 예상되는 가운데 


역대 주요 선진국들이 

3만불대 국민소득에서 4만불대 국민소득까지 돌파하는데 걸린 시간 







<주요 23개 선진국 3만불 -> 4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최단기간순) (IMF 역대 국민소득 현황) 



1. 영국, 아일랜드, 네덜란드 (1년) 

2. 캐나다 (2년) 

3. 호주, 일본, 핀란드 (3년) 

4. 프랑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벨기에 (4년) 

5. 대한민국, 미국, 스위스, 뉴질랜드, 아이슬란드 (6년) 

6. 노르웨이, 이스라엘 (7년) 

7. 덴마크 (9년) 

8. 오스트리아 (11년) 

9. 독일 (12년) 

10. 스웨덴 (13년) 

11. 스페인 (18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ulpen 18-11-23 17:58
   
영국은 1년만에 돌파 일본도 3년만에 돌파했는데

영국은 10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4만불전후
일본은 20년이 다 되어가는데 여전히 4만불전후...

의외로 2~3만불 사이도 장벽인데 4만불도 장벽이 커서 도달시기보다는 지속성장 가능성이 더 중요한거 같습니다.
     
스크레치 18-11-23 23:05
   
3만불 장벽이 선진국들에게도 가장 큰 벽이긴 했습니다.

그러나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듯합니다.


주요선진국 상당수가 3만불 넘길 당시인 80~90년대엔 세계경제가 아직 성장기에 있었고

그래서 3만불 넘긴이후 금방 4만불까지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일본도 90년대 초반에 3만불 넘기고 90년대 중반에 바로 4만불 넘겼거든요

그러나 그 이후 3만불대로 추락후 상당기간 3만불대에서 맴돌다가

올해 다시 4만불대로 올라갔습니다.



이제 3만불대 선진국으로 도약한 대한민국은

현재 세계경제가 미국의 보호주의 등 전반적으로 호황기는 아닌지라

5~6년 정도 소요될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듯하구요



님말씀대로 4만불대 이후에서 치고 나가는게 안정적으로 성장하느냐의 핵심이긴 한듯합니다.

3만불대 국가들은 대다수 4만불대로 진입하는건 거의 확실했습니다.

(큰 재정적인 문제등이 없는 나라였다면요)


대한민국도 5년 정도 뒤 4만불대 진입한 이후엔

좀 더 세밀한 정책등을 세워서

5만불, 6만불 시대를 지금부터 미리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할것으로 생각됩니다.
프리홈 18-11-24 03:07
   
4 만불 달성은 좀 시간이 걸리더라도.....
5 만불이나 6 만불시대에 관해서는..... 그땐 어느정도 통일이 무르익은 때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비핵화가 진척이 되어서든가 아님 북한이 이미 한방 맞든가  해서리.....
의외로 빠를 수가 있어요.
     
스크레치 18-11-24 22:25
   
대한민국 국민소득에

북한 변수는 가급적 집어넣고 싶지는 않습니다.

워낙 북한은 변수가 많은 나라이고 뭔가 정해진게 없는 나라라


지나친 환상도 금물이고

지나친 부정도 금물이라는 생각일뿐입니다.


워낙 김씨 3대 독재를 이어오고 있는 사실상 왕조국가라

정상적으로 과연 국제사회에 비핵화후 나오게 될지

지켜봐야할거 같습니다.


대한민국이 주도적으로 평화적인 체제 구축을 위해서 고군분투하는 모양새인데

북한이 그것만큼 따라오지 않는게 현 상황인지라


빠르게 비핵화후 국제사회로 나오길 간절하게 바랄뿐입니다.
멀리뛰기 21-01-02 15:02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까지 걸린시간 (3만불 -> 4만불까지)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50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까지 걸린시간 (3만불 -> 4만불까지)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03
12548 [과학/기술] 中 낸드플래시 6세대 직행..D램도 韓 타도 노골화 (39) 참치 11-19 5562
12547 [기타경제] 운임 상승에 LNG선 발주도 증가…조선 '빅3' 최대 … (3) 스크레치 11-19 2100
12546 [자동차] 제네시스 생산 2배로...내년 30만대 시대 연다 (4) 스크레치 11-19 1936
12545 [전기/전자] 삼성의 10년 기술 집약체 '갤럭시S10', 이렇게 나온… (7) 스크레치 11-19 3920
12544 [전기/전자] LG전자, '제네시스 G90'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공… (4) 스크레치 11-19 2686
12543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일본도 만들 수 있을까? 소니·샤프 계획 … (9) 스크레치 11-19 5730
12542 [과학/기술] 곤충 눈 구조 띤 초박형 카메라 개발 (6) 진구와삼숙 11-20 2507
12541 [기타경제] 달러채권 발행 中기업 '지급불능' 급증..中경제 &#… (9) 한대범 11-20 4403
12540 [자동차] 베트남 최초 국산차 가격 공개 (23) 귀요미지훈 11-20 5100
12539 [기타경제] 국민소득 1만불 이상 중위권 이상 개발도상국 현황 (2018… (2) 스크레치 11-21 2005
12538 [과학/기술] 근육 만드는 3D 프린터...상처 재생에 효과 (6) 진구와삼숙 11-21 1578
12537 [전기/전자] 3D증강현실까지..삼성 폴더블폰 '홀로그램' 품었… (6) 진구와삼숙 11-21 2231
12536 [과학/기술] "中 '반도체 굴기' 답보상태..D램은 불가능, 낸드… (9) 월하정인 11-21 4342
12535 [전기/전자] 외신 "삼성, 5G 갤럭시S10에 스냅드래곤 대신 엑시노스 사… (4) 스크레치 11-21 3199
12534 [자동차] 현대차 수소전기버스, 서울시 시범 투입…내년부터 6개 … (3) 스크레치 11-21 1463
12533 [전기/전자] 삼성전자, 유럽 전체 TV 점유율 33%로 1위…프리미엄 TV 62% … (3) 스크레치 11-21 2462
12532 [기타경제] (중국조선 실체)“오일·가스 한국 못 따라가” 절망 깊… (16) 스크레치 11-21 6760
12531 [과학/기술] 中, '반도체 올림픽'서 3위 부상..'반도체 굴기… (5) 참치 11-22 3526
12530 [전기/전자] 중국의 삼성 OLED 기술 탈취에 美도 화났다 (5) samanto.. 11-22 4358
12529 [과학/기술] KAIST, 초소형X-선 튜브·근접 암치료장비 개발 (4) 진구와삼숙 11-22 1905
12528 [전기/전자] 삼성전자 D램 3분기 점유율 45% 회복…낸드 35.6% (3) 스크레치 11-22 1777
12527 [전기/전자] 코오롱-SKC '폴더블폰 필름전쟁' (7) 스크레치 11-22 2543
12526 [전기/전자] 삼성 TV, 13년 연속 `세계 1위`·`점유율 30%` 눈앞…`QD OLED` … (6) 스크레치 11-22 2007
12525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까지 걸린시간 (3만불 -> 4만불… (6) 스크레치 11-22 2678
12524 [잡담] 미국에서 동맹국에 화웨이 5G 사용 금지 권고 (15) 꿈결 11-23 3065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