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08 13:41
[기타경제] OECD "韓, 이렇게 가다간 잠재성장률 꼴찌…재정건전성 재평가해야"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2,657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등 복지 비용 증가로 세수와 지출 불균형을 야기시켜 결국 잠재 GDP 증가율은 악화될 수 밖에 없다는 전망입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잠재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2030~2060년에 0%대로 떨어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권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8일 경제계에 따르면 OECD는 최근 발표한 2060년까지의 재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2030~2060년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을 연간 0.8%으로 예상했다.

잠재 GDP는 한 나라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을 뜻한다. 잠재성장률은 이 잠재 GDP의 증가율을 의미하는데, OECD는 정책 대응 없이 현 상황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미래 전망치를 내놓았다.

OECD 예상치대로라면 우리나라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은 2000~2007년 연간 3.8%에서 2007~2020년 2.8%, 2020~2030년 1.9%, 2030~2060년 0.8%로 추락한다. 

2020~2030년까지는 OECD 평균(1.3%)보다 성장률이 높지만 2030~2060년에는 OECD 평균(1.1%)을 밑돌면서 우리나라가 속하는 주요 20개국(G20) 그룹 평균(1.0%) 보다도 낮고, 캐나다(0.8%)와 함께 38개국 가운데 공동 꼴찌가 된다.

OECD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유발한 (성장세의) 하락과 반등 이후에는 OECD 국가와 G20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성장세가 다시 점진적으로 둔화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성장세는 인구구조가 변하고 생산성 향상이 둔화하면서 대체로 하락해왔고 정책 변화가 없다면 향후 수십 년간 계속 약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 문제가 다른 나라보다 심각하기 때문에 경제성장률 둔화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복지 지출이 늘어나는 반면 세입 기반은 약화되는 영향 탓이다. OECD는 "경제 회복이 자리 잡고 나면 더 높은 수준의 국가 부채와 성장률 둔화를 고려해 장기적인 재정건전성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08 13:41
   
     
OOOOOO 21-11-08 15:32
   
한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랑하며 21-11-08 13:41
   
"한국 2030∼2060년 1인당 잠재성장률 0.8%"…OECD 최하위권

https://www.yna.co.kr/view/AKR20211106031800002?input=1195m
     
viperman 21-11-08 18:43
   
2030∼2060년  ㅋㅋㅋ 아이고 배야
총명탕 21-11-08 14:02
   
인구 절벽이라 그런 가능성은 있겠네. 우린 통일이 답임. 통일 반대하는 것들이 문제고~
유랑선비 21-11-08 23:13
   
어떻게든 장기적인 한반도의 통일이 필요한 이유군요. 흥미롭네
로터리파크 21-11-09 02:34
   
2060년까지의 30년단위 예상이라니ㅋㅋㅋㅋㅋㅋㅋ
흩어진낙엽 21-11-09 13:55
   
한국, 2030-2060년 '1인당 잠재성장률' 꼴찌?(최배근)
https://www.youtube.com/watch?v=wh_7VOzNnTQ
북리 21-11-09 16:14
   
저거 2030년에서 2060년까지 예측은 이미 한국이 G3국가가 되어서 성장률이 하락세일경우임.
전체를 봐야지 왜 저렇게 결과가 나오는지 알수 있는데 일부만 빼서 까는데 쓸려고 기사를 만드니
저렇게 내용이 나오는거임. ㅋㅋ
 
 
Total 3,5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01 [기타경제] 기재부 헛다리 잡아낸 與, 野 압박하며 예산협상 가속 키륵키륵 11-17 1515
2900 [기타경제] 서울시 세금 고액체납자 명단공개, 1위는 151억 체납 키륵키륵 11-17 1303
2899 [기타경제] 일본 2021년 성장률 근황... (4) 메흐메르 11-15 3599
2898 [기타경제] 갈수록 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2) 사랑하며 11-15 2872
2897 [기타경제] "중국만 믿다가는 경제 올스톱"…'요소수 대란'이… (3) 사랑하며 11-15 2124
2896 [기타경제] 속보)일본 경제, 3분기도 3% 마이너스 성장 (1) 메흐메르 11-15 1813
2895 [기타경제] EU, 셀트리온 코로나 항체치료제 승인...중증 위험 환자 … (1) darkbryan 11-15 1873
2894 [기타경제] 韓 조선, 中제치고 1위 10월 전세계 선박수주 52% 쓸었… (2) 스쿨즈건0 11-15 2277
2893 [기타경제] 미래 예상: GE 에너지와 도시바 인프라 합병 예상 이름없는자 11-14 1609
2892 [기타경제] 2019년도 대한민국 1인당 개인소득 지역별 순위 (6) 키륵키륵 11-13 3054
2891 [기타경제] 2019년도 대한민국 1인당 지역총소득액 순위 (1) 키륵키륵 11-13 1558
2890 [기타경제] 2019년도 대한민국 1인당 지역내총생산액 순위 (2) 키륵키륵 11-13 1480
2889 [기타경제] 삼성전자, 내년부터 엑시노스2200 ‘4나노 공정’에서 생… (5) 푸른마나 11-12 4051
2888 [기타경제] 요소수 200만리터 국내 생산 돌입 (1) 키륵키륵 11-11 2305
2887 [기타경제] 내일부터 유류세 20% 인하..휘발유 L당 164원·경유 116원↓ 꼬마와팻맨 11-11 803
2886 [기타경제] '위드 코로나' 첫주, 주점이 소비 회복 최대..전체… (1) 키륵키륵 11-10 1390
2885 [기타경제] 노동부 "주52시간제 이후 조선업 등 임금 오히려 늘어" (3) 키륵키륵 11-10 2252
2884 [기타경제] 10월 취업자 65.2만명↑…두달째 60만명대 늘어 (1) 키륵키륵 11-10 1104
2883 [기타경제] "요소비료 완제품, 이미 3.5만t 확보…2월까지 부족현상 … (4) 키륵키륵 11-10 1765
2882 [기타경제] 국가 경제에 중요한 전략 물자 비축, 인도가 오히려 앞서 (9) 사랑하며 11-10 1182
2881 [기타경제] "이제는 관리 필요" 경제 전문가들...확장재정에 경제 살… (3) 사랑하며 11-10 1473
2880 [기타경제] 일본이 수출 규제한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성공 (6) BTJIMIN 11-09 4557
2879 [기타경제] 카타르 발 LNG선 대량 발주 스타트..조선 빅3 수주랠리 시… (2) 굿잡스 11-09 2111
2878 [기타경제] 아프리카 11조 규모 그린수소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5) 굿잡스 11-09 1385
2877 [기타경제] 국가채무 비교 (33) 갓라이크 11-08 4039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