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21 23:56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글쓴이 : 폭군
조회 : 2,397  

G7(G8) 창설 배경과 과정

  • 창설배경

    • G7(G8)은 1970년대 국제사회가 세계경제의 위기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범
    • 세계경제는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1973년 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통화가치 팽창, 저성장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후퇴,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
      • 브레턴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으로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서 탄생
        • 주요내용: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 고정환율 제도 등
        •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로 인해 일부국가들이 금태환을 요구하였고, 1971년 닉슨 대통령에 의한 금태환 정지선언으로 체제붕괴
    • 이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새로운 경제질서 수립방안 모색
  • 창설과정

    • Library Group/G5
      1. 1. 1971년 미국의 금태환 중지 선언이후 스미스소니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미국 George Schultz 미국 재무장관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재무장관에게 백악관 도서관에서 만나자고 제의
      2. 2. 1973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은 백악관 도서관에서 Library Group 결성하여, 세계금융 이슈 논의
        • Library group은 당시 세계경제의 4%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로 구성 (이탈리아는 4%를 상회하나 좌파성향의 정부로 인하여 배제)
      3. 3. 1975년 일본의 참여로 G5 재무장관 체제 형성
    • G6
      1. 1. G5 초창기 당시 각국 재무부 장관이었던 프랑스 D'Estaing 대통령과 독일 Schmidt 총리가 국가원수로 승격함에 따라 G5 재무장관회의를 정상회담급으로 격상 추진
      2. 2. 1975년 프랑스 랑부이예(Rambouillet)에서 개최된 회의에 이탈리아 참여로 최초의 G6 정상회의 개최
        • G6 회원국 자격요건
          • 자유민주주의
          • 안정적이며 높은 경제발전도(일인당 GDP 최소 $ 11,000)
          • 세계 경제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세계 총GDP의 4%)
    • G7
      1. 1. 캐나다는 1975년 첫 G6 정상회의부터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2.3%)이 상대적으로 작아, 참여에 실패
      2. 2. 1976년 푸에르토리코 회의시 미국의 강력한 희망에 의하여 캐나다가 참여하여 G7 정상회의로 확대
    • G8
      1. 1. 냉전 종식이후 구소련은 G7에 참여를 희망
        • G7 국가들도 핵통제 등
      2. 2. 미국은 1992년 뮌헨정상회의를 러시아가 참여하는 G8 정상회의로 제안, 이후 러시아는 초청국지위로 G7 정상회의에 참여
      3. 3. 1998년 러시아가 버밍엄 회의에서 정식회원이 됨으로써 현재의 G8 체제 완성
        • EC 집행위원장은 1978년부터 참여
    • G7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G8 국가로서의 자격 잠정 정지


73년기준으로 11000불 이상이었으니

지금 기준으로 자격조건을 달자면

1인당 gdp 30000불 이상은 되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나다는 자격조건(gdp 4%이상)이 안됬는데도 미국의 요구로 참여했군요

러시아도 마찬가지로 미국의 제안으로 참여했구요

결국 미국의 의중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김쌍큼 20-04-22 00:31
   
저런 모임은 들어가도 안들어가도 그만입니다..
행복찾기 20-04-22 08:43
   
2~3년 후에는 대한민국이 요청을 하지 않아도
G7에서 한국의 가입을 요구해오지 않을까요?
융융7845 20-04-22 12:27
   
고인물은 썩는 다고 거기 꼬라지보면 물이 별로 안좋음 글로벌 공조는 G20으로 충분한거 같고
가뜩이나 즈그들만의 밀실모임인데 일본이란 나라가 있어서 우리가 자격이 돼도 격렬하게 로비해서
못들어오게 할거같음
슬램덩크 20-04-23 11:52
   
저기에 가입 해봐야 별 쓸모 없어요.
멀리뛰기 21-01-12 09:03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감사합니다.
 
 
Total 16,51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52
10463 [기타경제] "U20 결승진출 고맙다" 편의점 '맥주매출 최고치' … (3) 스크레치 06-14 2391
10462 [기타경제] 글로벌 경기 불안요소들 현황 정리 (5) 귀요미지훈 10-18 2391
10461 [잡담] 일본 경제 근황 ㄷㄷㄷ (1) 강남토박이 02-19 2391
10460 [전기/전자] 갤노트10 사전판매량 130만대 넘었다…갤럭시 시리즈 '… (8) 스크레치 08-21 2392
10459 [자동차] 대만 폭스콘 日 니덱과 '전기차 동맹' (12) 스크레치 03-24 2392
10458 [전기/전자] 삼성 통신장비시장 세계 4위 전망 (4) 스크레치 07-30 2392
10457 [기타경제] 상반기 코스피 21%·코스닥 27%↓..반년새 시총 489조원 증… (5) NIMI 06-30 2392
10456 [기타경제] 이제는 '과학기술 한류'… '베트남판 KIST' … (4) 스크레치 03-23 2393
10455 [기타경제] 조선 빅3 ‘LNG 재액화 기술’ 신경전 (3) 스크레치 08-23 2393
10454 [기타경제] 올 상반기 일본찾은 한국인 작년보다 3.8% 감소. (6) 스쿨즈건0 07-18 2393
10453 [잡담] 삼성,SK AI시대 최대 수혜 ㄷㄷㄷ (5) 강남토박이 05-01 2393
10452 [기타경제] HBM메모리 팩트체크 (1) Verzehren 06-05 2393
10451 [자동차] 美포드-中바이두, 중국에서 자율주행차 파트너쉽 (8) 귀요미지훈 11-01 2394
10450 [잡담] 와 동학개미 대단하네요 (5) 미친파리 01-11 2394
10449 [기타경제] 한은,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4.0%로 상향 (10) 스크레치 05-27 2394
10448 "구글, 대만 스마트폰 제조업체 HTC 인수할 듯" (4) 스크레치 09-10 2395
10447 [기타경제] 미수출 철강 제품에 대한 쿼터제 (5) 프라하의밤 07-25 2395
10446 [전기/전자] 넘버3 마이크론 추가 감산 선언 (3) 스크레치 07-03 2395
10445 [기타경제] [단독]‘노딜’ 아시아나항공 연내 자회사 분리 매각 추… (1) 대한사나이 09-27 2395
10444 직접 개발한 비영리 주식정보제공 사이트입니다 (2) 상한가 06-30 2396
10443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OLED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증… (9) 진구와삼숙 08-20 2396
10442 [자동차] Jap닛산차, 2분기 영업이익 98% 급감…1만2천500명 감원 (8) 굿잡스 07-25 2397
10441 [부동산] 전세권 설정에 관한 규정 사항 (8) 볼보 12-26 2397
10440 [잡담]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 주요기업 1분기 영업이익 (8) 축신 04-29 2397
10439 [전기/전자] 없어서 못판다 삼성전자, 마이크로 LED 생산라인 증설 검… (4) 스크레치 05-02 2397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