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2-22 15:56
[전기/전자] (번역) 미국 CNET 에디터들의 갤럭시 폴드 및 S10 평가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588  




(영상 속 에디터들의 대화 중 일반적인 얘기는 생략하고 평가에 대한 부분만 대략 번역해 봤습니다)

그야말로 충격이었고,
수년간 여러 언팩 행사에 참석해 오고 있지만 이번이 최고의 언팩행사였다.


2000달러라는 가격에 놀랐지만
한편으론 갤럭시 폴드가 가진 기능과 스펙을 전혀 갖추지 못했고
거의 알려지지 않은 브랜드인 (중국산) '로욜' 폴더블폰이 1500달러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갤럭시 폴드의 2000달러라는 가격은 그다지 놀라운 가격도 아니다.


접혀있을 때 바깥면에 보이는 앱이 펼쳤을 때도 로딩을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보이는 '앱의 연속성' 그리고 3개의 멀티스크린으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는 점이 흥미롭다.


1~2년 사이에 대중화될것 같지 않은데 5년후엔 어떨지?
미래를 장담할 수 없고 금방 현실이 될것 같은 일들이 실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그래도
(갤럭시 폴드의 경우도) LG에서 만든 롤러블 TV의 경우처럼   
(이런 기기들을) 무릎에 놓고 쓸 수 있다거나 아주 작아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는건 굉장히 놀랍고 멋진 일이다.

폴더블폰이 (금방) 유행하진 않겠지만 
여기 적용된 기술은 앞으로 우리가 오랫동안 보게 될것이다.



갤럭시 S10e가 가장 싼 모델이고, S105G가 가장 비싼 모델인데 5G 신기술이 들어가서 가장 비싸고 화면도 가장 크다.
그래서 S10+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모델이 될 것 같다.

S10+는 굉장히 빠른 프로세서에 큰 화면을 갖고 있고 용량도 크고 무선 충전이라 진짜 좋다. 
갤럭시 S10 모델들 전부 무선충전이 가능한데 이 점이 S10 시리즈에 있어 가장 흥분되는 점이다.


갤럭시폰, 갤럭시 BUD, 갤럭시 WATCH 등
갤럭시 기기들 간에  '무선으로 배터리 공유하기' 기능은 정말 대박이다!
내가 해봤는데 정말 되더라.


이번에 삼성이 발표한 웨어러블 기기인 뉴 갤럭시 WATCH, 갤럭시 BUD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우선, 애플 에어팟은 이런 기능이 안되는데 뉴 갤럭시 WATCH와 갤럭시 BUD는
갤럭시 10 시리즈 폰 위에 올려 놓으면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좋고
또 뉴 갤럭시 WATCH나 갤럭시 BUD나 가격이 무척 저렴하다. 
(갤럭시 왓치 액티브 199달러, 갤럭시 Fit 99달러) 

갤럭시 웨어러블 기기(WATCH, BUD) 그리고 피트니스 기기(갤럭시 FIT)도 좋은거 같다.




갤럭시 폴더블폰에 대한 평이 괜찮네요. 
두껍다는 일부 가생이 댓글도 보이던데 두께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메인인 S10 모델들 그 중에서도 S10+에 대한 평이 상당히 좋고
무선충전, 무엇보다 이번에 새로 발표한 기기들 간의 무선 배터리 공유에 대한 평이 좋네요.
웨어러블 기기도 역시 무선충전과 가격적인 면에서 상당히 매력적인 듯 평을 하고 있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eteor2000 19-02-22 16:21
   
외국인들의 삼성 발음이 자연스러워졌군요
     
가민수 19-02-22 19:16
   
그러게요.. 예전엔 샘성, 샘숭 이렇게 발음하는게 많았는데 '삼성'으로 발음하네요.
노원남자 19-02-22 21:31
   
장담하건데 1,2년내 대세가 될거라 보네요.
즈믄다솜 19-02-22 22:36
   
확실히 그렇죠. 이렇게 만들었고, 제품으로 내놓았다는건.. 2년 정도면 완전히 자리를 잡을것이고.. 그즘이면 정말 너무 다양한 제품들이 나올거라 생각이 듭니다. 애플의 경우는 쓰고 싶어도.. 지금 생산되는 수율로는 삼성만 사용할 정도의 분량만 나오지 싶구요.2년정도 독점하며 수율이 높아지고, 가격이 조금 떨어질즘이면 애플로 공급하며 가격도 더 내려 갈거라 보여지기도 하구요. 내년 즘에는 휴대용 롤러블을 기대해 보고.. LG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본격 양산되길 바래 보네요.
참치 19-02-23 02:37
   
접혔을 때 두께가 예상보다 두꺼워서 아쉬웠지만, 펼쳤을때 단단한 안정감은 상당히 긍정적이었습니다.  힌지부분에 상당히 신경을 쓴 느낌이네요.
     
frogdog 19-02-23 14:32
   
당연히 밧데리가 두개나 양쪽으로 들어가니 두껍죠

초기 제품이니 밧데리 해결을 못한듯 다음세대쯤에는 아주 얇아 질거라고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15:27
   
[전기/전자] (번역) 미국 CNET 에디터들의 갤럭시 폴드 및 S10 평가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5:17
   
[전기/전자] (번역) 미국 CNET 에디터들의 갤럭시 폴드 및 S10 평가 감사^^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403
11865 [과학/기술] '중국의 구글' 바이두, 검색 사업 왜 흔들리나 (3) 스쿨즈건0 02-21 1680
11864 [전기/전자] 화웨이 창업자 “미국은 우리 못 무너뜨려” (7) 스쿨즈건0 02-21 2411
11863 [자동차] 혼다, 英공장 오는 2022년 폐쇄 계획.."직원 3500명 실직 위… (5) 스쿨즈건0 02-21 2012
11862 [기타경제] [현장르포] 세계 바이오의약품 생산량 12%가 삼바 송도공… (9) 스크레치 02-21 2390
11861 [전기/전자] [갤럭시 폴드] ‘갤럭시 폴드’ OLED 패널 가격, ‘갤S10’… (3) 스크레치 02-21 2400
11860 [전기/전자] [갤럭시 폴드] 완전히 접히는 '갤럭시폴드'…구부… (3) 스크레치 02-21 2318
11859 [전기/전자] [갤럭시 폴드] 외신, '갤럭시폴드'…"기존 폴더블… (3) 스크레치 02-21 3855
11858 [전기/전자] 삼성·LG전자 지난해 세계 TV 시장 점유율 45.4%...中·日과 … (7) 진구와삼숙 02-21 2680
11857 [기타경제] 카타르, LNG 운반선 60척 발주 확정…韓, '13조' 수… (7) 스크레치 02-21 3721
11856 [기타경제] 소득불균형 현상과 소득주도성장 (34) 트랙터 02-21 1664
11855 [기타경제] 소득 양극화 심화, 5분위배율 5.54% 역대최대 (15) 토경태왕 02-21 1724
11854 [잡담] [뉴스]5G경쟁 강조한 트럼프, 화웨이에 화해의 손길? (3) 카레카레야 02-22 1499
11853 [전기/전자] '120조 투입' 세계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후보지에 … (3) 스크레치 02-22 1864
11852 [기타경제] 롯데월드타워, 첫 국빈 만찬 유치 "서울 명소서 세계 명… (3) 스크레치 02-22 1790
11851 [기타경제] "韓 경제 존경" 인도 총리에 '롯데타워 야경' 선물… (8) 스크레치 02-22 3398
11850 [기타경제] [하위권 선진6개국] 1인당 GDP 현황 (2019년) (14) 스크레치 02-22 2918
11849 [잡담] 아직도 18년 가계동향조사로 비난하는 사람이 있네 (2) 부두 02-22 1061
11848 [전기/전자] (번역) 미국 CNET 에디터들의 갤럭시 폴드 및 S10 평가 (8) 귀요미지훈 02-22 3589
11847 [기타경제] 삼성전자, 평택 2라인서 D램 생산 추진 (8) 귀요미지훈 02-22 2436
11846 [기타경제] (중국언론) 삼성 갤럭시 S10, 어떻게 중국폰들과 겨룰 것… (22) 귀요미지훈 02-22 4529
11845 [기타경제] 소득주도정책인데-반대결과 ,긴급장관회의 (22) kmw7 02-23 2133
11844 [자동차] 인니 공장 준비하는 현대차…인니 정부 다양한 인센티브… (10) 스크레치 02-23 2206
11843 [전기/전자] 삼성전자, M램 임베디드 18나노 FD-SOI 승부수 (3) 스크레치 02-23 2628
11842 [기타경제] 대한민국 지역별 1인당 GRDP 순위 (16개 광역시/도) (18) 스크레치 02-23 3967
11841 [잡담] (펌)가계동향조사:2017년 2018년 직접비교가 곤란한 이유 (5) 부두 02-23 1240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