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1-26 01:21
[잡담] 전기자동차가 진입장벽이 낮다고 생각하는건
 글쓴이 : 정봉이
조회 : 1,302  

현대 기술산업의 특징을 전혀 이해 못하고 있는거죠

예전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았던 산업시절의 생각을 가진 사람이나 경영자들은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보다 개발이 쉽다고 생각하거나 혹은 쉽게 바꿀수 있다고 여기는데
그런 판단을 하는 경영자는 반드시 실패할수 밖에 없습니다.

현대기술제품의 대다수 그리고 그 기술의 고도화가 이뤄진 제품일수록
하드웨어 비중은 낮고 소프트웨어 비중이 높습니다.

전투기 같은건 하드웨어 10 소프트 웨어 90 일 정도로 소프트웨어가 
개발비용 개발시간 테스트 기간등 모든 부분에서 하드웨어 개발에 비해 
어렵고 더 비싸고 더 오래 걸립니다.

간단히 예를 들어보면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도 거의 모든 비용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 웨어 비용입니다. 소프트웨어는 눈에보이는 운영체제 사용자 어플뿐아니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각종 드라이버뿐 아니라 개발과정중의 문서까지 모든거 아우릅니다.

전기자동차의 하드웨어는 사실 별거 아닐수도 있습니다.

차체 밧데리 전기모터 의 조합의 하드웨어는 다들 고만고만하고 
어지간한 산업생산능력이 있는 나라면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진입장벽이 낮다고 말하는 사람은 딱 여기까지만 생각하는거죠
하지만 그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요즘 중요시 되는 자율주행등의 소프트웨어는
소수의 기업만 개발가능하거니 유의미한 수준을 가질뿐입니다.

그리고 그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보다 수십배의 난이도를 요구하고 개발 비용또한 수십배를 요구합니다.
전기자동차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가진 업체가 결국 승자로 남을 가능성이 큽니다.

애플이 스마트폰 경쟁에서 아직도 수위권의 제조업체로 살아남은것은 
하드웨어기술은 뛰어나지 않아도 소프트웨어 기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시장도 스마트폰처럼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기차는 결국 대형 스마트폰이 사람을 태우고 다닌다는 개념으로 진화해 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운송수단이 아니라 
이동중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삶의 모든 방식을 차량에서 가능할수 있는쪽으로 갑니다.
운송 통신 오락 정보획득과 전파 
그러기 위해서는 그걸 현실화해줄 소프트웨어 기술이 중요합니다. 
소프트웨어가 중요해질수록 개발난이도가 높아지고 진입장벽은 높아집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dtan 21-01-26 03:20
   
애초에 진입장벽 낮가는 얘기가 하드웨어 기반에서 나온 말입니다.
거기다 시장 초기기때문에 후발 자동차 업체들이 경쟁할만 하다는 것이구요.
대표작으로 BYD 등이 그렇죠..
뭐 이것도 애플과 삼성이 스마트폰 독식한것처럼
최소 5년후에 일부 업체가 평정할 것 같긴합니다.
테슬라가 주가가 치솟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포케불프 21-01-26 06:46
   
대충 빳떼리 + 모다 달면 굴러가니까 낮은 건 맞는데

그런 전기자동차는 골프장 카트와 다를 바 없죠

자율주행 + 인포텐인먼트를 포함해야 21세기의 전기자동차
Kaesar 21-01-26 14:56
   
진입장벽이란 개념은 상대적인 겁니다.
내연기관 대비 낮은 게 사실입니다.
단적인 예로 테슬라가 과거 내연기관 자동차 만든 적이 있나요?
전혀 경험없어도 세계 제1이잖아요.
자꾸 구시대 시각으로 미래를 보면 안되는 겁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662
10958 [금융] 게임스탑 사태 로빈훗같은 넘이 한국에도 있네요. 밤막걸리 01-29 1190
10957 [주식] 전세계 주식시장을 뒤흔들어 놓고있는 게임스탑 사태.. (10) 없습니다 01-29 3142
10956 [전기/전자] 中 화웨이의 몰락..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에서 6위로 (10) 스크레치 01-29 3375
10955 [기타경제] 히타치금속, 특수강 자석을 검사한 데이터 변조 발생 (11) 굿잡스 01-29 2358
10954 [기타경제] 2045년 베트남 선진국 반열 오르겠다 (쫑 서기장) (47) 스크레치 01-29 4075
10953 [기타경제] 韓 이탈리아 역전성공 (IMF 공식발표) (20) 스크레치 01-29 2563
10952 [기타경제] 中기술기업 앱금지, 인도에 "손해배상 소송 해야" … (7) 스쿨즈건0 01-29 2048
10951 [기타경제] '베트남의 삼성' 빈그룹, 첨단 산업 도약 성공할… (33) 스크레치 01-28 5234
10950 [잡담] 빅히트-YG-네이버 플랫폼 합병에 증권가 '실적 얼마나… 메흐메르 01-28 1477
10949 [전기/전자] 삼성 현금 116兆 들고 M&A 예고..인수 대상 누가 될까 (17) 스크레치 01-28 3194
10948 [전기/전자] 삼성폰 영업익 11조 돌파..'갤S21'로 올해 신기록 … (2) 스크레치 01-28 1896
10947 [전기/전자] [단독]SK하이닉스 기본급 400% 성과급 확정..과장급 1200만… (4) 스크레치 01-28 1393
10946 [기타경제] "日서 도쿄올림픽 '관객은 일본 거주자만' 방안 … (13) 스크레치 01-28 1458
10945 [잡담] 작년에 이미 한국이 일본 국민소득 역전했군요 (1) 메흐메르 01-28 1695
10944 [과학/기술] ‘우주 빅리그’ 진출 韓 “소행성 탐사, 日 넘을 색다른… (13) 메흐메르 01-28 3615
10943 [전기/전자] 일본의 후회..TSMC괜히 키워줬네. (26) 없습니다 01-28 5630
10942 [잡담] 삼성전자, "3년 내에 의미있는 M&A 추진할 것"대규모 투자 … (11) 축신 01-28 3045
10941 [전기/전자] 대만 TSMC 주가 폭락으로 시총 65조원 증발 (39) 스크레치 01-27 9077
10940 [전기/전자] 美 달아오른 삼성 러브콜 경쟁 "오기만 하면 다 해줄게" (1) 스크레치 01-27 3890
10939 [전기/전자] EU 배터리사업 육성 4조 투입…한·중 견제 (7) 스크레치 01-27 1956
10938 [기타경제] [단독]현대제철 멕시코 제2공장 설립 추진…'대미 수… (4) 스크레치 01-27 2283
10937 [자동차] ‘벼랑끝’ 쌍용車 협력사… “이젠 더 버틸 재간 없어… (7) 봉대리 01-27 1674
10936 [기타경제] ‘살아 남아야’…중형 조선업계도 ‘수주 가뭄’ (5) 봉대리 01-27 1471
10935 [전기/전자] 삼성 두팔벌려 환영합니다.. 美 투자 검토에 '러브콜&… (14) 스크레치 01-27 2533
10934 [잡담] TSMC 인텔3나노 CPU 만든다 (12) 유기화학 01-27 2653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