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03 19:11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078  

현재 전세계 경제를 대표하는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 


아시아 대륙의 양대 주요 선진국인 대한민국과 일본 

유럽 대륙의 5대 주요 선진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을 대표하는 선진국들의 

인구 규모와 2018년,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명목 GDP 현황을 비교 













[2018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경제규모/인구 비교] (IMF. 2018. 4월 최신)




(1)



- 대한민국, 일본 (명목 GDP 총합 : 6조 8602억 9700만 달러)

-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명목 GDP 총합 : 13조 7614억 2600만 달러) 






(2) 



- 대한민국 (인구 : 5118만 1299명)
- 일본 (인구 : 1억 2645만 1398명) 




- 아시아 양대 선진국 (인구 총합 : 1억 7763만 2697명) 


-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인구 총합 : 3억 2356만 5591명) 



1. 독일 (8059만 4017명)
2. 프랑스 (6710만 6161명)
3. 영국 (6476만 9452명)
4. 이탈리아 (6213만 7802명)
5. 스페인 (4895만 8159명) 










[2023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경제규모 비교] (IMF. 2018. 4월 최신)




- 대한민국, 일본 (명목 GDP 총합 : 8조 1170억 3100만 달러)

-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명목 GDP 총합 : 16조 7636억 9100만 달러) 













<2018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명목 GDP 현황> (2018.4월 IMF 최신)




1. 일본 (5조 1670억 5100만 달러)

2. 독일 (4조 2116억 3500만 달러)

3. 영국 (2조 9362억 8600만 달러)

4. 프랑스 (2조 9250억 9600만 달러)

5. 이탈리아 (2조 1819억 7000만 달러)

6. 대한민국 (1조 6932억 4600만 달러)

7. 스페인 (1조 5064억 3900만 달러) 








<2018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 




1. 독일 (5만 842달러)

2. 프랑스 (4만 4934달러)

3. 영국 (4만 4177달러)

4. 일본 (4만 849달러)

5. 이탈리아 (3만 5914달러)

6. 대한민국 (3만 2775달러)

7. 스페인 (3만 2559달러) 










<2023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명목 GDP 현황> (2018.4월 IMF 최신)




1. 일본 (5조 9623억 8200만 달러)

2. 독일 (5조 2721억 달러)

3. 프랑스 (3조 5857억 7900만 달러)

4. 영국 (3조 4766억 1900만 달러)

5. 이탈리아 (2조 5542억 2300만 달러)

6. 대한민국 (2조 1546억 4900만 달러)

7. 스페인 (1조 8749억 7000만 달러)











<2023년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 




1. 독일 (6만 3728달러)

2. 프랑스 (5만 3839달러)

3. 영국 (5만 1114달러)

4. 일본 (4만 8036달러)

5. 이탈리아 (4만 2133달러)

6. 대한민국 (4만 867달러)

7. 스페인 (4만 822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미데카아 18-06-03 21:59
   
이탈리아한테 밀리다니.  쟤들은 뭘로 저리 경제력을 유지하죠?
     
페닐 18-06-03 22:30
   
유로화로....
     
귀요미지훈 18-06-05 00:35
   
이태리 내부 경제는 굉장히 안 좋은걸로 압니다. 경제 파탄 난다 말이 많은 상황입니다.
유로권 국가들 경제성장율은 낮은데 작년 유로화 가치가 9% 이상 올라서 유로권 국가들 명목 gdp가 많이 올랐죠.
반대로 우리는 경제 성장율이 oecd 국가들 최상위권인데 환율이 낮죠. 그래서 이탈리아보다 명목 gdp가 아직 적습니다.
     
스크레치 18-06-05 18:26
   
사실 작년 4월에 나온 IMF 예상치에는

2018, 2019년에 이탈리아는 대한민국에 국민소득이 역전을 당하는것으로 조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유로화가 작년에 많이 오르면서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유로존 대다수의 국가들이 국민소득이 많이 상승했습니다.

(평균 3000~5000 달러까지요)


지금 이탈리아와 독일의 경기 침체가

저 유로화 환율 급등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어서


단순하게 달러 환산으로 유로존 지역 1인당 국민소득이 올라갔다고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뭘로 경제력 유지하는게 아니라

최근 대한민국이 많이 성장해서 이탈리아, 스페인과 맞먹게 되다보니

얼핏 이탈리아, 스페인을 약간 무시(?) 하는 듯한 느낌도 여기저기서 느껴지는데요


이탈리아는 독일, 프랑스에 이어 유로존 3위의 경제대국으로

올해도 2조 달러가 넘어가는 거대한 경제규모를 가진 선진국입니다.


비록 몇년사이 여러가지 삐걱거리면서

과거에 비해선 많이 힘이 빠진 모습이지만


그래도 대단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스페인 또한 대한민국에 역전당한뒤 약간 무시(?) 받고 있는데

현재 유럽 주요 선진국 가운데 가장 성장률이 좋은 나라이고

또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 이어 유로존 4위의 경제대국이자 유럽 주요 선진국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중남미를 중심으로 스페인어권 사용지역이 광범위하고 해서

국제적 영향력도 꽤나 있는 나라입니다.



이탈리아, 스페인 역시

제조업도 상당한 강국이구요


관광으로 먹고산다는 오해는 안하셨으면 좋겠어요

물론 세계에서 관광객 가장 많이 오는 나라들이긴 하지만요
Sulpen 18-06-03 22:01
   
프랑스는 브렉시트전보다 명목 gdp는 더 높은 상태이긴 한데 막상 프랑스 경기가 좋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진 못한거 같네요.

반대로 영국은 브렉시트후 회복세이긴 한데 겨우 과거 수준으로 회복한 상태고(그래서 영프역전), 프랑스보단 경기가 좋은건지 실제 체감경기가 어떨지 궁금하네요. 결국 자국이 잘 살려고 브렉시트를 한건데 과연 그게 효과적이었을까요?
     
스크레치 18-06-05 18:27
   
브렉시트해서

현재까진 뭐 그닥 피해도 그닥 이익도 없는 어정쩡한 상황인듯 합니다.
프리홈 18-06-04 04:09
   
2023 년 이전에 한반도가 한국주도로 통일된다에 한표!
당연히 이탈리아는 제껴 지겠지요.
     
마이크로 18-06-04 13:37
   
돈맛본 독재국가가 정권넘겨 줄까요. 절대로임.
     
스크레치 18-06-05 18:29
   
어차피 이탈리아는 현재 1% 초반의 경제성장률로

대한민국이 3% 가까이 찍는것에 비해 차이가 꽤 많이 납니다.


1인당 국민소득이야

지금 대한민국 수준만 쭉 유지해도

넘어서는것이고


어차피 대한민국도 이제 세계적인 주요 선진국 반열에 오른만큼

어디를 넘냐 안넘냐란 마인드는 이제 버릴때도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안정적으로 내실을 키울때가 되었다는 얘기죠


이탈리아를 넘어서냐 안넘어서냐보다 더 중요한건

대한민국이 앞으로도 꾸준하게 3% 내외로 가줬으면 한다는게 개인적 소망입니다.
봉재 18-06-04 14:38
   
세계가 인정한 gdp 조작국 닛뽕 ...
멀리뛰기 21-01-02 14:06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14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감사합니다.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85
12179 중국 증시 7.1% 폭락…오늘 거래 완전 중단 (3) 래빗 01-07 4082
12178 '악토버 서프라이즈'(October Surprise) ... 채권시장에… (4) Shark 10-05 4082
12177 [전기/전자] 북한 최고 인기폰은 남한폰..."성능 좋고 한국어 지원" (14) 스크레치 05-03 4082
12176 [기타경제] 한국과 일본의 국부(國富)를 양국통계로 비교. (16) 로빈손 06-20 4082
12175 [전기/전자] 반도체 특허 침해한 애플…카이스트에 로열티 내기로 (10) 진구와삼숙 04-25 4082
12174 [금융] IMF 한국 회복세 빠르다.성장률 3.6% → 4.3% 상향 전망 (7) 꼬마와팻맨 07-27 4082
12173 구매력제한 경제 철학 - 5 왜 미국은 이스라엘을 싸고 도… (6) 오대영 09-24 4081
12172 韓 반도체, 석 달 간 14조 벌었다 (12) 스크레치 10-12 4081
12171 삼성SSD, 웃돈줘야 산다 (6) 스크레치 03-25 4080
12170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이미지센서 '블랙펄' 본격 판매..."CIS … (23) 스크레치 03-13 4080
12169 삼성전자,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서 점유율 31%로 1위 수성 (8) 스크레치 06-16 4079
12168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12) 스크레치 06-03 4079
12167 [자동차] 日규제 느긋한 현대차 “반사이익 더 크다” (23) 스크레치 07-17 4079
12166 [전기/전자] 中 MLCC 내수화 선언..시장 넓히려던 韓에 악재 (13) 스크레치 06-09 4079
12165 [전기/전자] 중국 법원의 '삼성폰 판매금지 조치'에 미국 법원… (11) 스크레치 04-17 4078
12164 [기타경제] LNG선 호황 올라탄 韓 조선, '상하이 수주戰' (4) 스크레치 03-31 4078
12163 [잡담] G7 과 경제논리 (14) 혜성나라 06-14 4078
12162 [과학/기술] 세계 슈퍼컴 美·中 2강 체제···韓 누리온 14위 (5) rozenia 12-22 4077
12161 [기타경제] 2045년 베트남 선진국 반열 오르겠다 (쫑 서기장) (47) 스크레치 01-29 4077
12160 [기타경제] 미, 북에 “한국수준 번영 돕겠다”…비핵화·경제 ‘빅… (9) 프리홈 05-13 4076
12159 [전기/전자] 애플, 5G통신반도체 확보 어려워 내년 5G 아이폰 출시 어… (12) 스크레치 04-06 4075
12158 [잡담] [YTN] 갑질하는 부산 Bㅇㅇ 회장 사업주.. (4) 조지아나 10-08 4075
12157 [전기/전자] [단독]삼성 '갤럭시폴드' 9월6일 국내 출시…"극소… (11) 스크레치 08-29 4074
12156 [기타경제] "한국 아시아서 가장 위험"…'제2 IMF' 경고 쏟아지… (26) NIMI 09-27 4074
12155 불황에 '우후죽순' 프랜차이즈점…연 1만3천곳 문… (2) 블루하와이 03-20 4073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