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21 23:56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글쓴이 : 폭군
조회 : 2,398  

G7(G8) 창설 배경과 과정

  • 창설배경

    • G7(G8)은 1970년대 국제사회가 세계경제의 위기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범
    • 세계경제는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1973년 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통화가치 팽창, 저성장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후퇴,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
      • 브레턴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으로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서 탄생
        • 주요내용: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 고정환율 제도 등
        •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로 인해 일부국가들이 금태환을 요구하였고, 1971년 닉슨 대통령에 의한 금태환 정지선언으로 체제붕괴
    • 이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새로운 경제질서 수립방안 모색
  • 창설과정

    • Library Group/G5
      1. 1. 1971년 미국의 금태환 중지 선언이후 스미스소니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미국 George Schultz 미국 재무장관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재무장관에게 백악관 도서관에서 만나자고 제의
      2. 2. 1973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은 백악관 도서관에서 Library Group 결성하여, 세계금융 이슈 논의
        • Library group은 당시 세계경제의 4%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로 구성 (이탈리아는 4%를 상회하나 좌파성향의 정부로 인하여 배제)
      3. 3. 1975년 일본의 참여로 G5 재무장관 체제 형성
    • G6
      1. 1. G5 초창기 당시 각국 재무부 장관이었던 프랑스 D'Estaing 대통령과 독일 Schmidt 총리가 국가원수로 승격함에 따라 G5 재무장관회의를 정상회담급으로 격상 추진
      2. 2. 1975년 프랑스 랑부이예(Rambouillet)에서 개최된 회의에 이탈리아 참여로 최초의 G6 정상회의 개최
        • G6 회원국 자격요건
          • 자유민주주의
          • 안정적이며 높은 경제발전도(일인당 GDP 최소 $ 11,000)
          • 세계 경제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세계 총GDP의 4%)
    • G7
      1. 1. 캐나다는 1975년 첫 G6 정상회의부터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2.3%)이 상대적으로 작아, 참여에 실패
      2. 2. 1976년 푸에르토리코 회의시 미국의 강력한 희망에 의하여 캐나다가 참여하여 G7 정상회의로 확대
    • G8
      1. 1. 냉전 종식이후 구소련은 G7에 참여를 희망
        • G7 국가들도 핵통제 등
      2. 2. 미국은 1992년 뮌헨정상회의를 러시아가 참여하는 G8 정상회의로 제안, 이후 러시아는 초청국지위로 G7 정상회의에 참여
      3. 3. 1998년 러시아가 버밍엄 회의에서 정식회원이 됨으로써 현재의 G8 체제 완성
        • EC 집행위원장은 1978년부터 참여
    • G7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G8 국가로서의 자격 잠정 정지


73년기준으로 11000불 이상이었으니

지금 기준으로 자격조건을 달자면

1인당 gdp 30000불 이상은 되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나다는 자격조건(gdp 4%이상)이 안됬는데도 미국의 요구로 참여했군요

러시아도 마찬가지로 미국의 제안으로 참여했구요

결국 미국의 의중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김쌍큼 20-04-22 00:31
   
저런 모임은 들어가도 안들어가도 그만입니다..
행복찾기 20-04-22 08:43
   
2~3년 후에는 대한민국이 요청을 하지 않아도
G7에서 한국의 가입을 요구해오지 않을까요?
융융7845 20-04-22 12:27
   
고인물은 썩는 다고 거기 꼬라지보면 물이 별로 안좋음 글로벌 공조는 G20으로 충분한거 같고
가뜩이나 즈그들만의 밀실모임인데 일본이란 나라가 있어서 우리가 자격이 돼도 격렬하게 로비해서
못들어오게 할거같음
슬램덩크 20-04-23 11:52
   
저기에 가입 해봐야 별 쓸모 없어요.
멀리뛰기 21-01-12 09:03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감사합니다.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859
9071 [기타경제] '최저임금 효과' 저임금 노동자·임금 격차 확 줄… (3) 부두 04-25 2258
9070 [전기/전자] 中샤오미 삼성 '1억5000만 화소' 이미지센서 최초 … (29) 스크레치 04-25 5819
9069 [기타경제] 김칫국 마시는 Jap..코로나 추경에 관광촉진비 19조원 반… (27) 굿잡스 04-25 4070
9068 [기타경제] 세계 10대 경제대국 1인당GDP 현황 (IMF최신) (52) 스크레치 04-25 5011
9067 [전기/전자] 단독]LG 벨벳폰에 삼성 4800만 화소 이미지센서 탑재한다 (23) 스크레치 04-24 5679
9066 [기타경제] IMF 韓금융위기급 충격도 버틸 수 있다 (7) 스크레치 04-24 6851
9065 [기타경제] 부산에서 런던까지..남북철도연결 재시동 (6) 스크레치 04-24 3449
9064 [기타경제] 코로나19 위기에도 한국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는? (2) 스크레치 04-24 3085
9063 [자동차] "세계 車공장 71% '셧다운'..현대기아차, 35%로 피해… (4) 스크레치 04-24 2446
9062 [잡담] 포스코 영업이익 41% 감소…車·건설 등 수요산업 위축 탓 (1) 티유 04-24 965
9061 [잡담] 기아차 1분기 영업이익 4445억원…전년比 25.19%↓ (1) 티유 04-24 712
9060 [기타경제] "한국산 보내달라" 중국산 진단키트 산 나라들, 창고 쌓… (7) 스크레치 04-24 3486
9059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어닝 서프라이즈'...1분기 영업익 전… (2) 유랑선비 04-24 2572
9058 [기타경제] 中 석유거인 "코로나19로 中 블랙스완 몰려들 것" (6) 일반시민 04-24 4193
9057 [기타경제] "中탈출 글로벌기업 잡아라".. '세계 공장' 넘보는… (8) 스크레치 04-23 4736
9056 [기타경제] 토요타, 5월 Jap공장 생산 절반 축소. 부품사 경영 악화 (6) 굿잡스 04-23 2578
9055 [전기/전자] 삼성 日소니 수주 또 따냈다…이미지센서 업계 1위 맹추… (23) 스크레치 04-23 5084
9054 [잡담] [속보]LG디스플레이 1분기 영업손실 3619억원 (24) 티유 04-23 3721
9053 [기타경제] 달라진 韓 브랜드파워...미국서 태극기 마스크 등장 (6) 스크레치 04-23 5651
9052 [자동차] 현대차 1분기 영업익 4.7%↑…"코로나 타격 미반영" (2) greatwallof.. 04-23 1635
9051 [기타경제] 32,032,000,000,000,000원…중국에 날아든 코로나 배상금 청구… (12) 땡말벌11 04-23 2467
9050 [전기/전자] 日 수출규제 잊지않는다…반도체 소재 ‘탈일본’ 가속… (29) 스크레치 04-23 3901
9049 [기타경제] 베트남 수출 25% 맡는데도 '문전박대'..포스트 코… (7) greatwallof.. 04-23 4380
9048 [기타경제] 韓,영국 국민소득 추월 (IMF최신) (62) 스크레치 04-22 7957
9047 [기타경제] 산유국의 저주가 시작됐다..유가 폭락에 산유국 경제 … (22) 스크레치 04-22 4109
 <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