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7-30 11:29
[전기/전자] 中 콧대꺾은 LG화학, 상하이GM에 배터리 공급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778  

https://news.v.daum.net/v/20200729190816340








세계 1위 전기차배터리 기업 LG화학 

중국에서 테슬라 물량도 거의 독점하는 상황에 


이번에는 중국 상하이GM 물량까지 차지.. 



사실 그동안 중국 이외 지역에선 

LG화학이 거의 넘사벽 1위였던 상황이었는데 



이제 중국시장에서조차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이 2위권까지 치고 올라온 상황에 

GM물량까지 가져가면서 앞으로 더 탄탄해질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07-30 11:29
   
개구신 20-07-30 12:05
   
GM과 LG는 합작법인 만든만큼 함께 갈게 자명합니다.

테슬라는 가격때문에 중국과 손잡기로 했습니다. 심지어 중국시장에는 중국산 인산철배터리를 활용한 전용차량을 내놓을 계획이에요.
이외 시장에서는 기가팩토리를 한참 넘어선 테라팩토리를 텍사스에 지어서 자체 공급할 계획입니다.
즉 LG와 테슬라는 그다지 관계가 앞으로도 쭉 없을 예정입니다.
그저 당장 배터리 공급이 딸리는 상황에서 테슬라가 LG배터리를 일시적으로 사용한것일 뿐이에요.

리튬이온배터리는 종류가 꽤 많고, 그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리튬카드뮴마그네슘베터리 기술은 LG가 가장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뮴 가격이 오르고 또 안정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아예 카드뮴을 뺀 인산철베터리로 집중하고 있어요. 충전속도가 느리고 효율이 낮은 대신, 수명이 매우 깁니다. 그래서 중국 내에서 충전식이 아닌 배터리교환식으로 달리는 전기차들에게 효율적이죠.
테슬라는 이런 점에 주목한 듯 합니다. 주유소같이 곳곳에 위치하면서 배터리를 즉시 교환해주는 방식이면 충전속도에 연연할 필요가 없거든요. 전기차 기술력에서 많이 부족한 테슬라로서는 베터리혁신보다는 이런 인프라조성으로 시장을 선도하길 바라는겁니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베터리제조사들은 기술력을 끌어올려 에너지효율성을 극도로 올리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카드뮴같이 비싸고 가격이 안정되지 못한 물질을 최대한 적게 쓰는 쪽으로 연구중입니다.

베터리시장은 이제부터입니다. 누가 시장을 먹느냐는 치킨런이 시작되었어요.
시장을 먹으면 기술력을 가진 회사를 인수할 돈이 생길거라는 인산철 베터리의 테슬라와,
기술력으로 시장을 먹겠다는 LG로 대표되는 리튬-카드뮴-마그네슘의 한국업제들의 전쟁입니다.
     
가세요 20-07-30 14:38
   
테슬라가 배터리 플랫폼 기업이 된다면 catl이 최고 승자가 되겠네요.
     
정말미친뇸 20-07-30 22:43
   
배터리 교체? 가망성 없어요.차 한대당 베터리값이 2천만원정도 하는대 얼마에 교체 하능할거라 예상함?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할까요? 그리고 중국산 베터리는 중국에서만 쓰지 해외에서는 아무도 안써요.
대팔이 20-07-30 16:51
   
테슬라는 중국에 승부수를 걸었어요...
CATL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를 공동개발하고 있습니다...
     
totos 20-07-30 18:16
   
전고체 배터리는 모든 배터리 회사들이 다 개발 중입니다.
CATL가 개발하는 전고체 배터리가 삼성 SDI랑 거의 유사한거에요.
삼성 SDI가 개발 진척이 가장 빠르구요.
테슬라는 그냥 이름빨이죠.
iamafool 20-08-15 23:42
   
테슬라가 아니더라도 전기차시장은 확장될테니 아직 승부는 모르죠
멀리뛰기 21-01-12 09:20
   
[전기/전자] 中 콧대꺾은 LG화학, 상하이GM에 배터리 공급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059
9597 [기타경제] 미국,일본 편들어 "일본 수출규제는 WTO심리대상 아니다" (37) 스쿨즈건0 08-03 4490
9596 [기타경제] OECD "韓GDP 8위 복귀할것" (85) 스크레치 08-02 12032
9595 [전기/전자] 네이버는美, 카카오는日…웹툰 종주국에서 플랫폼 석권… (15) 스쿨즈건0 08-02 6835
9594 [전기/전자] LG전자 세계1위 등극, 월풀보다 3배 더 벌었다 (가전) (16) 스크레치 08-01 6129
9593 [잡담] (경악)애플 2분기 영업이익 15조 5천억..삼성전자의 2배~ (24) 꼬장꼬장 08-01 6498
9592 [기타경제] "부럽다, 한국"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연일 코로나 신기… (34) 스크레치 07-31 12204
9591 [기타경제] `노노재팬`유니클로 국내 매장 내달 9곳 폐점… … (31) 스쿨즈건0 07-31 4129
9590 [기타경제] 한국경제 힘 실리는 일본 ANA-JAL 통합론…아시아나항공은 (2) 너를나를 07-31 5361
9589 [기타경제] 日에 부는 한국라면 열풍…유튜브 타고 전년 2배 성장 (10) 스크레치 07-31 5653
9588 [기타경제] 대만 점령한 K-게임..다음은 중국이다 (8) 스크레치 07-31 5229
9587 [전기/전자] 中포기, 동남아 가는 韓게임 ‘이제나 저제나’가 4년째… (11) 스쿨즈건0 07-31 5391
9586 [자동차] 베트남 車산업 국산화율 10% 좀처럼 속도 못내.. (49) 스크레치 07-30 6730
9585 [잡담] [1보]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8조1천463억원…작년 대비 … (6) 유랑선비 07-30 3649
9584 [자동차] 현대 크레타 인도 1위 SUV 등극 (4) 스크레치 07-30 3562
9583 [전기/전자] 韓, 점유율 '쑥'.. 커지는 '포스트 반도체' … (4) 스크레치 07-30 5457
9582 [기타경제] 지역경제 활성화 '상품권 13조원 확대 조기 유통' (2) 스크레치 07-30 1311
9581 [기타경제] 美 경제 코로나 못 막으면 '더블딥' 빠진다 (4) 스크레치 07-30 1253
9580 [기타경제] 베트남-EU 무역협정 8월 발효 (2) 스크레치 07-30 1431
9579 [전기/전자] 위기의 삼성전자 '기로에 섰다' (60) 이수 07-30 3151
9578 [기타경제] 베트남총리까지 나서 韓 기업 투자유치 총력 (5) 스크레치 07-30 1877
9577 [전기/전자] 위기에 강한 삼성전자, 하반기 '코로나 파고' 또 … (2) 스크레치 07-30 1105
9576 [자동차] 현대차그룹 新모빌리티 생태계 주도권 잡는다 (2) 스크레치 07-30 997
9575 [기타경제] 美 4대 IT업체 수장들, 中 기술 도둑질에 다른 목소리 (2) 스크레치 07-30 1654
9574 [기타경제] 주식 팔면 20억 부자된다는 SK바이오팜 직원들이 요즘 고… (5) 장피장피 07-30 1745
9573 [주식] 오늘 한겨례1면 개인투자자 증세 (7) 커피는발암 07-30 976
 <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