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0-04 20:08
[기타경제] SK 적산 노태우 민영화
 글쓴이 : 범고래99
조회 : 1,226  

얼마 전 아이디어 리그라는 프로를 얼핏보고 놀랐다
최태원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재벌기업 대표가 직접 예능에 나오는 것은 내 기억으로는 처음이다
그것도 국내 3위 SK의 대표가..

집사부에서도 윤석열이 나와 친숙한 이미지 심더만..
예능출연하면 대중이미지 좋아지고 그러면 동정받기 쉽고 가해자보다 피해자로 보여지고..

전현무는 참 비호감인 듯
프로전에 상호교감이야 있었겠지만 어떻게든 이미지 좋게 띄어주려 애쓰는 모습이 영..

Sk 창업주는 최종건이며 일찍 폐암으로 죽고 동생 최종현이 물려받아 그 아들이 최태원이다
3대 대표이지만 재벌 2세이다

이재용 정의선 구광모가 3세경영을 시작한걸 보면 창립년도가 늦어서이기도 하다
사실 창립이후에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지금의 기틀을 다지는 폭발적인 성장에는 노태우가 있었다

적산 기업

창업주 최종건은 일본기업 선경직물에 입사한다
선경직물은 일제 군복을 생산하고 한반도를 수탈하던 전범기업이였다
해방후 선경치안대를 조직해 전범기업 간부인 일본인의 본국 탈출을 안전하게 돕는다

삼성 현대 두산 한화등 국내 재벌들도 대부분 적산으로 유리하게 출발을 하여 자수성가가 아니였다는 논란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적산이란 점령지 안의 적국의 재산을 뜻한다
이들이 차지한 적산은 35년간 민족과 강산을 강탈해간 일본의 재산이였다
민족의 몫으로 돌려받았어야 할 재산들이였지만 시대상이 그렇지 못했다

소위 그 당시 적산을 불하받는 것은 대박이 나는것이였다
그마저도 불하대상이 일제치하 전범기업의 관리자들
그당시 일제에 부역한 친일인사들에게 돌아갔다

이승만은 민족의 적의 재산을 그에 부역한 인사들에게 거의 공짜로 넘긴 것이다
무상이라 할 만한 헐값에 무이자로 15년 분할상환에 물가는 4년간 60배가 뛰었으니 가히 로또도 비교안되는 대박이라 할 수 있다

재벌이 되지는 못해 불운?한 김용주는 적산 전남방직을 불하받아 거부가 됬고 그 아들이 김무성이다
자신이 광주의 아들임을 자처한 사실을 보면 코웃음이 나온다
김용주는 일제징병을 독려하던 친일파였다

SK는 적산으로 순조롭게 출발하지만 노태우를 만나기 전엔 그룹규모가 크지 않았다
공기업을 매각하는 민영화의 최대 빅딜이 두번 있었었는데
모두 공개입찰이 아닌 낙점으로 손에 쥔 기업이 SK이다

Sk는 유공(대한석유공사)을 넘겨받음으로 날개를 달고 그것은 전두환 시절 노태우의 작품이었다
이후 보통사람이 취임하던해 노소영과 결혼하여 정경유착의 끝판왕이 된다
선경은 유공의 삼분의일도 안되는 덩치로 1위 삼성을 제끼고 고래를 삼킨다

노태우는 전두환이 쿠데타후 취임한 해에 유공을 넘기고
자신이 취임하던해에 최태원을 사위로 삼고
물러나기 마지막 전에는 무리해서까지 한국이동통신을 Sk품에 안긴다
지금같으면 상상도 못 할 일이고 화천대유는 이에 비하면 껌도 안 되는 규모다

일본을 보면 지리적 방파제 역할과 경제적 반면교사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다
내각제와 민영화의 본보기를 보여 우리에게 먼저 망가진 모습으로 예방주사를 놓아 준다

결과를 알고 있으니 국내에서 아무리 많은 어용학자를 이용해도 반발에 부딛히고 추진력이 떨어진다
거기에 화천대유까지 터졌으니 더욱 경계태세..

기업들이 민영으로 이익을 남기지 못하면 공공으로 눈을 돌리고 정치와 결탁하면 곧 민영화되어 비용상승으로 이어진다
공공은 사회간접자본 SOC의 성격을 가지기에 수도 도로 전기등 생활밀접 비용들이 생기거나 오른다

비용상승은 곧 제조업의 탈출로 이어지고 그것은 국내 일자리의 감소로 나타난다
왜 삼성이 욕을 먹더라도 공장이전을 잘 안 할까
반도체에 가장 필요한 물과 전기가 저렴한 물리적 환경 때문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범고래99 21-10-04 21:30
   
우리에겐 관심도 없이 지나간 태풍 민들레에 일본은 피해가 있었다
유튜브를 보니 일본에서 한국과 재난협정 어쩌구 개수작을 부리는 듯 하나 관심 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일본은 제정부실과 민영화의 문제를 모두 안고 있다

도로 보수 유지등을 보면 나라에 망조가 들었는지 아닌지 알 수가 있다
우린 꽤 정비가 잘 되어 있는 편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기점으로 재난재해 복구능력이 많이 감소한 모습이고
우린 세월호 이후로 사회 안전망이 많이 단단해진 듯 하다
 
 
Total 3,5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50 [기타경제] 유럽 소국들의 GDP (5) 키륵키륵 10-13 5112
2849 [기타경제] 한국 2021년 1인당 gdp 3992만원..환율 1000원일시 4만달러 육… (3) 메흐메르 10-13 3482
2848 [기타경제] 세계 각국의 수출입 규모 (10) archwave 10-12 5394
2847 [기타경제] 3분기 평균환율반영한 실시간 명목 GDP LIVE (7) 폭커 10-07 4729
2846 [기타경제] 스크레치야 세계은행에서 러시아 경제성장률 3.2%~4.3%로 … (38) kj02020 10-06 4533
2845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日평균임금 수준 (OECD 최신판 통계) (6) 스크레치 10-06 3221
2844 [기타경제] 韓 선진국 격상후 운크타드 첫 참가 (12) 스크레치 10-05 6841
2843 [기타경제] 개잡는 선진국 대한민국 서울 도심에 초대형 현수막 (14) 스크레치 10-05 4293
2842 [기타경제] 깐깐한엄마 입소문에 대박났다..출시 4년만에 한국 소비… (2) 스크레치 10-05 3159
2841 [기타경제] 中 호주에 백기투항 ㅋ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 (4) 스크레치 10-05 3157
2840 [기타경제] 900조원 굴리는 국민연금, 체질 확 바꿨다 (3) 스크레치 10-05 4085
2839 [기타경제] 美핼러윈 대세는 '오징어게임' 복장.."배송만 한… (1) 스크레치 10-05 3649
2838 [기타경제] 우크라이나 현대로템 전동차로 '폴란드-우크라이나&#… (1) 스크레치 10-05 2247
2837 [기타경제] 대만은 지금이 경제적 전성기인듯? (4) 가세요 10-05 3525
2836 [기타경제] 美동네마다 '꼬북칩'.. K스낵 전세계서 '바삭&#… (5) 스크레치 10-04 3410
2835 [기타경제] SK 분식회계 최태원 범고래99 10-04 1194
2834 [기타경제] 오징어게임 中의 자괴감 "솔직히 부럽다" (2) 스크레치 10-04 2643
2833 [기타경제] SK 적산 노태우 민영화 (1) 범고래99 10-04 1227
2832 [기타경제] 韓대기업 대졸초임 日보다 2000만원 더 받아..중소기업도 … (11) 스크레치 10-04 2748
2831 [기타경제] 이정재 달고나 핥은 뒤 대박 났다.."1주일간 집 못갔어요" (1) 스크레치 10-04 2663
2830 [기타경제] 세계10대 강대국 1인당GDP 현황 (PPP기준) (1) 스크레치 10-03 2502
2829 [기타경제] 세계 최저임금 순위 (시급기준) (9) 스크레치 10-02 5370
2828 [기타경제] 中 "선진국중 韓만 영어가 필수과목"..中, 대입서 선택으… (35) 스크레치 10-02 10504
2827 [기타경제] 2배비싼 팝콘도 '한국산'이면 팔리네..수출 대박 … (1) 스크레치 10-02 3871
2826 [기타경제] 韓 역대최고 월수출 기록 (49) 스크레치 10-01 6248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