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2-27 13:02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글쓴이 : 기구수
조회 : 4,055  

대외 채권 (9025억 $)
대외 금융자산 (1조5205억 $)


좋은소식인것 같아서 글 한번 써봅니다 ^^...
금융쪽은 문외하지만 좋은 소식 맞죠?..

그리고 다른나라는 대외 금융자산이랑 대외 채권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궁금한데 혹시 아시는분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기구수 19-02-27 13:02
   
프리홈 19-02-27 13:20
   
일본은 1970 년대부터 아세안과 중국에 집중 투자하여 매년 200 조원이상의 투자수익을 올리고 있지요.
물론 지금은 중국으로부터 대부분 철수하여 아세안과 인도에 투자하고 있구요.
이 투자수익은 매년 10 % 정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요.

해서 무역수지가 안 좋아도 경상수지는 매년 200 조원이상이 되어 1 인당 GDP 를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와,
한국이 현 추세대로 라면, 2027 년경에 되서야 일본을 추월가능하게 됩니다.

일본의 2017 년말 대외순자산은 3240 조원으로 한국보다 7 배나 많고 27 년간 세계 최대 순채권국입니다.
한국도 아세안과 인도에 자본투자가 많이 되어야 할 것이네요.

https://news.joins.com/article/22655125
(2017 년말기준 일본 대외순자산 3240조원...27년째 최대 순채권국)
     
기구수 19-02-27 13:24
   
대외 순자산은 금융투자+채권인가요? 그럼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은 9205억+1조5205억 달러를 합쳐서 생각하면 되나요?
          
프리홈 19-02-27 21:02
   
@ 대외순자산 = 대외투자 (내국인의 대외투자) - 대외부채 (외국인의 국내투자)

@ 순대외채권 = 대외채권 (한국이 해외에 빌려준 돈) - 대외채무 (해외에 갚아야 할 돈)

https://news.joins.com/article/22668913
(순대외채권, 4608억달러 '사상 최고'…외국서 받을 돈 더 많아)......2018.05.30
     
할게없음 19-02-27 22:30
   
일본은 대외 부채가 늘어나서 오히려 순자산이 감소했는데요.. 그리고 그 잘난 3천2백조 있음 뭐합니까 국가부채가 1경이 넘는데
rozenia 19-02-27 13:57
   
일본이 세계대전수준으르 전쟁나길 바라는 나라가 많겠네요. 영국이 미국한테 채권으로 전쟁에 승리하고도 하나하나 발려먹혔듯 유럽애들이 1차대전 이후 미국에게 발리듯 일본애들 대외채권이 사라지는 순간 엔화도 약화될것 같네요
도나201 19-02-27 16:57
   
과연 순대외채권의 순수성 이라는게 일본의 걸림돌이죠.
이문제는 정치자금의 회피성 과 돈세탁에 워낙만이 이용을해서
실제적으로 받아들여도 속빈 강정이라는 소리가 많읍니다.

우리나라역시 이러한 부분이 상당량 많고
워낙 무기명채권이 많아서 상당부분 재산도피용으로 많이 이용해서

양국다 이러한 채권의 건전성이 엄청나게 약화된 상황이라서 액면그대로 믿기에는 무리가 있읍니다.

뭐 중국이 경제성의 어려움을 논하는데
사실상 중국채권은 8할이상 정치회피성 채권이 상당량있어서
채권의 건전성으로 최악이라고 할만큼 이고,
심지어 흑자성 기업이 도산할정도이고,
이액면을 믿고 투자한 유럽쪽에서 상당한 피해를 봤다라는 소리도 왕왕들리는 형국.

일본투자역시 이러한 중국의 건전성에 당한 투자자들이
일본투자에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라는 것이죠.
멀리뛰기 21-01-02 15:29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5:19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잘 봤습니다.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991
11821 [전기/전자] TSMC, 5㎚ 초미세공정 선점..삼성전자, 내년 '3㎚'로… (26) 행복찾기 02-25 4108
11820 [기타경제] 대우조선해양, 4천200억원 규모 LNG운반선 2척 수주 (8) 귀요미지훈 02-25 1616
11819 [기타경제] 현대重, '2000억원 규모' LNG 운반선 1척 수주 (9) 스크레치 02-25 1893
11818 [전기/전자] 삼성SDS·SDI·전기의 포효…"10兆·1兆 클럽 간다" (7) 스크레치 02-25 1943
11817 [전기/전자] "폈더니 화면 우그러졌다" 의문 커진 화웨이 폴더블폰 (13) 스크레치 02-25 5255
11816 [전기/전자] 기술 변곡점에 선 삼성전기·포스코켐텍···'미래 소… (4) 스크레치 02-25 2791
11815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업계 최초 'DDR5-6400' 메모리 발표…차… (7) 진구와삼숙 02-25 2979
11814 [기타경제] (번역) 미국의 화웨이 배척, 화웨이엔 전화위복 (17) 귀요미지훈 02-25 4111
11813 [자동차] 현대·기아차 1월 EU 점유율 4위로 '껑충'…6.8% (10) 스크레치 02-25 3525
11812 [기타경제] "오일머니, 韓조선업 일으킨다" UAE, LNG선 25척 발주 (30) 스크레치 02-26 6148
11811 [주식] 엘리엇, 현대차·모비스에 8조3000억 고배당 요구 (2) 영어탈피 02-27 2805
11810 [전기/전자] UAE 왕세제, SK하이닉스 사장 면담 요청 (13) 스크레치 02-27 5772
11809 [전기/전자] 삼성전자, '역대 최고 속도' 스마트폰 메모리 세… (8) 스크레치 02-27 4372
11808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 (9) 기구수 02-27 4056
11807 [전기/전자] 삼성전자, 홀 디스플레이 구현 성공…애플 어쩌나 (17) 스크레치 02-27 6256
11806 [전기/전자] 삼성, 애플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 추진 (21) 스크레치 02-27 4970
11805 [기타경제] 한국조선, 올초 전세계 LNG운반선 12척 중 10척 '싹쓸이… (8) 귀요미지훈 02-28 1943
11804 [기타경제] 한국, UAE 원자력 발전소 장기정비계약 수주하나 (3) 귀요미지훈 02-28 1909
11803 [전기/전자] 삼성, 롤러블 폰과 스트레쳐블 폰 내놓겠다 (12) 귀요미지훈 02-28 3246
11802 [자동차] 유럽과 미국 전기차 업체들, 충전소 확충에 본격 나서 (7) 귀요미지훈 02-28 2009
11801 [기타경제] 모바일월드콩그레스, 늘어난 한국 스타트업 기업들 (4) 귀요미지훈 02-28 1940
11800 [자동차] 현대·기아 전기차 '불티나게 팔린다' (4) 스크레치 02-28 3277
11799 [기타경제] 세금만 100억 달러 내는 빌게이츠 "나는 더 내야 한다" (6) 니내아니 02-28 1674
11798 [기타경제] "여기와 좀 '쉬게'"...인생장사학교 3기 모집 시작… (2) 남해뷰1 02-28 1006
11797 [전기/전자] 2조 적자서 20조 흑자로..'SK하이닉스'의 환골탈태 (4) 스크레치 02-28 281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