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5-17 06:03
[기타경제] "美·中갈등 진짜 이유, 교역이 아니다"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2,700  


"미국은 전통적으로 '작은 정부와 역동적인 시장이 경제성장을 이끈다' 신자유주의를 주장해 왔지만 현재 많은 국가들은 이와 다른 노선을 채택하고 있다"



지난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폴 로머 미국 뉴욕대 교수는 14일 조선일보 주최로 열린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에서 "미국식 신자유주의는 더 이상 세계에서 통용되는 경제성장 이론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도 단순히 교역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정부의 역할에 대한 양국의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말했다.



로머 교수는 기술 진보와 아이디어의 발견이 장기적 경제성장을 가져온다는 '내생적 성장' 이론의 선구자다. 기존 주류 경제학이 생산 요소 가운데 노동과 자본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로머 교수는 기술 혁신과 이를 위한 연구·개발(R&D)을 강조. "과거에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세계 GDP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세계 경제에 미국이 끼치는 영향력이 막강했지만, 지금은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정도로 쪼그라들었다" "더 이상 미국이 일방적으로 글로벌 경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없다"고 주장.



그는 "많은 국가들이 신자유주의를 채택하는 대신 정부 역할 확대를 강조하는 것은 이념 때문이 아니라 나름대로 실용적인 선택을 한 것"이며 "한국도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고 있지만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신자유주의를 택하고 있진 않다"고 지적.


"한국이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성공적인 도시화를 통해 기술 축적을 이뤄냈기 때문인데, 여기에도 정부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미국은 '중국도 신자유주의를 채택해 정부 역할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중국은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며 "양국이 서로의 입장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 쉽게 해결되진 못할 것으로 본다"



로머 교수는 보잉사를 예로 들며 "신자유주의 아래에서 기업들의 힘이 커지면서 정부가 어떠한 견제 기능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 보잉사가 미 정부에 압력을 넣어 항공기 생산에 대한 각종 규제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 결함 있는 항공기가 만들어져 많은 사람들이 사고로 목숨을 잃게 됐다는 것.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9-05-17 06:03
   
킹크림슨 19-05-17 07:07
   
수정자본주의 신자유주의 무한 반복.. 그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이 돈 중심으로 돌기 때문에..
로디우딩 19-05-17 07:31
   
어쨋든간에 미국 브레인들이 컴퓨터 돌려보고 경제싸움하면 이기겠다 주판알 다 굴리고
경제제재하는거 아닙니까
경제제재 막히면 꼬투리 잡아서 전쟁 시작합니다
스포메니아 19-05-17 09:46
   
지금은 단순이 경제 이념 때문에 생긴 무역전쟁이 아닌 것 같은데.. 하여간, 본문 글과 같은 시각도 조금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16:05
   
[기타경제] "美·中갈등 진짜 이유, 교역이 아니다"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6:02
   
[기타경제] "美·中갈등 진짜 이유, 교역이 아니다"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56
9223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13) 스크레치 10-26 2691
9222 [과학/기술] 베트남, 한화 항공기엔진 부품 공장 오픈 (6) 귀요미지훈 12-10 2691
9221 [잡담] 일본 독점 반도체 초극박,일진머티리얼즈 삼성,첫 납품 (9) 유기화학 02-23 2691
9220 [전기/전자] 삼성전자, 엔비디아 차세대 GPU 생산한다 (6) 스크레치 08-22 2692
9219 [전기/전자] 재팬디스플레이, 일시 생산중단 (6) 귀요미지훈 12-10 2692
9218 [기타경제] “日 정부, 한국 여행 경보 발령?”…따져보니 (6) 스쿨즈건0 07-31 2692
9217 [기타경제] 넷플릭스 VIP 거듭 韓 웹툰..공짜만화 '귀하신 몸' … (1) 스크레치 01-16 2692
9216 [자동차] 현대차 러시아 고속질주…SUV 힘입어 1만3383대 판매 (3) 스크레치 08-07 2692
9215 [전기/전자] TV 및 디스플레이 세계시장 현황 (8) 귀요미지훈 10-28 2693
9214 [전기/전자] [단독] `람보르기니의 눈`까지…LG 전장사업 속도 붙었다 (11) 스크레치 04-24 2693
9213 [자동차] 현대차 인도진출 20년만에 점유율 '20%' 눈앞 (11) 스크레치 08-21 2693
9212 [기타경제] 주요 개도국 1인당GDP 현황 (IMF 최신) (17) 스크레치 10-18 2693
9211 45.6%… SK하이닉스 경이적인 영업이익률 (4) 스크레치 07-26 2694
9210 [기타경제] 1∼8월 누적수출 역대 최고.."올해 사상 첫 6천억달러 전… (19) 아로이로 09-01 2694
9209 [전기/전자] 삼성 'QLED 8K' 美서 완판 행진…中·日 따돌리고 8K … (7) 스크레치 03-12 2694
9208 [전기/전자] 美 中화웨이 '반도체 우회 구매' 완전 차단 (8) 스크레치 08-19 2694
9207 [기타경제] 日경제 뒷걸음질 "당분간 회복 어려울 듯" (7) 스크레치 05-18 2694
9206 정제마진 조회 (2) 옐로우황 10-30 2695
9205 [전기/전자] 삼성전자 위기때마다 초격차 본능 "中·日 압도하겠다" (8) 스쿨즈건0 01-13 2695
9204 [기타경제] 한국이 적인가, 일본 지식인들, 수출규제 반대 성명 (25) darkbryan 07-27 2695
9203 [전기/전자] LG 롤러블·투명 디스플레이…‘꿈의 OLED’ 현실화 (2) 스크레치 01-24 2695
9202 [전기/전자] 삼성전자 지난해 반도체 '웨이퍼 생산능력' 세계 … (1) 스크레치 02-12 2695
9201 [전기/전자] 美마이크론 中 D램 견제.. 창신메모리 특허 공격 시동 (7) 스크레치 10-14 2696
9200 [과학/기술] 현대차, 에어택시 상용화 계획 3년 앞당겨 (기존 2028 -> … (4) Architect 06-16 2696
9199 [기타경제] 탈레반 "韓 기업들, 아프간 개발에 참여해달라" (5) 스크레치 09-08 2696
 <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