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2-12 19:31
[과학/기술] 물세탁·다림질 여러 번 해도 멀쩡…'고효율 발열의류' 개발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2,330  

[전기硏, 금속섬유 기반 발열 옷감 직조 기술 최초 개발]

본문이미지

금속 섬유 발열 옷감의 제조 과정/사진=전기연


열선, 전도체 코팅이 아닌 옷감 자체가 발열체인 옷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이동윤 책임연구원팀은 유연성이 매우 높으면서도 열 흐름이 제어돼 매우 안전한 웨어러블(착용형) 섬유발열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50마이크로미터(μm)급의 미세 스테인레스강 섬유와 바잘트(현무암 섬유)로 천을 짜서 만들고, 이 천에 특수 폴리머나 세라믹 소재를 첨가해 새로운 발열 옷감을 제작했다. 

발열체를 금속섬유와 세라믹섬유를 이용해 직조하는 방식은 처음 선보이는 기술이다.

기존 발열 제품, 특히 흔히 사용하는 열선(선상발열) 제품의 경우 충격을 가하면 열 과부하 현상이나 열선이 끊어지는 위험이 있다. 

반면 이번에 개발된 금속섬유 발열체는 매우 질기고 유연성이 높아 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옷감에 구김·접힘이 있어도 발열체 선이 끊어지지 않는다.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금속섬유 발열 옷감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약 40도의 열이 발생하고 있다/사진=전기연



보통 발열 소재로 쓰는 니크롬선, 탄소발열체, 나노 발열체 등을 이용한 것이 아닌, 섬유직조 기술을 이용해 금속섬유전극으로 발열 옷감을 짜 넣었기 때문이다. 

사용 중 발열체의 일부가 손상을 입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물노출이나 세탁에도 발열특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이 기술로 제작된 발열 의류는 발열체의 탈부착 없이 바로 물세탁과 다림질을 할 수 있다. 

열 흐름 제어로 이상 발열에 의한 화재나 화상의 위험도 없다.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 섬유가 모두 고르게 발열해 열효율이 뛰어나다는 것도 장점중 하나다. 

제품 설계에 따라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로도 8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개발된 금속섬유 발열체는 옷감과 마찬가지로 재봉과 재단이 가능하다. 또 사용 환경과 응용 대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패턴(무늬)을 적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의류 뿐 아니라 난방용, 의료용, 자동차용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주)창민테크론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이동윤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페인트 등 이물질이 많이 묻어 반복 세탁이 필요한 야외 노동장용 안전복 등에 우선 적용하고, 발열 파카, 헬멧, 장갑 외 발열기능이 들어가는 각종 스마트웨어에 다양하게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http://news.nate.com/view/20180212n10692?mid=n060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태지 18-02-13 15:51
   
낚시꾼인 저에게 꼭 필요한 물건이네요.
멀리뛰기 21-01-02 09:33
   
[과학/기술] 물세탁·다림질 여러 번 해도 멀쩡…'고효율 발열의류' 개발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3:52
   
[과학/기술] 물세탁·다림질 여러 번 해도 멀쩡…'고효율 발열의류' 개발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56
10734 [기타경제] 포스코, 리튬원료 대량 확보 호주 필바라 합작… (3) 굿잡스 04-12 2327
10733 [전기/전자] 간단하게 리튬 회수…한국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 / … (1) 부엉이Z 12-20 2327
10732 [전기/전자] 삼성전자, 세계 최소형 ‘마이크로 LED’ 첫 공개 (3) 스크레치 01-15 2328
10731 [기타경제] 日카메라 제조사들 'NO 재팬 찍힐라'… (3) 스쿨즈건0 08-22 2328
10730 [과학/기술] 정의선 “개인비행체 2028년 상용화” (7) 귀요미지훈 01-08 2328
10729 [과학/기술]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올들어 400만% 폭증 (16) 유랑선비 04-22 2328
10728 [잡담] 2018년 1월~5월 한국 대일본 수출입동향 (5) 파생왕 06-03 2329
10727 [전기/전자] NVIDIA 차세대 암페어 삼성 10nm 공정 사용? (3) 스크레치 03-13 2329
10726 [전기/전자] 삼성전자 폭풍투자에 쑥쑥 크는 세메스 (1) 스크레치 04-08 2329
10725 [자동차] '전장사업' 강화 삼성전자, 車 반도체 솔루션 기… (3) 스크레치 05-05 2330
10724 집값 과열에 가계부채 빨간불...대출 조인다 (4) 블루하와이 06-08 2330
10723 [전기/전자] SK이노베이션, 폭스바겐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한다 (12) 진구와삼숙 11-11 2330
10722 [기타경제] 中-대만 홀린 벚꽃음료…동남아가 반한 스낵…수출 (3) 스쿨즈건0 04-09 2330
10721 [자동차] 중국 자동차 업계 부채 심각, 20개 기업 200조 (5) 진구와삼숙 08-14 2330
10720 [재테크] 올바른 주식투자법, 금융용어정리 #돈의속성 더노드 12-29 2330
10719 [자동차] 2월 인도 자동차판매순위 유기화학 03-02 2330
10718 [잡담] 이제야 ‘반도체 위기’ 실감했나…文 "공급망 한국이 … (19) 븅아 04-16 2330
10717 [기타경제] JP모건 "올해 韓성장률 4.6% 전망…코스피 3500 간다" (9) 스크레치 05-23 2330
10716 [기타경제] '폴더블폰' 삼성 쫓다 굴욕 당한 중공, 얼마나 따… (3) 굿잡스 08-15 2330
10715 [과학/기술] 물세탁·다림질 여러 번 해도 멀쩡…'고효율 발열의… (3) 진구와삼숙 02-12 2331
10714 [과학/기술] 800㎏ 캐리어 옮기는 '자기부상 시스템' 개발 (8) 진구와삼숙 02-26 2331
10713 [잡담] 관광수지적자는 정말 부정적인 것일까요? (9) 로빈손 06-21 2331
10712 [기타경제] WTO후쿠시마 판결에도日 정부 대변하는 한국원자력학회. (30) 스쿨즈건0 05-22 2331
10711 [잡담] 삼성이 ARM인수 안하는게 좋은이유 (11) TTTTTTT 07-15 2331
10710 [자동차] 가솔린·디젤車의 종말?..英·美·中 이르면 2030년 판매금… (17) 스크레치 11-15 2331
 <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