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0-30 05:03
[전기/전자] 韓반도체 못한다 비웃던日, 삼성 앞에 일본 없었다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950  

https://news.v.daum.net/v/20201026104135742







삼성 실패 예견한 미쓰비시... 





그 이후 대한민국은 미국에 이은 반도체 패권 강국으로 도약 

일본은 망... 









[참고]



<2019년 세계 반도체시장 국가별 점유율 현황> 



1위 미국 (55%)

2위 대한민국 (21%)

3위 유럽 (7%)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0-30 05:03
   
엘리자비스 20-10-30 08:29
   
일본도 4위로 유럽이랑 비슷한 6~7퍼였는데
예전에비해 몰락한건 확실하지만 키옥시아가 남아서 완전히 무너진건 아님
     
유기화학 21-04-04 16:34
   
22.
셀시노스 20-10-30 09:30
   
현기차와 일본차에
일본 반도체 겁나많이 들어감
메모리는 죽었어도 특수시장은 남아있음
삼성은 그 시장 관심없어함
부가가치는 높으나 시장이 메모리보다 작고
부품을 10년 생산해야함
기술지원도 잘해야됨
라인공정을 수시로 바꾸어야하는 삼성과는

아무것도 맞지않음
     
바바야바 20-10-30 10:28
   
내연기관차에서 완전 전기차나 수소차로 바뀌면 달라지지 않을까요?
전기차와 내연기관의 차이가 큰만큼 부품들도 많이 달라질것 같아서요.
좀 미래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전기차의 발전과 함께 V2V 통신등이 함께 발전하게 된다면, 전기차가 필요로 하는 반도체의 스펙은 굉장히 높아질 것 같아요. 아마 일본 반도체 회사에서는 감당 못할거에요.

그리고 삼성도 전장사업에 관심이 많아서 큰돈들여 전장회사를 사기도 했구요.
물론 현재로선 전장하고 반도체하고는 좀 다른이야기지만 전기차로 바뀌게 되면 무시 못할것 같아요. 그리고 차량에 들어가는 부품을 반도체 하나만 바꾸기보단 해당 반도체가 포함된 부품을 통으로 바꾸는 방향으로 간다면(물론 반도체 하나만 딱 바꾸는것도 불가능하진 않지만.. 사실상상 현실성X), 호환성만 유지된다면 굳이 똑같은 반도체 10년간 공정이나 라인바꾸지 않아도 될것 같아요. 그리만 된다면 기술지원이야 어려운일은 아니구요.
          
셀시노스 20-10-30 10:58
   
전기차의 핵심 비용에는 배터리겠지만,

각각 소형 모터들을 제어하는 반도체들,
각각 서브모듈간 통신하는 반도체들,
각각 서브모듈 전압변환 반도체들,
수많은 여러 센서들(반도체) 및 센서 통신용 반도체들,
카메라 데이터 변환 반도체들,
중요한 인포테인먼트 기기들 내에 들어가는 반도체들

이런 안정성과 직결되는 반도체들은 문제가 없다면 계속 사용하게 됩니다.
다음 설계에서도, 그다음 설계에서도...

게다가, 삼성전기가 무라타하고 싸우고 있는 캐패시터, 인덕터 분야들도 요즘엔 반도체 기술이고

이런 분야에는 일본 반도체 업체들이 살아남을 수 밖에 없는 생태계예요.

모듈단위로 바뀐다해서, 그 모듈 내에 들어가는 반도체들이 전부 갈아치는 건 시간이 10년 20년 걸릴 것 같습니다.

자동차가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한,
내연기관과 구동계가 배터리와 모터로 바뀐 것 뿐이지,

반도체는 더더욱 더 많이 들어가게 되며
안정성을 위해서 하나의 반도체가 다 통합되는 건 불가능해질 것 같구요.

모듈이 요구하는 기능들이 명확해지고 균일화되어도
그 내부에 대한 컨셉이나 안정성에 대한 경험치는 대체가 안됩니다.

속된 비유로, 에어백만 하더라도 1위와 2위의 싸움은 싱겁게 1위의 압승으로 끝났는데
1위의 안정성은 아무리 겉으로 베껴도 회사를 인수하지 않는한
혹은 에어백 그 이상가는 안전장치가 나오지 않는한

그 모듈자체가 대체가 안됩니다.

다른 것 썼다가 개 망하면 회사가 날라갈 판이니, 일제니 미제니 중국제니 따질 것 없이
'안정스러운것'을 쓰는 이유입니다.

그걸 국산화하는 것을 하려면, 자동차 발전에 기여를 해야 되요.

수소차나 전기차 처럼 말이죠.

한번 자리잡아서 안정스러운 부품은 다이아몬드보다 더 단단히 산업에 뿌리내리게 됩니다.

그리고 그건 반도체가 아니라 그 무엇이 와도 대체가 불가한 수준이 됩니다.
               
셀시노스 20-10-30 11:07
   
그리고

이번에 산자부가 현기차 손을 들어주면서 LG 배터리가 문제라는 식으로 했는데

산업적으로 보면 아주 아주 위험하고도 멍청한 짓이었습니다.


전기차는 이제 내연기관을 밀어내고 자리를 잡으려고 하는 기로에 서있고

그 많은 배터리 업체중에서 LG화학이 제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시장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순간에

이 순간이 자리 잡히면, 다른 배터리는 불타거나 터지거나 갑자기 꺼지거나 하는

시장에서의 반응이 오는 시기를 지나면

자연스럽게 1위로 굳히는 순간을 맞이하고 있는데

산자부가 현기차 커넥션으로 이런 개 멍청한 짓을 하는게

차 브랜드 하나 날리는게 훨씬 비용이 적은데도

그리고 실제 문제도 아니었는데도


그 배터리 브랜드에 먹칠해버리는 정말로 개 멍청한 짓을 해버린 것이었죠.


예를 들자면 삼성이 일본 메모리 밀어내고 이제서야 겨우 1등하려고 하고 있는데

산자부가 나서서 삼성 메모리 사용한 삼보컴퓨터 손을 들어주면서

삼성메모리 문제라고 한 것과 똑같은 짓입니다.


국가의 부를 쌓는게 어느게 더 최종적으로 이득이 될 것인지를 생각해보면

섣불리 결정할 수도 없으며

진짜 원인이 뭔지도 모르는 공무원따위가 판정을 내려버리는 짓이었죠.
                    
솔루나 20-10-30 14:06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생각하게되는군요.
     
유랑선비 20-10-30 14:46
   
르네사스 같은 애들인가요
          
유기화학 21-04-04 16:35
   
333
oksoc 20-10-31 15:07
   
삼성은 자동차쪽에 관심이 많습니다.
     
유기화학 21-04-04 16:35
   
22
50프로 20-11-03 21:41
   
일본의주특기죠
     
유기화학 21-04-04 16:35
   
222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41
10298 [기타경제] 日에 수출된 빼빼로데이의 첫 시작 (6) 스크레치 10-31 4084
10297 [기타경제] [베트남 언론] 베트남 5G 소식 (25) 귀요미지훈 10-31 4801
10296 [기타경제] 日 韓감염증위험 입국거부 대상서 제외.."관광 입국은 사… (12) 스크레치 10-31 3564
10295 [기타경제] 현대오일뱅크 정유업계 유일 '2분기 연속 흑자'..3… (1) 스크레치 10-31 1291
10294 [기타경제] 한국조선해양, 3Q 누적 영업익 2553억…'이익 개선' (3) 스크레치 10-31 1299
10293 [기타경제] "이사오면 3년 연봉줄게요"..伊 마을 파격조건으로 청년 … (3) 스크레치 10-31 2296
10292 [자동차] 수소차 타고 현대차 간 文대통령…"2025년까지 20조 투자" 역전의용사 10-31 1287
10291 [주식] 10월 마감과 주식양도세정책 순기능 (1) 지팡이천사 10-31 1009
10290 [기타경제] 中 "핵심기술 살수 없어"..미국 봉쇄에 기술자립 초점 (24) 스크레치 10-31 4367
10289 [기타경제] 日기업 자산매각 막아야…닛케이 "문제해결 책임, 韓정… (27) 스쿨즈건0 10-31 3422
10288 [전기/전자] 인도 잡고 화웨이 꺾고…삼성, 3분기 스마트폰 1위 … (7) 스쿨즈건0 10-31 1463
10287 [기타경제] 9월 생산 2.3%↑…3개월만에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 (14) 귀요미지훈 10-30 1866
10286 [전기/전자] 日기업 韓반도체 기술침해..제엠제코, 특허소송접수 (3) 스크레치 10-30 4996
10285 [전기/전자] "핸드폰 판매량 8,800만대"..삼성, 3분기에 적수 없었다 (1) 스크레치 10-30 2144
10284 [기타경제] 프랑스·독일 또 '셧다운'..4분기 세계경제 다시 … (11) 스크레치 10-30 2360
10283 [기타경제] 中광군제 특수 노리는 K푸드.. "실적 상승세 탄력 기대" (2) 스크레치 10-30 1394
10282 [기타경제] 제조업 생산량 국가 순위 1970 ~ 2017 (2) 호이짜아 10-30 2956
10281 [전기/전자] LG화학 中 CATL과 격차 확대.. 세계 1위 굳건 (19) 스크레치 10-30 3254
10280 [기타경제] 日정부 중국산 드론 퇴출 검토.."국가 핵심정보 유출 우… (2) 스크레치 10-30 2521
10279 [기타경제]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서 4조5천억원 규모 수주..창사이… (4) 스크레치 10-30 2721
10278 [기타경제] 싱가포르, 중국 관광객 입국 허용..공항검사 음성이면 격… (4) 스크레치 10-30 1435
10277 [잡담] 2040년 미래에 우리나라 경제는 많이 힘들어질까요? (28) 콜리 10-30 2356
10276 [전기/전자] 韓반도체 못한다 비웃던日, 삼성 앞에 일본 없었다 (14) 스크레치 10-30 4951
10275 [잡담] 미국이 완전히 중국을 무너뜨리지 않으면 큰일나겠습니… (13) 폭군 10-30 3427
10274 [전기/전자] 동유럽국 中화웨이 보이콧, "무더기 가세“... (4) 스쿨즈건0 10-30 2305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