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1-14 22:08
[자동차] 현대차 中서 '대박'… 신형 엘란트라 1만대 돌파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539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01113150427573983a046ffa0_1&md=20201113162936_R








놀라운 성적...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1-14 22:09
   
nakani 20-11-14 22:16
   
일명 아벤타도르 ...디자인이 원체 잘 나와서 소비욕구를 흔들리게 만들 수 밖에 없음.
     
유기화학 21-04-03 05:22
   
22
중고인생 20-11-14 22:19
   
작년인가 워낙에 안팔려서 공장 일부 폐쇠하고 기아차 같은경우에는 아에 공장폐쇠까지 한걸로

기억을 하는데 다시 잘팔린다니깐 다행이군요

중국의 인구의 무서움은 정말 대단합니다
     
스크레치 20-11-15 13:38
   
우리 인구의 약 30배니까요...

1인당 국민소득은 우리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인당 구매력이 떨어지긴 해도

워낙 인구가 많으니 뭐...



아직 국민소득이 2천불 내외인 인도시장으로

전세계 주요 기업들이 몰려가려고 하는 이유가 있지요

14억 인구빨은 뭐 어쩔수가 없으니까요...
     
유기화학 21-04-03 05:23
   
222
쾌남 20-11-14 23:17
   
단일 시장으로 워낙 압도적이라 더럽고 치사해도 무시하고 건너 뛸수가 없는데 문제는 중공에서의 현기 판매량이 악화일로라는 겁니다. 전년도에 비해 계속 판매량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에반해 도요타 혼다는 각각 현대차의 4배이상, 닛산마저 현대차의 3배 이상으로 올해 왜산 브랜드 모두 사상 최대 실적.. 현실적으로 내연기관 구조에선 현기차의 성장폭이 제한적으로 전기차 이후를 잘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주요 시장에서 현기의 판매단가가 전년대비 10% 이상 증가했고 부가가치가 높은 대형 SUV나 고가 모델이 상대적으로 더 잘팔려 전체 판매량이 전년에 비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과 이익률이 상승한점은 고무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후 현기차의 퀀텀점프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습니다.
     
스크레치 20-11-15 13:42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 일본차도 언제 현대차같은 위기가 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는 사실...

일본차도 몇년전 센카쿠 영유권 분쟁으로 최악까지 내려간적이 있으니까요

반면 그당시 현대차는 중국에서 200만대 돌파하니 뭐하니 하면서

승승장구하던 시절도 있었구요 (그래서 중국 현지 공장을 그당시 더 확충했던것)


그만큼 중국시장은 인구가 많아 버릴수 없지만

또 굉장히 정치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불안한 시장이라는 점입니다.


탈중국을 가속화할수밖에 없는게 또 현실이기도 합니다.



현대자동차 그룹이 중국시장에서 하락세에도

역으로 다른시장에서 충분히 보충하고 있기에 현재 전세계 자동차기업 올해기준

영업이익 1위를 달성하고 있는등 선전중인데


중국시장의 의존도를 줄이면서 체질은 오히려 개선하는것이라

전 더 긍정적으로 봅니다.


중국시장도 현재 한해 100만대 정도 판매량을 유지하려는 계획은 계속 가져가되

현대차는 동남아나 인도시장을 더 적극적으로 공략해야합니다.


특히나 인도시장은

중국 인구와 같은 14억 시장이면서도 현재 빠르게 성장중이고

또 현대자동차 그룹이 점유율 25%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점유하는 지역이라

현대자동차 그룹 입장에선 중국시장에서의 감소분을 인도시장에서

그 이상 보충할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유기화학 21-04-03 05:23
   
22
크레모아 20-11-15 04:08
   
요즘 현대기아차 디자인이 잘 나와서 구매 욕구를 당김.
     
유기화학 21-04-03 05:23
   
333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01
10458 [전기/전자] 中 칭화유니 부도 위기 (24) 스크레치 11-18 5028
10457 [전기/전자] 삼성전자, 2022년 3나노 양산 첫 공식화…TSMC에 맞불 (13) 워해머 11-18 3573
10456 [전기/전자] 오포 롤러블폰 공개 'OPPO X 2021' (37) 카카로니 11-18 3847
10455 [전기/전자] 中화웨이 삼성과 경쟁포기 (48) 스크레치 11-17 8675
10454 [주식] 금일의 계좌 수익률 (4) 지팡이천사 11-17 2562
10453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 빈부격차가 … (18) 빛둥 11-17 2589
10452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선진국 韓日 최저임금 현황 (11.16 기준) (7) 스크레치 11-16 7130
10451 [잡담] 마이크론 현실.. (19) 고고싱 11-16 7535
10450 [전기/전자] 中 전문가 삼성 엑시노스 2100 성능 스냅드래곤 875 앞서 (22) 스크레치 11-16 7108
10449 [전기/전자] 넥스틴 "검사장비 국산화 나선다" (6) 스크레치 11-16 3267
10448 [기타경제] 30여년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는 아시아나항공 (17) 스크레치 11-16 3167
10447 [기타경제] "RCEP 위험하다" 최대 수혜국 일본, 축포 안 쏘는 이유 (18) 스크레치 11-16 4719
10446 [금융] 오늘의 환율 (5) nakani 11-16 1758
10445 [주식] 금일의 계좌 수익률 (14) 지팡이천사 11-16 1870
10444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6. 멕시코) (IMF) (8) 스크레치 11-16 1828
10443 [주식] 고수들은 왜 장투를 할까? (5) 멀리뛰기 11-16 1727
10442 [전기/전자] 삼성의 독식 韓 스마트폰 점유율 70% 돌파 (42) 스크레치 11-15 5896
10441 [자동차] 韓전기차 주행거리 벤츠 앞서지만..충전인프라는 中 30분… (27) 스크레치 11-15 3658
10440 [전기/전자] 인도는 왜 삼성 공기청정기에 반했나 (5) 스크레치 11-15 3825
10439 [자동차] 가솔린·디젤車의 종말?..英·美·中 이르면 2030년 판매금… (17) 스크레치 11-15 2330
10438 [주식] 주식장 역학법칙 (6) 멀리뛰기 11-15 1951
10437 [기타경제] 日 맥주·동남아 열대과일 싸진다.. RCEP 최종 서명 (25) 스크레치 11-15 3577
10436 [전기/전자] 삼성전자 '5나노 AP' 글로벌 경쟁 불지핀다 (2) 스크레치 11-15 1959
10435 [자동차] 현대차, 차세대 전기차 '아이오닉5' 내년 2월 양산 (1) 스크레치 11-15 1706
10434 [자동차] 제네시스 올해 고급차 시장서 독일차 확실히 제치고 1위 … (1) 스크레치 11-15 1799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