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1-31 23:36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 앞세워 37조 OLED 초격차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21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023650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에서 가장 앞선 삼성전자가 기술 격차를 벌리기 위한 폴더블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폴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스마트폰 등 


첨단 제품을 개발해 차별화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1-31 23:36
   
Y금강불괴Y 18-02-01 00:25
   
과거 폰기능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를 만들었을때의 그 웃기지도 않는 디자인을 보고 망삘~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아주 쫄딱 망하더만.... 폴더블폰을 보면 그때의 이미지가 겹쳐져 걱정이네.
굳이 왜???? 
직관성과 편의성을 높여서 하드웨어하고 소프트웨어를 스마트하고 심플하게 폰을 만들었더만,,,  잡다한 기능만잔득넣고 가격만 엄청 올린 일본 폴더폰이 생각난다. 

개인적으로 품질과 수율을 높이고 대량 생산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는게 현명할듯 싶다.
단가로 LCD를 씹어먹고 다방면의 시장개척으로 이익을 많이 내는게 초격차라고 생각하는데.

폴더블폰에 OLED를 붙여 넣는다고 초격차가 나는지, 인기나 생길지 의구심이 든다.
단지 나만의 노파심이길 바라며, 꼭 대박나길 바란다.
     
다크사이드 18-02-01 00:40
   
     
나가고싶어 18-02-01 03:00
   
그 자존심 강한 애플이 삼성를 따라한게 화면를 키운 것 입니다.
소비자들은 화면를 큰걸 선호하기 때문이죠
말하신 폴더폰은 화면이 작아 여러가지로 이용하기 어렵고
스마트폰으로 화면를 키워봤더니 소비자들 입장에서 편리하게 유용하게 쓰였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최대치까지 키우게 되었는데 이 이상 넘어가면 소비자들이 부담스러워 하죠( 소비자들은 화면 큰걸 선호하지만 평소에 한손으로 들고 다니고 사용하는걸 선호 하기도 함....)
그래서 생각해낸게 갤럭시탭과 스마트폰를 결합한  접이식 스마트폰를 내놓을려고 하는 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daMashXTk
     
푹찍 18-02-02 00:57
   
착각하시는게 폴더블 이전에 oled 입니다. ㅋ
즉 백라이트 없는 oled 만 폴더블을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지요 ㅋ
oled만 있으면 폴더블만 될까요? 롤러블도 됩니다. ㅋ
남들은 현재 만들지도 못하는 일반 oled를
플렉시블 oled로 진화 시키는 행위 가 바로 초 격차 이죠 ㅋ
뭐 그것도 잡다한 기능이라고 치부 하면 할 말 없겠지만 ㅋㅋㅋ
     
몽씨 18-02-04 06:00
   
예전 일본이나 최근 짱개가 내놓은 단순히 폴더폰에 화면만 2개인 oled가 아니라... 대화면 oled를 접는 폴더를 말하는겁니다. 구부러지는 oled를 접히는 부분의 내구성문제를 극복시켜 접었다 펼수 있게...
따라서 펼쳤을때 이음부분이 없는 하나의 화면인겁니다.
스마트폰으로 영상볼때 조금더 컸으면 좋겠죠?
크기는 더 작은데 펼치면 지금보다 더 큰 화면의 스마트폰... 전 가지고 싶은데요.
kira2881 18-02-01 20:50
   
외계인 고문 시작 ㅋ
멀리뛰기 21-01-02 09:29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 앞세워 37조 OLED 초격차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3:47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 앞세워 37조 OLED 초격차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42
12498 [기타경제] 유니클로, 오프라인 이어 온라인서도 '된서리' (8) 굿잡스 08-08 4215
12497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 앞세워 37조 OLED 초격차 (9) 스크레치 01-31 4214
12496 [전기/전자] 뒤집은TV…한국 세계1위 탈환, 중국 ‘석달천하’ (14) 스쿨즈건0 08-22 4214
12495 한국병원들도 로봇 도입? (4) 뉴타입 05-23 4213
12494 [기타경제] 불매 대상 日데상트, 中 으로 간다.. (12) 스쿨즈건0 08-29 4213
12493 [기타경제] 세계10대 경제대국 순위 (2021년) (IMF) (11) 스크레치 02-28 4212
12492 [잡담] 현대 기아 미국 시장 근황 ㄷㄷㄷ (4) 강남토박이 05-02 4212
12491 [기타경제] 2018 gdp 갱신되었네요.. (19) 붸르트리제 05-10 4210
12490 [기타경제] 한국이 강대국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8) 모로윈더 05-06 4210
12489 [전기/전자] 日 기업들 반도체·소재 韓 '우회 수출' 추진 (12) 너를나를 08-10 4210
12488 [과학/기술] 중국 OLED 공장에 한국인 엔지니어가 1500명? (19) 귀요미지훈 12-21 4209
12487 [기타경제] 또 유니클로···'혐한' 작가 "티셔츠" 팔다 걸… (10) 스쿨즈건0 08-23 4208
12486 [잡담] 싱가포르,인니가.. (16) 그대만큼만 11-25 4208
12485 [전기/전자] 인텔 10nm 공정실패 인정... ”7·5nm 전환 가속화할 것” (7) 스크레치 03-08 4208
12484 LG디스플레이, UHD TV 패널 시장 1위 (9) 스크레치 02-20 4207
12483 '제2 전진기지' 베트남 투자 갈수록 확대하는 삼… (8) 스크레치 06-26 4207
12482 테슬라 신차 근황[외계인고문수준] (7) 케인즈 11-18 4207
12481 [전기/전자] [中 ZTE 영업중단 선언] "美 제재때문에 회사 못하겠다" (11) 스크레치 05-11 4207
12480 [잡담] 2023년 4월 GDP 경제력 순위 IMF 최신 버전 간단 요약 (8) 한국국대대 04-12 4207
12479 [기타경제] GDP 1조달러대 국가 현황 (2023년) (14) 스크레치 08-24 4205
12478 [기타경제] 올해 일본 무역적자 16년만에 최저 전망 (16) 귀요미지훈 11-18 4205
12477 반도체 맹주, 26년 만에 미국서 한국으로 (3) 스크레치 06-08 4204
12476 [기타경제] 트럼프. 시진핑/중국 조지는 방법은 시진핑의 아이디어 (14) 스포메니아 05-24 4204
12475 [기타경제] 韓日 수출입 비교 (18) 높은꿈 07-06 4204
12474 [기타경제] 말 바꾼 일본..."수출규제, 한국 아닌 일본내 관리 미흡 … (7) 스쿨즈건0 07-13 4204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