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30 06:26
[전기/전자] 미국과 중국이 인재 휩쓸어... 한국 AI산업의 경쟁력은 어떠한가
 글쓴이 : 시루떡좋아
조회 : 6,082  

https://news.v.daum.net/v/20200428103045667#none

우리나라 산업계의 전반적인 AI인재 부족문제를 다루고 있는 기사인데 이 기사의 기자가 참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해외 기사에서 좀 더 자세한 자료를 찾을 수 있었어요.

https://medium.com/@chuvpilo/ai-research-rankings-2019-insights-from-neurips-and-icml-leading-ai-conferences-ee6953152c1a

AI관련 세계 각지의 기업들과 대학,연구소를 망라하여 AI경쟁력을 지수화 해 40위까지 순위를 매긴 내용(여기에 각각 28위와 38위의 국내대학 두 곳이 포함)이 있고,
오직 기업들만 20위권까지 순위를 매긴 내용(국내기업 없음),
글로벌 대학들만 20위까지 순위를 매긴 내용,
미국 대학만 20위까지 순위를 매긴 내용,
국가별 순위를 매긴 내용
등등이 있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가세요 20-04-30 12:43
   
한국 AI 순위 처참하네요.
     
영ㄱㄴㄷ 20-04-30 13:24
   
전세계로 따져도 미국 이외에는 그놈이 그놈임 중국이 따라가려고 발버둥치고 있지만 아직 멀었음
다른생각 20-04-30 16:09
   
돈의 흐름만 봐도 알수있는게..
미국의 AI관련 엔젤 투자규모가 압도적.. 다음이 중국..
이게 중국경제제재 이전인데..
Banff 20-04-30 22:36
   
IT가 뭐가 돈이 되냐던 이명박때 CS 전산분야를 고사시켜놔가지고..  NIPS같은 1급학회가면 한국사람 보기 힘들죠.

AI라는게 수학, 전산 알고리즘에 따라 시장이 좌지우지 되기 때문에, 일단 반도체 칩 잘만드는 사람보다는 수학과 전산알고리즘 잘하는 사람이 중요하고,

요즘 트렌드는 캐나다 제프리 힌튼 그룹이 저멀리 앞서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후발주자들은 그거 하드웨어 가속기라도 만들어보자하다가, 또 제프리 힌튼이 더 좋은 알고리즘 개발하면, 어 이게 아니네, 저 알고리즘으로 가속기 만들어보자.. 그러는 형태.  그와중에 지금 AI배우면 꼭 알아야하는 ResNet이 중국서 개발되고.

인력수라던지 논문수, 특허수, 과제수는 AI쪽으로는 당분간 미국 중국에 밀릴 수 밖에 없어요. 미국대학이 한국 KAIST처럼 선입학 후 과선택이 대부분인데, CS 전산과로 과반이상 몰빵된지 10년이 넘었음. 이명박때 한국 top school 전산과 대학원 기피학과로 미달이었는데, 요즘 좀 몰린다고는 하지만 그 빵꾸 메꿀려면 시간좀 필요.
totos 20-05-02 03:59
   
한국은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원천 기술 개발보다는 응용 개발에 촛점을 맞춰야 됩니다.
인재 육성 한다고 해서 육성이 되는게 아닙니다.
삼성이 반도체 개발자 육성한다고 자금 투자했다가 백지화한게 머릿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확률적으로 100명을 육성하면 5명 정도 쓸만해지는데 한해 20명 정도 나오면 인도나 중국에서는 수백명 나와요.
가장 큰 문제는 언어 문제, 지정학적인 문제 부분에서 동떨어져 있는 섬 같은 나라죠.
한국 자체에서 뭘 하겠다고 해도 인재가 적게 나옵니다.
한국은 숫자빨로 밀던 나라가 아니라 천재가 갑툭튀 해서 캐리하던 나라입니다.
유망하다고 해서 개발자를 억지로 양성해봐야 국제적인 레벨에 준하는 인재는 몇십명도 안 나와요.
그래서 기대치를 낮춰서 원천기술 개발보다는 응용기술개발로 눈 높이를 낮춰서 한해 수천명의 개발자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해야죠.
그렇게 인재를 양성해도 그 중에서 튀는 천재들이 나옵니다.
서클포스 20-05-02 21:59
   
수학 쪽 머리가 좋은 사람이 프로그램도 잘 만들죠 ㅎㅎ

AI 도 소프트웨어 쪽으로 프로그래밍 하는 게 많으니..
멀리뛰기 21-01-12 09:04
   
[전기/전자] 미국과 중국이 인재 휩쓸어... 한국 AI산업의 경쟁력은 어떠한가 좋은글~
 
 
Total 16,5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816
9143 [기타경제] 日 수출규제 '반전의 10개월'.. 소재 국산화로 … (41) 스크레치 05-20 5494
9142 [전기/전자] 中 "D램 개발" 자신감…알고보니 삼성 인력 빼내기 (58) 캡틴홍 05-20 5808
9141 [과학/기술] "국내선 우리 제품 다 써..진단 국산화로 1조 수입대체" (5) 역전의용사 05-20 5061
9140 [기타경제] 세계 선진국 GDP순위 (2021년) (PPP기준) (IMF최신) (87) 스크레치 05-17 16955
9139 [전기/전자] 1분기 소니 스마트폰 판매량. (11) 쾌남 05-17 7577
9138 [전기/전자] 中∙日 밀어내고 韓선두 달린다, 미래 전기차 배터리 시… (54) 스크레치 05-16 12934
9137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 초격차…코로나 리스크에도 '훨훨' (8) 스크레치 05-16 5539
9136 [잡담] 일본은 경제력 대비 국력순위가 낮네요 (44) 폭군 05-16 4852
9135 [기타경제] 세계 선진국 GDP순위 (2020년) (PPP기준) (IMF최신) (2) 스크레치 05-16 3524
9134 [잡담] 아래 세계국력순위 소스와 이스라엘이 높은 이유 (34) TTTTTTT 05-16 4719
9133 [전기/전자] 美, 화웨이에 미국 기술 들어간 반도체 공급 차단 (6) 카라스 05-15 4305
9132 [기타경제] 세계 국력순위, 韓 9위 (89) 스크레치 05-15 11208
9131 [과학/기술] 머리카락보다 100배 얇은 렌즈 구현 (21) 진구와삼숙 05-14 6095
9130 [전기/전자] 폴더블 진입장벽 낮춘다..'갤럭시 폴드 라이트' … (17) 스크레치 05-13 7320
9129 [과학/기술] ETRI, 660배 감도 뛰어난 비접촉 센서 개발 (2) 진구와삼숙 05-13 4083
9128 [전기/전자] Z플립 톰브라운 日상륙...307만원 (23) 스크레치 05-13 8838
9127 [전기/전자] 소니 TV의 몰락..북미서 4월 점유율 1% '충격' (44) 유랑선비 05-13 6650
9126 [기타경제] 오리온 베트남서 '대박' 베트남 국민빵 '쎄봉&… (33) 스크레치 05-12 9947
9125 [전기/전자] 삼성, 中'메이주17'에 AMOLED 패널 공급 (6) 스크레치 05-12 5245
9124 [전기/전자] 서유럽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20년 1분기) (23) 스크레치 05-12 4230
9123 [전기/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 '베팅'.. "코로나 이후 미래… (2) 스크레치 05-12 3171
9122 [기타경제] 두산밥캣 폴란드 영업망 강화…동유럽시장 공략 본격화 (2) 스크레치 05-12 1786
9121 [기타경제] 미쓰비시 MRJ폭망, 자금부족으로 개발비반토막 (20) TTTTTTT 05-12 3547
9120 [기타경제] 인구 4천만명이상 1인당GDP 현황 (PPP기준) (IMF최신) (6) 스크레치 05-11 4127
9119 [기타경제] [최배근 교수님] 경제성장률 OECD 1위는 우연이 아니다 (1) 활인검심 05-11 3098
 <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