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1-17 21:52
[기타경제] 英, G7에 韓 초청..확대 논의 다시 불 지필까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815  

https://news.v.daum.net/v/20210117183527720








뭐 이제 이탈리아 국민소득을 넘어섰을 정도로 

대한민국은 이미 G7 들어갈 충분한 역량을 갖춘 국가가 되었기도 했고 


이번 영국의 공식 초청은 


매번 국가별로 초청한다는 의미보다는

구체적으로 G10(혹은 D10이라는 이름) 으로 확장하려는 

논의를 본격 시작하려는 의미로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 바이든 정부 실세도 G10 확장논의가 화두기도 했고) 


이번에 딱 대한민국, 호주, 인도 3개국을 초청한것만 봐도 느낌이 오지요 

(G10 확대논의 언급되는 3개국) 



모 쓰레기 국가가 발악할것이 눈에 선하게 보이긴 하네요 

이미 그러고 있을테지만 










[참고]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GNI) 현황> (2020년) (한국은행, OECD)



- 대한민국 (3만 1천달러 내외)

- 이탈리아 (2만 9천달러 ~ 3만달러 내외)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1-17 21:53
   
봉대리 21-01-17 22:41
   
그런데 궁금한게 이탈리아는 경제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 이번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고
다시 관광이 정상화되면 저기서 빠졌던 gdp가 다시 복구 되지 않을까요?
     
서클포스 21-01-17 22:45
   
그 전에 한국 산업이 더 발전 할것 같음.. 지금 첨단 산업과 조선 등 제조업 모두 잘 나가는 상황이라..
          
유기화학 21-03-31 09:07
   
2222
     
할게없음 21-01-17 23:59
   
헬스장들은 왜 폐업했을까요? 사회가 정상화 되기 전까지 월세와 각종 유지비 세금을 버틸 총알이 없어요. 정상화 됐을 땐 대부분의 사업장들은 이미 문 닫고 없어요. 다시 관광이 정상화가 될 수가 없어요. 수백만 수천만명을 실어 나를 항공편도 그들을 재워줄 숙소도 먹일 음식점도 없음. 이미 망하고 없으니까. 언젠간 다시 예전의 규모를 찾기야 하겠죠. 꾸준히 관광객이 온다면. 다만 그게 뚝딱 되는 게 아니라는 것. 그래서 갠적으로 벌금 각오하고 문 여는 헬스장들 욕은 했지만 이해는 한다고 했던 이유임.
          
우까자까 21-01-18 01:35
   
유로화 가치 때문에 이탈리아가 버티는거지
관광은 한계가 있음
근데 어느정도는 복구는 될거에요.
우리나라는 어쨋든 내수가 죽어도 수출로 감소분을 상쇄했으니
코로나 끝나면 세계수요 + 내수회복으로 더 클 가능성이 높고
이탈리아는 관광회복도 뭐 불투명한거 같은데
관광이 살아도 전같지는 않겠죠
               
할게없음 21-01-18 02:11
   
네 그렇죠 당연히 복구는 되겠지만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건 정말 불가능에 가깝죠. 더군다나 이탈리아라면요.. 각종 기구들이 예측한 기저효과가 생각보다 낮은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죠. 무엇보다 우리나라도 막대한 피해를 입었지만 다른 나라들보다 그 피해가 덜했고, 바로 저렇게 우리나라가 점유하지 못했던 분야에서 선점했던 국가들이 박살 나는 바람에 우리에겐 기회가 온 거죠. 정말 코로나가 우리나라에겐 큰 기회가 될 수도 있음. 이미 어느 정도 그렇게 됐다고 보구요. 한창 발전하려던 개도국들은 이번 일로 성장 동력을 잃은 건 물론이고, 잠재적인 위험성까지 안게 되었고.. 구미권 국가들은 안 그래도 저성장 국면에 도달했는데 코로나로 아직까지도 각종 산업이 초토화 중이니.. 우리가 빨리 추스릴수록 많은 이득이 생길 거 같아요.
     
스크레치 21-01-18 02:05
   
코로나 전에도 경제성장률 0%대 였던 이탈리아가 복구가 될까요?

코로나 전에 경제성장률 3% 내외였던 대한민국이 복구가 빠를까요?


이탈리아는 코로나 전에도 0%대로 주요 선진국중 일본과 함께 성장률 꼴등이었습니다.


이제 여러사람들이 알겠지만

사실 이탈리아는 유로화 뻥튀기가 아니었으면 몇년전에 대한민국에 어차피 역전될

나라였습니다.

그때마다 유로화 환율이 뻥튀기 되고

이상하리만치 대한민국 원화환율은 1200원을 오르내리면서

IMF에서 통계내던 4월, 10월마다 환율의 변동이 발생해서

간신히 명목 1인당 국민소득 수치만 대한민국에 근소하게 앞서며

부여잡고 있었던게 이탈리아...


그러다 기어코 작년 IMF 4월 예상치에서 3천달러 가까이 대한민국에 역전된것으로 추정되더니

10월 예상치에선 또 급격하게 상승한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반영해주면서

대한민국 =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으로 예상되었던 전례가 있습니다.


이럴정도로

이탈리아에게 미안한 얘기지만

사실 경제성장률 추세나 뭐로보나

대한민국과 이탈리아와의 국민소득 격차는 앞으로 점점 더 커질겁니다.


비슷한 국민소득에 있던 국가가

경제성장률 격차는 3%대였던 국가와 0%대였던 국가가 있는데

국민소득이 계속 동일한 추세로 나간다면 

오히려 그것이야말로 더 이상한 일 아닌가 싶으니까요
     
유기화학 21-03-31 09:06
   
흠...
Korisent 21-01-17 23:21
   
동북아 유일한 군사,문화,경제,정치,사회,IT 강국인 대한민국 가즈아!
     
유기화학 21-03-31 09:07
   
좋아요
솔고개 21-01-18 00:38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그리고
미국과 영국은 혈맹 관계로  유럽연합을  대항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파트너를 만들어야 함
그래서 호주  인도 한국 등 영입 할려고 하지 않나 싶음.
     
스크레치 21-01-18 02:12
   
대한민국과 영국은

영국이 EU에서 탈퇴하자마자


대한민국 - 영국 양자간 한영FTA를 바로 체결했습니다. (2019년 8월 22일 공식서명)

우리에게도 영국은 유럽에서 중요한 국가이고

영국 입장에서도 EU 탈퇴 이후 아시아에서 중요하게 협력해야할 국가중 하나가 대한민국인지라


서로 이해관계가 잘 들어맞았던 상황


또 영국은 한국전쟁 전투병 파병국중 하나로

대한민국 핵심 우방국중 하나
발해로가자 21-01-18 13:00
   
대한민국이 이제 아시아 선진국 대표로 확인 도장 딱 찍겠네요.
     
유기화학 21-03-31 09:07
   
ㄷㄷ
carlitos36 21-01-20 12:33
   
일본자리 차지하면 됨
     
유기화학 21-03-31 09:07
   
222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70
10858 [기타경제] 후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4. 벨라루스) (IMF) (34) 스크레치 01-21 2510
10857 [부동산] 그런데 부동산이라는게 끝도 없이 올라갈수 있나요? (23) 램발디8317 01-21 1560
10856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9. 헝가리) (IMF) (24) 스크레치 01-21 2530
10855 [자동차] 인도 2020년 12월 자동차 모델별 판매 현황. (10) 없습니다 01-21 2120
10854 [기타경제] 美 무디스 선진 37개국 신용영향점수 평가 결과 현황 (24) 스크레치 01-20 4896
10853 [자동차] GM-LG 전기차 배터리 혁신.. 한 번 충전하면 1000km 달린다. (5) 스크레치 01-20 2908
10852 [기타경제] 이란 韓 동결자금 빼내려 안간힘.."한국 정부 의지 보여… (15) 스크레치 01-20 4258
10851 [기타경제] 백신 7600만명분 확보 .. 비판받던 정부 '국내생산'… (10) 스크레치 01-20 2365
10850 [기타경제] 자동차 판매량만 봐도 중국내수시장 규모를 알수있습니… (9) ㅉㅉㅉㅉ 01-20 1955
10849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8. 폴란드) (IMF) (10) 스크레치 01-20 2053
10848 [부동산] 30대 중반..다들 청약 준비 하고 계시나요..?? (2) 허시탐탐 01-20 1571
10847 [자동차] 현대 유럽 전기차 3위 껑충 (6) 스크레치 01-20 2896
10846 [전기/전자] 삼성전기, 5G 스마트폰용 슬림형 3단자 MLCC 개발 (4) 축신 01-20 2592
10845 [주식] 새해 10일만에 주식 14조원 순매수한 개인과 자산배분중… (2) 흩어진낙엽 01-19 3112
10844 [기타경제] 베트남 1인당GDP 작년 구매력기준 1만달러 돌파...IMF 평가 (37) 스크레치 01-19 6397
10843 [전기/전자] "올 세계 車 배터리 시장 호황..생산량 70% 증가" (5) 스크레치 01-19 1833
10842 [기타경제] 매일 수천명 확진자 쏟아져도 日 "올림픽 포기 못해"..이… (14) 스크레치 01-19 2479
10841 [기타경제] 품질의 K-조선 中 규모의 경제 '넘었다' (2) 스크레치 01-19 2504
10840 [기타경제] 베네수엘라는 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가 되었을까 (10) 봉대리 01-19 1851
10839 [자동차] 현대차 베뉴 인도 국민차 반열 올라 (8) 스크레치 01-19 2707
10838 [전기/전자] 삼성 엑시노스, 퀄컴 스냅드래곤 뛰어 넘나 (15) 스크레치 01-19 2980
10837 [기타경제] "호주와 멀어진 中, 석탄 공급처 다변화..남아공서 수입" (14) 스크레치 01-19 2514
10836 [전기/전자] LG·삼성·SK '이차전지 빅3' 올해 생산액 30조 넘는… (1) 스크레치 01-19 1319
10835 [전기/전자] 벨벳·윙 참패에…LG, 스마트폰 사업 진짜 접나? (9) 캡틴홍 01-19 1442
10834 [전기/전자] 삼성 따라하기 나선 애플?.."폴더블 아이폰 개발 작업 착… (9) 스크레치 01-19 2052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