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10 13:22
[잡담] 금융업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글쓴이 : 4457205
조회 : 2,070  

아직 아시아에서 금융업이 발달한 나라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홍콩은 도시라서 나라라고 하기가 어렵고, 아시아 선진국 중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큰 일본의 금융계 회사들도 대부분은 내수 경제에만 의존하고 있는 껍데기만 큰 회사들입니다.

금융 수출을 해야 합니다. 마가렛 대처가 금융업을 발전시킨 후, 영국의 GDP와 1인당 GDP는 많이 증가했고 금융권의 자수성가한 신흥 부자들까지 생겼습니다.

금융업은 제조업처럼 공장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많은 인프라 투자 비용 없이도 충분히 발전이 가능한 알짜 산업입니다.

금융업을 발전시켜서 현재 취업을 못하고 있는 경영•경제학과 전공생들을 금융 인재로 키워내야 합니다.

일한 시간과 성과만큼의 연봉을 받는 가장 정직한 노사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로 금융업계입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외국계 금융사만큼 연봉이 높진 않지만, 금융업이 발전하면 임금 관련 문제에 대한 얘기가 나올 것이고, 금방 반영될 것입니다.

캐나다 GDP도 쉽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원화가 달러를 버는 시대를 만들어야 할 때입니다. 대한민국 회사들이 아시아 금융업의 개척자로 나설 수 있도록 국가는 전폭적인 지원을 해 줘야 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신론자 18-10-10 13:53
   
경제에 불로소득의 비중이 높을수록 경제는 뻥튀기됩니다.
금융업의 규모를 키을 필요는 있지만 금융업을 전폭적으로 키울 필요는 업습니다.

다른 나라들의 소위 금융이 활성된 나라들을 살펴보시면 금융의 부작용(물가)을 아실수있습니다.
일지리문제에 있어서도 금융업자체는 오히려 일자리증가와는 직접연관이 없습니다.
아포카립스 18-10-10 14:02
   
금융 발달한 나라나 도시들이 대체로 물가가 살벌하죠.
대표적으로 스위스,룩셈부르크,홍콩,뉴욕,런던 등.
페레스 18-10-10 14:58
   
금융업이 한국이 어려운 이유가 영어가 안되는게 크다고 합니다
금융업 발달시키고 싶음 지금부터 계획잘짜서 영어교육부터 제대로 해야될겁니다
호태천황 18-10-10 16:03
   
연기금 운영하는 넘들이라도 잘하는 넘으로 교체했으면 좋겠음.
한대범 18-10-11 00:09
   
금융업 부작용의 대표적인 나라가 영국이죠...거의 20년째 정신못차리고 있죠....금융업도 중요 하지만,제약,기계 쪽을더 많은 투자가
되었으면 좋겠더군요.스위스는 금융업이 퇴보중이고 상황을 만회하기 위한것이 화학,제약(바이오)에 많은 투자를 했었고 거기에서
수익이 나고 있더군요.
멀리뛰기 21-01-02 14:52
   
[잡담] 금융업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42
   
[잡담] 금융업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663
11867 [과학/기술] 북한이 AI,소프트웨어 기술이 상당한 수준인가 보네요. (6) 월하정인 11-14 2061
11866 [전기/전자] LG, '최강 OLED'로 기술격차 확대…전기차 배터리시… (4) 스크레치 08-22 2061
11865 [잡담] cass 이새퀴들 방금 jtbc뉴스 끝난 광고에서 찍먹파를 … (5) 고수열강 08-26 2061
11864 [자동차] 독일은 배터리 산업에 환경 장벽을 세우려고 하는것 같… (10) 바람노래방 04-05 2061
11863 한국 경제의 부동산 (11) 밥무그라 01-12 2062
11862 비트코인... 금융권력을 향한 무정부주의자들의 투쟁의 … (9) 핫초코님 01-17 2062
11861 [기타경제] 주요 25개 선진국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12) 스크레치 02-01 2062
11860 [기타경제] 대우조선, 소난골 드릴십 1척 인도…대금 약 4600억원 확… (4) 스크레치 03-15 2062
11859 [전기/전자] 가전은 역시 한국..美 JD파워 평가서 삼성·LG 올해도 '… (4) 스크레치 07-24 2062
11858 [과학/기술] 포스코 韓실리콘밸리 만든다..'체인지업 그라운드… (2) 스크레치 07-21 2062
11857 [전기/전자] 전세계 中화웨이 보이콧 확산, 뉴질랜드도 "안 써" (11) 스크레치 11-29 2063
11856 [잡담] 마이너스 성장률이면 총gdp 감소 맞지 않나요? (25) 발렌시아가 04-26 2063
11855 [전기/전자] 소니 플스와 MS 액박 그리고 콜옵과 FPS 게임. (3) 이름없는자 01-21 2063
11854 [잡담] 왜 미국의 최우선 목표가 반도체인가? 강남토박이 04-22 2063
11853 코스피, 中사드보복 충격에 2070선대로 후퇴. (5) 스쿨즈건0 03-03 2064
11852 [기타경제] 동유럽 1인당 GDP 현황 (2023년) (2) 스크레치 04-25 2064
11851 [기타경제] 하위 6개선진국 PPP 현황 (2019년) (2024년) (2) 스크레치 07-09 2064
11850 [전기/전자] 조선일보가 분석한 TSMC의 강점. (15) 없습니다 02-26 2064
11849 [재테크] 앞으로 10년 사이에 크게 경제성장할 국가들 (19) 이름없는자 06-28 2064
11848 [잡담] 삼성전자 "로직 반도체도 적층한다" (5) 강남토박이 09-07 2064
11847 [전기/전자] 삼성 스마트폰 동남아시장 1위 (3) 스크레치 03-08 2065
11846 [기타경제] 지난 10년간 한/미/일/중의 경제성장률 변화는?? (2) 초보장 07-27 2065
11845 [전기/전자] LG는 이제 몰락기업입니다 기대하지 마시는게 (46) 스켈레톤v 01-19 2065
11844 [전기/전자] 삼성전자,하이닉스 상반기 설비투자액 (1) 강남토박이 08-21 2065
11843 [과학/기술] 자국 백신만 맞히는 중국의 딜레마..봉쇄해제 못하는 이… (8) 스크레치 06-06 2066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