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4-20 19:25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태국 향후 국민소득 현황 (IMF)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109  

최근 10여년간 1만달러 내외, 1만달러~1만 5천달러 사이 국민소득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거나 

계속 도달하지 못하고 


소위 말하는 깊은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의 

향후 5년간 1인당GDP 현황 






1. 태국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향후 국민소득 현황> (IMF) 



* [참고] (2026년 대한민국 1인당GDP - 4만 2773 달러) 



<1. 태국>


- 2021년 (7702 달러)
- 2022년 (8247 달러)
- 2023년 (8664 달러)
- 2024년 (9065 달러)
- 2025년 (9522 달러)
- 2026년 (1만 7 달러) 




지독한 중진국함정에 빠진 대명사 "태국" 

5년뒤 2026년 드디어 태국 역사상 처음 1인당GDP(명목기준) 

1만불 고지를 밟아보는것으로 나왔습니다. 


물론 5년이라는 비교적 장기간의 예측이기 때문에 

그대로 들어맞지 않을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봅니다. 


또 미끄러지고 미끄러지고를 반복할수도 있구요 



1만불 박스권 돌파가 앞으로도 생각보다 매우 어려워보이는 

태국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1-04-20 19:55
   
태국이 중진국이 될 수 있었던게 하드디스크 조립, 반도체 조립 등 미국 일본 등의 유수한 전자 컴퓨터 업계의
하청기지,  조립공장 역할을 잘 했던 덕이지요. 하지만 관광 이외에 이렇다할 독자적인 산업이나
세계적 브랜드나 대기업을 발전 시키지는 못했지요. 그래서 더 이상의 발전은 어려운 겁니다.
이보다 국민소득이 오르면 인건비가 올라서 더이상 하청기지 역할을 하기 어려워지는 거죠.
그렇다고 중국이나 인도 같이 자체적인 소비시장이 규모가 되는 것도 아니고.
     
스크레치 21-04-20 22:13
   
공감합니다.
서클포스 21-04-20 21:48
   
일단 선진국들 전세계 지도 딱 보면 거의 비슷한 위도 에 위치하고 있음.. 즉 어느 정도 기온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봄..
     
스크레치 21-04-20 22:13
   
그런얘기도 있긴하죠
     
엘리자비스 21-04-21 05:45
   
?? 북유럽은 선진국중 고소득 국가인데여? 호주도  캐나다도 비슷한 위도가 아니라 그냥 낭설임 ㅋ
          
흑수선 21-04-21 09:16
   
캐나다는 북유럽과 위도가 비슷함....!
다크나잇트 21-04-20 22:11
   
태국은 영토 크기랑 인구는 프랑스랑 비슷하고, 식민지도 안겪었고 내전도 안겪었는데 왜 국민소득이 그것밖에 안되는지 신기하네요.
     
스크레치 21-04-20 22:14
   
뭐 영토크기와 인구만 있다고 선진국이 되는건 아니니
신서로77 21-04-20 22:14
   
어디든 기득권들이 있지만 태국도 고인물들이 엄청나죠..왕실부터해서... 애효...서민들이 민주화열풍을 끄면 안되는데요..
     
스크레치 21-04-20 22:19
   
국가 1인당GDP는 저 지경이지만

또 그런 태국에 갑부들은 상당히 많은편이라는

그만큼 부가 한쪽으로 편중되었다는 얘기기도 하겠죠
     
안알려줌 21-04-20 23:02
   
지역색 민족 갈등도 있고

신분제가 너무 강하게 고착되서

연예인도 하얀 혼혈들이 득세하니..
디비디비딥 21-04-21 02:32
   
동남아 가보면 일본 자본이 다 빨아먹고 있는것 같아요.
스스로의 자본이 축적되고 인력과 기술을 갖춘 회사를 만들어야 하는데
당장 먹기 좋다고 일본 자본 받아들여 유통.제조업 모두 내준 결과죠.
인씨네 21-04-21 06:35
   
군사쿠데타가 만연한 나라가 선진국이 될 수 없죠.
민주주의와 정치의 선진화없이는 국가전반에 비효율화가 만연하기 때문에 경제도 낙후될 수밖에 없는...
토미 21-04-21 09:10
   
애들은 태어나면 가장 먼저 보는게 부모가 아니라 왕들 사진먼저 보고
왕을 신격화했으니.

나라꼬라지가 왕족이 국가의 부를 절반 차지하고 군부가 2위를 차지하니

나라가 발전을 할 수 가 없지.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04
12248 [기타경제] 화웨이 "美시장 포기 못해"…저가공세 펼쳐 (11) 스쿨즈건0 07-25 4109
12247 [전기/전자] TSMC, 5㎚ 초미세공정 선점..삼성전자, 내년 '3㎚'로… (26) 행복찾기 02-25 4108
12246 [기타경제] 경제 재재요? ㅎㅎㅎ (16) 객관적평가 07-04 4108
12245 [전기/전자] 삼성전기 2년뒤 日추월 세계2위 노린다..스마트폰 대신 … (9) 스크레치 07-08 4107
12244 현대차 아이오닉, '전기차 천국' 노르웨이서 '… (8) 스크레치 12-07 4106
12243 자영업자 21%, 월 100만 원도 못 벌어 (7) 블루하와이 12-23 4106
12242 [전기/전자] "D램 안부럽다"…0.3mm MLCC의 힘 (11) 스크레치 10-19 4106
12241 [기타경제] 中 조선소 기술력 민낯…LNG추진 컨선 인도 '삐걱' (21) 스크레치 07-27 4106
12240 세계 TV시장 순위 (2017년 2분기) (4) 스크레치 08-23 4105
12239 [기타경제] 日아베의 오판 7월 수출감소액 일본이 한국의 70배 (3) 스크레치 08-23 4105
12238 [전기/전자] 한국생산기술硏 '실시간 증착막 측정 시스템' 개… (4) 진구와삼숙 09-16 4105
12237 [기타경제] 韓 스페인갈등 봉합했다 ...스페인 언론 대서특필 (12) 스크레치 06-23 4105
12236 [자동차] 현대기아 美서 日혼다제쳐 (16) 스크레치 08-09 4105
12235 [잡담] 가격 폭등이 진압되고 있음 (12) 진실게임 07-03 4104
12234 삼성전자, 미국 생활가전시장에서 처음 점유율 1위 (4) 스크레치 02-01 4102
12233 [과학/기술]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눈앞...세계 5번째 (9) 귀요미지훈 09-19 4102
12232 미국의 9월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분석한다 (日시사잡지 (2) Shark 09-09 4101
12231 [기타경제] '일본을 알아야 일본을 이긴다'오늘의책.. (10) 개포사람 09-27 4101
12230 애플, 삼성디스플레이에 OLED 6000만개(약 5조원) 추가 주문 (4) 스크레치 02-12 4100
12229 [전기/전자] "팹리스들은 TSMC 독주를 막을 삼성을 기다린다" (6) 스크레치 05-18 4099
12228 [기타경제] "WFP, 한국에 감사패…식량 수혜국서 공여국 된 유일한 나… (7) 스크레치 03-20 4099
12227 [과학/기술] 韓 양자기술 패권 위해 산학연이 뭉쳤다 (12) Architect 06-30 4099
12226 [기타경제] 세계 기업 순이익 TOP10 (15) SpeedMania 08-04 4098
12225 [자동차] 日전기차 존재감 사라져…'톱10' 순위권 밖 (28) 스크레치 02-18 4098
12224 러시아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3분기) (3) 스크레치 11-18 4097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