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6-10-04 18:53
금융패권 정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역습
 글쓴이 : Shark
조회 : 3,862  

プーチン大統領の大逆襲
2016年9月30日 増田俊男




                        푸틴대통령의 대역습


                       2016年9月30日 増田俊男                       번역 오마니나



9월 28일 Mr. Jim Richards 씨의 1시간 이상에 걸친 "달러 방위"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사실은 놀랐던 것과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 있었다.


2014년 7월 31일, 미국 주도로 유럽연합(EU)회원국은 러시아의 크리미아 합병을 침략으로 간주해 경제제재를 발동했다. 그 때문에 러시아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는데, 더우기 같은 해 말부터 원유가격의 급락으로 통화 루블은 50% 이상 폭락해, 재정파탄 직전까지 몰렸다.


원유의 폭락은, 2005년부터 미국의 셰일가스·오일의 증산, 이란산 원유의 시장진입, 중국경제의 침체에 따른 수요감소 등 공급과잉이 주 원인으로 되어 있지만, 새빨간 거짓말이다. 어떤 범인이 세상을 세뇌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Jim이 가르쳐 주었다.


의 말대로 폭락한 2014년 말도 지금도 원유의 수급 차이는 일일 생산 100-200만 배럴이고 1% 이하, 따라서 수급 계산상의 오차 범위내다. 시장 원리와 과거의 통계로부터 생각해도 1% 이하의 수급차이로 가격이 3분의 1이 되는 일은 있을 수없는 것이다.


원유는 현물이 아니라 금융상품 시장에서 파생상품이라는 수법을 통해 가격을 조작할 수있다. 어제부터 도이치 은행의 위기가 이유라면서 NY 다우도 니켓이도 크게 떨어졌지만, 독일 No.1인 도이치 은행을 위기로 몰아넣은 범인과 동일한 계통의 짓이다. 누구인가 애기하라면 생각나는 것이 산처럼 많다. 나는 푸틴 대통령의 오른팔인 사람과 가까운 까닭에 누가 "동유럽의 칼라혁명"을 일으키고, 나아가 우크라이나 내전을 획책했는 지를 알고있어 이전의 메일에서 쓴 바있다. 러시아의 크리미아 합병은 민주적 방법에 따른 것으로 결코 침략이 아니라, 러시아 민족방위를 위한 푸틴 대통령의 최저한도의 결정이었다.


이 점도 Jim은 나에게 동의했다. 중동에서 국민이 가장 행복했었던 국가는 사담 후세인 대통령의 이라크였으며, 북아프리카에서 국민이 가장 행복했던 국가는 리비아였지만 두 대통령도 독재자로서 "중동의 봄"에 의해 말살되었다.


두 대통령의 공통된 점은 자국의 "원유거래 통화를 달러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최근의 유엔총회에서 알 수 있듯이 시리아와 우크라이나 문제로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나날이 악화되고있다. 미국이 "중동의 봄"의 일환으로 시리아 내전을 획책한 것도, 그것을 위해 IS(이슬람 국가)를 설립, 자금제공, 군사훈련 등등을 지원해 온 사실은 이미 폭로되어, 내가 참여하고있는 방위회의에서는 상식이다.


미국 지원의 반 시리아 정부군과 구미연합이 아사드 정권을 쓰러뜨리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은 시리아를 러시아에 위임했지만, 그것이 음모였기 때문에 오늘 날의 사시과 관계없이 미소가 대립하게 된 것이다. 미국을 움직이는 범인은 푸틴 대통령을 재정 파탄에 몰아넣고, 의도적으로 격노시켜 푸틴 대통령을 대미역습으로 나오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이 역습하는 X 데이에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세계는 "크게 움직일 것이다". 모든 것은 계산 상의 일. 시간은 없다!


내가 나카가와 쇼이치(전 재무장관)처럼 뜻하지 않은 죽음을 당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둘러 다음의 소책자(Vol.82)에 진실을 밝히기로 했다. 그 때문에 이전보다 내용이 바뀌게된다.



http://www.masuda-toshio.com/%e3%83%97%e3%83%bc%e3%83%81%e3%83%b3%e5%a4%a7%e7%b5%b1%e9%a0%98%e3%81%ae%e5%a4%a7%e9%80%86%e8%a5%b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짓기힘드네 16-10-04 22:19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다른 관점으로 같은 사건을 보는게 흥미로워서 번역 자료가 올라올 때마다 정독하고 있습니다
유수8 16-10-04 23:51
   
글쎄요... 지킬게 많은 푸틴이 굳이 위험을 도발할까?
절대 푸틴은 미국에 대한 도발을 하지 못합니다.

만약 러시아 내부에서 국민들의 불만으로인해 푸틴 하야를 노리는 폭동이라도 일어나 국민들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마지막 패가 아닌 이상은...

너무 음모론쪽 시각에 치우친 글들이라 거의 주작스런 망상 소설과 같아서....;;
멀리뛰기 21-01-01 21:00
   
금융패권 정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역습 감사^^
     
유기화학 21-03-28 13:27
   
222
멀리뛰기 21-01-08 10:53
   
금융패권 정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역습 멋진글~
     
유기화학 21-03-28 13:28
   
2222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401
11581 [전기/전자] 삼성 통신장비 세계 4위로 도약.. 5G 모멘텀 찾나 (6) 스크레치 10-10 3873
11580 [기타경제] 중국 환구시보에 실린 시진핑 주석 한국방문 성사시 선… (22) 조지아나 08-26 3873
11579 [기타경제] [세계 11위 경제대국 확정] TOP 15 경제대국 명목 GDP 현황 (2… (13) 스크레치 10-09 3872
11578 [전기/전자] "반도체 미래 밸류체인은 종합반도체 기업이 주도할 것" (1) 나이희 02-05 3871
11577 [전기/전자] 中화웨이, SDC에 역대급 '6.9인치' OLED 주문 (7) 스크레치 06-11 3869
11576 [기타경제] 경제대공황 이야기 나오기 시작하네요. (34) 땡말벌11 03-12 3869
11575 [잡담]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험 분산 전략 (7) 강남토박이 07-17 3869
11574 세계 소재 강국 ‘코리아’ 돌격 앞으로…배터리 분리막… (6) 스크레치 02-10 3868
11573 韓 화장품, "러시아서 잘 나가네~" 수출 63%증가 305억원. (7) 스쿨즈건0 05-05 3868
11572 [기타경제] 아베 수출금지 품목 3가지를 일부 수출허가 했답니다. (14) Gneisenau 08-08 3868
11571 [기타경제] 주요선진국 백신확보 현황 (12.8 현재) (코로나19 백신) (10) 스크레치 12-08 3868
11570 [전기/전자] 中정부, 네덜란드 정부에 ASML의 반도체 장비 판매 압력 (19) 스크레치 07-20 3868
11569 [기타경제] '세계 1위' 한국 라면시장 빨간불…저출생이 불러… (7) 스쿨즈건0 03-22 3867
11568 [전기/전자] 한화 '日에 90% 의존' 반도체장비 국산화 성공 (17) 스크레치 09-22 3867
11567 [과학/기술] [단독] 한화시스템, 내년 에어택시 배터리 공급사 선정…… (5) Architect 06-11 3867
11566 [기타경제] 전세계 CNC 공작기계 및 CNC 제어기 점유율 (5) 스포메니아 05-19 3866
11565 [전기/전자] 삼성 "디스플레이 뒤로 카메라 숨기는 기술 확보" (6) 스크레치 05-22 3866
11564 [전기/전자] 中화웨이 때리니 아프다..해외선 삼성, 안방선 샤오미에 … (5) 스크레치 11-01 3866
11563 [잡담] 광고 모델 어떨지요? 14세 소녀 스노우 보드 셰게 챔피언 (5) 조지아나 03-09 3866
11562 갤럭시S8 가상비서, 음성지원은 물론 이미지 인식도? 카… (3) 스크레치 01-30 3865
11561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이탈리아 경제격차 현황 (1인당 국민소득)… (16) 스크레치 08-04 3865
11560 [기타경제] 현대삼호중, LNG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세계 첫 인도 (4) sasimigosu 09-17 3865
11559 금융패권 정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역습 (6) Shark 10-04 3863
11558 삼성전자, 인도에 7천억원 투자…휴대전화 생산 규모 2배… (7) 스쿨즈건0 06-04 3863
11557 [기타경제] 이탈리아, 올해 경제성장률 '1.0%→0.6%' 하향 (17) 스크레치 01-19 3863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