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15 18:47
[과학/기술] LG·SK 대신 중국산배터리, 폭스바겐의 변심 왜?
 글쓴이 : Architect
조회 : 1,94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4557428

- "폭스바겐이 중국산 배터리로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한데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중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거라는 전망이 영향을 준 것"
- "테슬라를 잡겠다'는 내부 목표를 세운 폭스바겐으로서는 중국 시장을 빠르게 점유해가고 있는 테슬라에 제동을 걸기 위한 장기적 포석이 꼭 필요"
- "폭스바겐으로서는 중국 시장 사수를 위해 강력한 메시지를 던질 수밖에 없다. 폭스바겐의 각형배터리 선언은 CATL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의 입맛에 딱 맞는다."

결국 중국시장 공략 때문이 크다는 분석이네요. 
배터리 글로벌 점유율 1위는 중국정부의 총력 지원을 받는 CATL이 굳혀갈 것 같은 느낌. 
그래도 중국 외 물량은 폭스바겐 자체생산 물량을 제외하면 각형이 주력인 삼성SDI가 받아낼거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rchitect 21-03-15 18:47
   
스크레치 21-03-15 19:17
   
기존 중국시장에서 한해 300만대 이상 자동차 판매하던 기업이 바로

폭스바겐입니다.


자신들 한해 보통 1천만대 이상 판매한다고 볼때

중국시장 비중이 무려 30% 가까운 의존도가 높던 기업이죠


전기차 시장에서는 현재 중국시장에서 테슬라가 1위인만큼

폭스바겐이 기존처럼 중국 전기차시장만 장악할수 있다면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에 오르는건

시간문제라고 판단한것이라 봅니다.


그러나 과연 내연기관때처럼 폭스바겐이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할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할듯 싶습니다.


이미 전기차 시장은 쓰레기 수준이지만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수두룩하게 자국 내수시장에서 자리잡아가고 있고

테슬라도 이미 브랜드력으로 확고하게 1위를 유지하고 있어서


앞으로 폭스바겐이 중국 전기차시장에서 어찌될지 궁금하긴 합니다.
     
Architect 21-03-15 19:23
   
동의합니다. 막상 통계를 보니 폭스바겐의 이번 선택도 납득이 가네요.
물론 처음 들어본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내수시장을 토대로 난립하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저는 자본과 설비, 인력, 노하우, 브랜드, 공급망 등 너무 많은 영역에서 기성 내연기관의 거인업체들이 압도적이므로 전기차 스타트업의 반란은 테슬라와 같은 지극히 이례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장기적으로 기성 업체들에 밀려나게 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스스로 우수한 전고체 기술력을 보유했다고 주장해 주가가 폭등한 니오자동차 정도가 약간의 변수로 꼽히지만, 결국 중국에서도 테슬라/폭스바겐/현기/GM 등 기성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의 파이를 분할하고 나머지 신생업체들은 자잘한 점유율 내외에서 정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제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폭스바겐은 조기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CATL의 배터리를 적극 활용하려는 계획으로 보이고요.
우리 배터리 업체들은 저번에도 작성한 바 있지만, 중국 업체들이 발이 묶여있는 미국시장을 적극 활용해 CATL의 공세에 맞서 점유율을 사수했으면 좋겠네요. 그런 면에서 현재 적극적으로 EU와 미국에서 공장을 증설하고 있는 LG엔솔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스크레치 21-03-15 19:35
   
독일 폭스바겐 그룹도 자동차시장에선 확고한 브랜드력이 있는 업체니까요

아우디를 보유한 기업이기도 하고

포르쉐도 있고 말이죠

폭스바겐 그룹 자체가 세계 자동차 판매 1위였다는 그 인식 자체가 확고하고

또 독일 = 자동차 강국이란 이미지가 강하게 박혀있어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도 꽤나 잘 팔리지 않을까 보이기도 합니다.


우리 업체들은 세계 최대 전기차시장으로 뛰어올라온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확고하게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고

또한 미국에서 엄청난 점유율을 가져갈것으로 보는지라


꽤나 점유율 측면에서도 잘 방어할것으로 봅니다.

특히나 테슬라의 영향으로

중국 전기차 배터리시장에서도 3위를 차지하고 있는게 LG엔솔
               
Architect 21-03-15 19:45
   
맞습니다. 탄소중립과 전기차 대중화 계획에 가장 열의를 보이고 있는곳이 EU이고, 구매력을 고려한 내수시장 규모가 가장 큰 곳이 미국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저 두 지역에서 점유율을 확보하는 업체가 최종적으로 승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파나소닉의 테슬라 물량 뺏어오고 CATL에 맞서 EU 점유율만 사수할 수만 있다면 장기 레이스에서는 1위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CATL이 너무 커지면 화웨이, SMIC과 같이 미국 정부에서 견제에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totos 21-03-16 13:21
   
폭스바겐은 유럽, 중국 시장에서 매출을 올리고 있으니까요.
북미에서는 폭스바겐 그룹 전체가 폭망한 수준이라 ㅠㅜ
에페 21-03-23 14:25
   
중국 못잃어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053
11921 [기타경제] 원자력 발전의 경제성이 얼마나 뛰어난가 (27) 스포메니아 03-17 2253
11920 [기타경제] 캐나다도 제친 韓경제...지난해 사상 첫 '세계 9위' (15) 스크레치 03-17 3906
11919 [전기/전자] 프랑스의 원자력 발전 정책 변경 (9) 스포메니아 03-17 2088
11918 [자동차] 日도요타 회장의 조소… "애플카? 40년은 걸릴걸?" (14) 스크레치 03-17 4794
11917 [전기/전자] 獨·한국 제외한 선진국들 원전 지킨다 (20) 봉대리 03-17 4287
11916 [전기/전자] 日 TOK 포토레지스트 한국 생산량 2배 높인다...수출 규제 … (10) 스크레치 03-16 3519
11915 [전기/전자] 폭스바겐 '배터리 자립' 선언…K-배터리 '비상… (13) darkbryan 03-16 2430
11914 [전기/전자] 올해 삼성전기 영업이익 1조3385억원 전망 (7) 축신 03-16 2025
11913 [전기/전자] "LG전자,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 (4) 축신 03-16 1408
11912 [잡담] 포스코, ‘영업익 1조’ 탈환하나 가격 인상 타고 실적 … (3) 축신 03-16 1179
11911 [자동차] 'K-배터리' 위기?... 폭스바겐, 배터리 자체생산 확… (6) 조국과청춘 03-16 1831
11910 [부동산] "내가 산 아파트 그만 좀 올랐으면.." (13) 대팔이 03-16 2036
11909 [자동차] 전기차배터리 日도전 주시해야 (35) 스크레치 03-16 4126
11908 [자동차] [단독] 기아, 2026년 내연기관 신차 없다…K9도 단종 (6) Architect 03-16 3252
11907 [자동차] 대박난 제네시스 올판매 목표 20만대 훌쩍 넘기나 (1) 스크레치 03-16 2344
11906 [전기/전자] 넥스틴,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美日과 경쟁 (1) 스크레치 03-16 1588
11905 [기타경제] LS전선 싱가포르에 6500만弗 규모 케이블 공급 (1) 스크레치 03-16 1026
11904 [자동차] 전세계 수소차 10대 중 7대가 현대차..차업계 지각변동 (12) 스크레치 03-16 1658
11903 [전기/전자] 삼성전자, 캐나다 사스크텔에 5G·4G 이동통신장비 단독 … (3) 축신 03-16 1646
11902 [금융] 한국 gdp 대비 부채비율 (24) 가세요 03-16 2984
11901 [잡담] 중국희토류 내몽골지역이 83% 수준이던에.. 외몽골 지역… 조지아나 03-16 2073
11900 [과학/기술] 필옵틱스, 반도체 노광기 생산 도전장 (11) Architect 03-16 2854
11899 [자동차] 한국 배터리 업계도 중국 CATL 을 따라해야 합니다. (24) 이름없는자 03-16 3655
11898 [과학/기술] 자가면역세포로 암 치료 시대.."재발성 교모세포종도 호… (6) 굿잡스 03-16 1464
11897 [기타경제] 실업률, 대졸 초임에 악영향..작년 대촐 초임 2%가량 감소 대팔이 03-15 1187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