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12 11:16
[부동산] '이런 적 처음' 투자 열기 역대급…2030도 '패닉바잉' 나섰다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3,277  


올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건수가 벌써 역대 최고 기록을 넘어섰다. 

아파트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 역시 사상 최고로 치솟고 있다. 
12일부터 바닥난방 규제까지 완화돼 오피스텔 시장이 더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아파트보다 비싼 분양가에도 청약 경쟁률 1000 대 1 넘어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전날까지 5만1402건으로 집계됐다.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많았던 지난해 4만8605건을 이미 추월했다.

아파트 대체재인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해 수요가 몰리고 있다. 아파트는 15억원을 초과하면 주택담보대출을 아예 받을 수 없을 만큼 규제가 강하다. 오피스텔은 담보인정비율이 통상 1금융권은 70~80%, 2금융권은 90%에 달한다. 오피스텔은 청약할 때 보유 주택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100실 미만 오피스텔은 전매 제한이 없고 100% 추첨으로 당첨자를 뽑아 청약이 쇄도하고 있다. 이달 초 공급된 경기 과천시 별양동 힐스테이트과천청사역은 평균 1398 대 1의 사상 최고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 오피스텔 분양가는 최저 15억원에서 최고 22억원에 달했다.

여기에 12일부터 바닥난방이 허용되는 오피스텔의 면적 기준이 전용면적 85㎡ 이하에서 120㎡ 이하로 완화된다. 이미 지어진 오피스텔도 다시 바닥 공사를 해 온돌을 깔거나 전열기를 설치할 수 있다. 오피스텔 전용 120㎡는 4인 가족 선호도가 높은 전용 84㎡ 아파트와 실사용 면적이 비슷하다.

도심 중대형 주거용 상품 공급을 늘리겠다는 취지지만, 불난 오피스텔 시장에 기름을 붓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오피스텔은 아파트와 비교해 면적과 관리비 측면에서 불리하고 미래 가치도 낮다”며 “아파트 공급 부족 등 왜곡된 시장이 정상화되면 과열된 시장이 빠르게 식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오피스텔 청약 시장에서는 말 그대로 ‘로또급’ 경쟁률이 잇따르고 있다. 오피스텔 시장이 이렇게 뜨거운 적이 없었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아파트 공급 부족과 대출 규제, 청약시장에서 소외된 2030세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 등이 맞물린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여기에 바닥난방 규제까지 12일부터 풀리면 과열 양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 청약과 매매 모두 과열

'이런 적 처음' 투자 열기 역대급…2030도 '패닉바잉' 나섰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0일까지 경기와 인천의 오피스텔 거래량은 각각 1만6110건, 6537건으로 집계됐다. 아직 한 달반가량이 남은 상황에서 연간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지방에서도 강원(673건), 울산(536건), 세종(350건), 전북(211건) 등 6곳의 오피스텔 매매량이 역대 연간 최대치를 넘어섰다. 서울(1만5631건)도 연간 매매량이 가장 많았던 2008년(1만5964건)을 올해 넘어설 게 확실시된다.

오피스텔 청약시장 열기가 매매시장으로까지 번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일 청약을 접수한 경기 과천시 별양동 ‘힐스테이트 과천청사역’ 오피스텔은 89실 모집에 12만4426명이 신청했다. 평균 경쟁률은 1398 대 1로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역대 오피스텔 경쟁률 가운데 가장 높았다. 지난 3일 진행된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신길 AK 푸르지오’ 오피스텔도 분위기가 비슷했다. 96실 모집에 12만5919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은 1312 대 1을 기록했다.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아파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아파트와 비슷한 구조·면적을 갖춘 ‘주거용 오피스텔’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 오피스텔은 담보인정비율(LTV)이 70∼90%까지 인정된다. 반면 아파트는 LTV가 투기과열지구에선 40%(조정대상지역 50%)로 제한되고 15억원을 초과할 경우 대출을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 고분양가 등 부작용 우려

12일부터 오피스텔 바닥난방 기준 등이 추가로 완화되면 중대형을 중심으로 오피스텔 시장이 더 달아오를 전망이다. 그동안 오피스텔 바닥난방과 관련해 정부는 일관되지 않은 태도를 보였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바닥난방이 전면 허용됐지만 2004년 6월 이후 바닥난방을 전면 금지했다. 이후 전세난이 심해지자 2006년 말 전용면적 50㎡ 이하, 2009년 1월부터는 60㎡ 이하 소형 오피스텔의 바닥난방을 허용했고 2009년 8월에는 85㎡까지 허용 대상을 확대했다. 12년 만에 이 기준이 다시 120㎡까지 추가로 완화된 것이다.

아파트 공급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건축도 쉽고 자투리땅을 활용할 수 있는 중대형 오피스텔 공급을 늘리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그러나 아파트 공급이 꽉 막힌 상황에서 오피스텔 규제가 추가로 완화되면서 난개발과 공급과잉, 고분양가 등에 따른 피해 등 각종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힐스테이트 과천청사역은 분양가가 15억~22억원으로 인근 아파트 분양가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중대형 오피스텔에 바닥난방이 허용되면 사실상 그냥 비싼 아파트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며 “아파트에 적용되는 분양가 상한제를 회피하는 방안으로도 악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오피스텔은 기존 용적률이 높고 감가상각도 많이 되기 때문에 향후 하락장에서 아파트보다 가격 방어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12 11:17
   
OOOOOO 21-11-12 11:29
   
병먹금
바람아들 21-11-12 17:01
   
요즘 청년들은 돈 졸라많은 건가 ?? 나는 20~30대 때는 집사는 거 꿈도 안 꿔봄. 오직 저축 저축 저축만 생각했음.
     
신jinv 21-11-13 18:28
   
100만 세대의 586세대 중에 님처럼 오직 저축만 하신 분들도 많을 거고 다른 방식으로 성공한 분들도 많겠죠. 40대보다는 20~30대(5060대의 평균 아들딸 뻘)가 그 안에 들어가는 세대이므로 일찍 취업한 자식이 있으면 모아놓은 돈에 부모가 추가로 지원해 주고 대출까지 껴서 하는 거겠죠. 백수라도 부모가 돈이 더 많다면 더 줄 수도 있을 거구요.

물론 현 중년이 전부 성공할 수는 없었겠죠. 그러나 100만명 중에 극히 일부만 성공했어도 저 정도의 비율이 나오고도 남죠. 자식들은 인원이 더 적으니까요.
 
 
Total 14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6 [부동산] 서울시 재개발의 수 (10) 밥밥c 05-29 4510
95 [부동산] 부동산 폭등은 선진국 대부분 겪은 현상이었음 (5) 프레이재멍 05-29 2987
94 [부동산] 부동산 오른게 다 문재인 정부 탓이라고? (5) 성환아빠 05-29 1976
93 [부동산] 부동산 폭등? 문재인 잘못이다? (40) 이러럴수가 05-27 5642
92 [부동산] 5년간 진척없던 여의도 재건축 '물꼬'…한강변 스… (7) 샤넬케이 05-06 4618
91 [부동산] 오세훈 "녹지생태도심 만든다"…세운지구 개발 탄력. (3) 샤넬케이 04-23 2099
90 [부동산] '한국집 쇼핑' 중국인 막는다…새 정부, 역차별에… (4) 샤넬케이 04-21 2579
89 [부동산] 집값의 딜레마... (3) 가생이다 04-03 2340
88 [부동산] 부동산세금정책 IMF에게 한소리 들음. (3) 레이지 03-29 2829
87 [부동산] 공시지가 오르셨나요? (3) 지니킹 03-25 2121
86 [부동산] 이재명, 1주택자 보유세·종부세 완화“꼭 필요한 정책” (15) 그림자악마 01-29 3891
85 [부동산] '이재명표' 부동산 공급 폭탄..전국에 311만호, 청… (12) 그림자악마 01-24 3047
84 [부동산] 이재명 "GTX 플러스 프로젝트 추진..수도권 30분대 생활권" (7) 그림자악마 01-24 2507
83 [부동산] 이재명 부동산공약 요약입니다. (19) 그림자악마 01-17 4068
82 [부동산] [전문]이재명 "용적률 500% 4종 주거지역 신설..재건축 안… (2) 그림자악마 01-13 2880
81 [부동산] 올 상반기 외국인 보유 토지 31.7조 (3) 사랑하며 11-26 1931
80 [부동산] 잔금 100% 채택하는 재건축·재개발 속속 등장 (1) 사랑하며 11-25 1258
79 [부동산] '직장인의 눈물'..연봉 1억 소득세 35%인데 종부세… (6) 달구지2 11-22 3810
78 [부동산] 우리나라 부동산 위험한거 아닌가요? (19) 사이다맛쥐 11-22 2801
77 [부동산] "집값 버블, 아직 멀었습니다"..더 오를 필연적 이유 (13) 사랑하며 11-19 3966
76 [부동산]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서울 아파트, 7개월 만에 '… (4) 사랑하며 11-19 2799
75 [부동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부지 불법 땅투기 43명 적발 (2) 키륵키륵 11-17 1700
74 [부동산] GTX-A 운정~서울역, 삼성~동탄 구간 연결 10개월 앞당긴다 (1) 사랑하며 11-17 1318
73 [부동산] "영원할 것 같았던 서울 집값 꺾였다" (2) 키륵키륵 11-17 3568
72 [부동산] 지난해 다주택자 비중 6년만에 감소, 압박 정책의 효과 … 키륵키륵 11-17 997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