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2-03 11:02
[기타경제] 압도적 기술 한국조선업…‘LNG선 퍼스트무버’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85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494955







올 美, 카타르서 60여척 수주 전망.. 전 세계적인 LNG 수요 증가가 국내 조선업의 부활을 이끌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가 LNG 선박 수주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데는 압도적인 기술력이 결정적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9-02-03 11:02
   
칼까마귀 19-02-03 11:18
   
2025년까지 400백 이상 세계에서 필요하다고 합니다.
노후화에 대한 교체인데 한국이 90프로 이상 석권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설계에 대한 기술이 미흡해서 외주를
많이 주고 있고 국산화가 20프로 정도라고 들은것 같습니다.
이번에 좋은 기회이니 부족한 능력과 기술 국산 설비에 좀더
투자를 해서 국익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Y금강불괴Y 19-02-03 14:28
   
LNG선의 경우도 설계부터 주요 기자재는 국산화가 대부분 된걸로 알아여....
단지 우리가 특허 취득한 맴브레인이 있는데도 프랑스 맴브레인 특허료와
원천 LNG액화기술의 특허료로 지불하는 것이 크다고 합니다....

특수선의 경우는 일부 주요 기자재가 20%정도만 국산화됐고 설계도 외주인데~~
선주의 요구가 큰걸로 알고있습니다~~ 특수선 한척에 주요장비 비율이 적지는
않게지만 그런것까지 전부 국산화 하기엔 아직은 시기상조인듯여....
          
칼까마귀 19-02-03 18:34
   
특수선 까지는 힘들죠 현재 보다 조금 더 투자를 하면 좋겠다는거죠
몇년 동안은 조선소는 초호황이 예상이 되니까요. 한국 조선 기술이
인건비는 비싸도 조립 능력은 결코 따라올수 없다는 이야기는 들은것
같습니다. 강판 한번 잘못 조립하면 몇 배의 비용이 추가 발생하고
공정도 엄청나게 늘어진다고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러한 능력이
있기에 90프로 정도 먹고 있고 중국 조선은 망해가는 이유라고
다 많은 이득과 기술을 축적해서 다른 국가보다 한발 짝 나가길 바랄뿐이죠
     
바람노래방 19-02-03 18:50
   
국내 조선소가 설계 100% 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발주사에서 특스 기능을 위한 별도의 설계도를 넘겨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요.

중국, 일본선사와 다르게 국내 조선소는 설계부터 설비, 부품까지 일괄 생산하기 때문에 이것이 압도적 경쟁력의 비밀이라고 하더군요.

조선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전자부품, 소프트웨어에 부족한 면이 있지만 조선 자체로는 이미 만렙 찍어다고 봅니다.
          
전북FC 19-02-04 07:21
   
일단 한국 조선 엔진 기술이 넘사벽이라 유지비에서도 가격차이가 매우 심하다고 하죠
진실게임 19-02-03 19:04
   
언제는 덤핑 수주에 기술없이 덤비다가 벼락맞아 다 망한다고 그러더니...

경기 잘 풀려가니까... 또 이렇게 찬양이냐...

팔랑팔랑 뒤집혀...
     
없습니다 19-02-03 22:00
   
그건 해양플랜트..
     
난나야 19-02-03 22:54
   
쥐뿔도 모르시는 분이..............ㅋㅋㅋㅋㅋㅋㅋㅋ
제 친구가 선박설계 회사 운영함.............물론 망하고 있음.....
그들만의 커넥션을 아는분이 하는 말은 아닌거 같네요~~~~~
멀리뛰기 21-01-02 15:20
   
[기타경제] 압도적 기술 한국조선업…‘LNG선 퍼스트무버’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5:11
   
[기타경제] 압도적 기술 한국조선업…‘LNG선 퍼스트무버’ 멋진글~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49
12048 [기타경제] '탄소나노튜브' 상용화 시대 열린다 (3) 스크레치 02-03 967
12047 [기타경제] "파키스탄, 중국서 25억달러 긴급자금 수혈" (5) 스크레치 02-03 1273
12046 [전기/전자] "1조클럽' 삼성전기, 지난해보다 올해 더 좋다" (3) 스크레치 02-03 1086
12045 [자동차] 현대·기아차, 1월 美시장서 '기지개'…셧다운에… (3) 스크레치 02-03 1019
12044 [기타경제] 中 "미국산 콩 500만t 수입"…'하루 500만t?' 의사… (3) 스쿨즈건0 02-03 1065
12043 [전기/전자] '55인치 35만원'샤오미, 中 TV시장서도 삼성 울리다 (3) 스쿨즈건0 02-03 1622
12042 [기타경제] 中企 수출 유망 1순위는 '동남아' (3) 스크레치 02-03 1158
12041 [기타경제] 세계가 반한 K푸드 '라면·김·과자 인기'…韓식품… (3) 스크레치 02-03 1357
12040 [자동차] 만도, 자율주행 레벨4 시험운행 성공 (4) 스크레치 02-03 1236
12039 [전기/전자] "슈퍼볼 시청, 한국산 TV로"… `메이드 인 코리아` 잘 나간… (3) 스크레치 02-03 2442
12038 [기타경제] 스타벅스 추격하는 ‘中 루이싱’…미·중 무역전쟁이어… (4) 스쿨즈건0 02-03 1715
12037 [기타경제] 트럼프, 중국에 시장 개방 확대 요구 "개방 없이 합의 안 … (7) 스쿨즈건0 02-03 1630
12036 [전기/전자] 日, '스마트키'보다 더 스마트한 자동차 도둑 기… (4) 스쿨즈건0 02-03 2043
12035 [기타경제] 美 "홍콩 구멍 막아라"‥美中 싸움에 불똥 (4) 스쿨즈건0 02-03 2864
12034 [전기/전자] 접히는 스마트폰의 핵심 ‘투명PI’.. LG화학·SK이노 등 … (3) 스크레치 02-03 2147
12033 [기타경제] K베이커리 뚝심...15년만에 첫 해외 흑자 (3) 스크레치 02-03 2220
12032 [전기/전자] 대만 TSMC 잇단 악재…'비메모리 강화' 삼성전자에… (5) 스크레치 02-03 3941
12031 [기타경제] 압도적 기술 한국조선업…‘LNG선 퍼스트무버’ (11) 스크레치 02-03 4855
12030 [전기/전자] "외국 유심칩 사지마세요"…통신사 로밍서비스 경쟁 (4) 스쿨즈건0 02-04 1989
12029 [과학/기술] 中의 거센 공격 LCD 시장…대세는 결국 OLED (9) 스쿨즈건0 02-04 2668
12028 [기타경제] '중국의 삼성' 화웨이…칭화대 졸업생 대부분 화… (6) 스쿨즈건0 02-04 2683
12027 [전기/전자] '애플의 굴욕', 中시장 아이폰 가격 일제히 인하. (4) 스쿨즈건0 02-04 1796
12026 [기타경제] 불닭볶음면 일본서도 불티…삼양식품, 일본 판매법인 설… (4) 스크레치 02-04 2267
12025 [자동차] '한국 열풍' 베트남… 현대車, 판매량 급증에 생… (5) 스크레치 02-04 3911
12024 [기타경제] 아시아 대륙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13) 스크레치 02-04 2915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