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1-20 15:58
[전기/전자] 삼성 vs TSMC···막오른 7나노 기술경쟁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55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489256







GPU 업계 1위인 엔비디아가 삼성전자를 선택하면서 

7나노 공정 수주전은 EUV를 앞세운 삼성전자와 TSMC간 경쟁이 될 전망 



7나노 미세공정을 EUV로 양산하는데 이미 성공한 (작년 하반기부터 양산들어감) 

삼성전자가 향후 매우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으로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화이팅입니다. 

어차피 파운드리 뿐만 아니라 D램 미세공정에도 EUV 활용이 꼭 필요한만큼

EUV 노광장비를 미리 수조원 써가면서 싹쓸이 했던것이 삼성에 아주 큰 도움이 되고 있는듯 





이제 7나노 이하 미세공정 경쟁은 

사실 [삼성전자 - TSMC] 이 2개 기업 외엔 경쟁자도 사라진 상황입니다. 

(후발주자가 7나노가 아닌 10나노 이하도 따라올 가능성이 희박해졌다고 봅니다) 


향후 편안한 마음으로 이 2개기업이 안정적으로 파운드리 시장에서 

수익을 가져갈것이란 얘기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이 파운드리 시장을 잘 찍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력 차이로 후발주자 진입은 불가능하고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력있는 기업은 이제 사실상 [삼성전자 - TSMC] 단 2개기업만 남으면서 

수익도 안정적으로 내기가 매우 좋은 시장 상황으로 변했으니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9-01-20 15:58
   
참치 19-01-20 16:07
   
TSMC가 euv에서 얼마나 성과를 냈는지가 정말 궁금하지만, 밝혀진게 없으니 지금까지로는 삼성이 순간 치고 올라간다는 것엔 의심이 없죠.  파이팅이요.
     
바람노래방 19-01-20 16:18
   
제가 알기론 tsmc는 euv장비조차 마련 못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축돌이 19-01-20 16:34
   
그런가요? 하지만 tsmc euv로 양산계획이 올해 2분기쯤으로 잡혀있는데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8090226

보통 시험생산에서 양산은 대략 1년정도가 걸립니다
          
스크레치 19-01-20 16:41
   
들리는 얘기로는 EUV 노광장비 적게나마 구입했다고도 들었던거 같기는 합니다.

워낙 2천억원 이상되는 고가의 장비라

네덜란드 ASML도 물량 맞추는데 타이트한거 같고

삼성은 과거에 10대 이상 미리 확보했으나


나머지 기업들은 그 이후 생산을 대기하거나 그런상황이라

이제 저 노광장비를 TSMC 뿐만 아니라 인텔이나 SK하이닉스도 확보하려고

주문한다고 들었거든요
          
없습니다 19-01-20 20:21
   
asml의 2018년도 euv 시스템 인도 수가 18개이고 2019년 생산목표가 30개입니다. tsmc에서 장비마련을 못한건 아닐겁니다. 중국업체도 2019년 상반기에 euv시스템을 납품받는 상황인데요.
환타쥬스 19-01-20 16:37
   
기사 잘봤습니다

어차피 삼성은 후발 주자이기에
심리적으로 더 느긋하다 생각합니다

먹는 파이는 삼성에게 없었던 부분이니까요

심리적으로 급한건 대만쪽이라 생각합니다

삼성이 7나노 선점보다 euv노광 공정을 택할 수 있었던것도
결국 현시점 점유율보다 앞을 내다보기에
가능한 선택이었다 생각합니다

어차피 삼성과 tsmc의 파운드리 양분은 기정사실이고
결국 3나노까지 싸움인데  노광장비 먼저 도입해서

조금이라도 더 양산수율 문제에 경험이 쌓인다면
이건 삼성이 훨씬 유리한 싸움으로 가고있다 생각합니다
     
스크레치 19-01-20 16:39
   
14나노, 10나노 미세공정도 세계최초로 양산했으니

사실 점유율만 그럴뿐 (팹리스들의 물량 주는것에 따라 점유율은 갈리니

애플, 퀄컴 등 주요 팹리스와 강력한 경쟁관계인 삼성전자 입장에서 대충 이해가 가죠)


이 시장에서도 삼성은 후발주자는 아니었습니다 ㅋ

님 말씀대로 편안한 마음으로 느긋하게 가도 될거란 생각에는 강력하게 동의합니다.


예 파이를 가지고있다가 뺏기는 쪽이 심리적으론 더 쫓기게 마련이죠
          
환타쥬스 19-01-20 16:54
   
대만이 80년대 부터 전문 파운드리를
시작한것과 비교하면 후발주자라는 뜻이었습니다

삼성이 본격적으로 수익이 괄목적으로 늘어난것도
2010년 이후 부터니까요

삼성이 파운드리 사업부 분리도 2017년에 했으니
상대적인 후발주자라는 뜻이었습니다

후발주자라는 것을 나쁜 의도로 사용한건 아니었습니다

수고하세요
로디우딩 19-01-20 19:03
   
삼성이 섬짱 밀어냈으면 좋겠네요.  파운드리에서
8:2정도로
kira2881 19-01-20 19:08
   
삼성아 제발 TSMC 발라줘
라거 19-01-21 20:32
   
우선 파운더리 산업이 메모리 반도체나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비해 상당히 작은 시장입니다. 우선 이걸 말씀드리며, 제 생각엔 만약 엔디비아가 삼성을 선택한다면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얼마전 AMD의 차세대 CPU를 TSMC에서 생산하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또한 AMD를 필두로 이런 저런 회사들이 TSMC에 물량을 주문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러서 AMD와 경쟁사인 앤비디아는 내년초 새로운 칩셋을 출시하기로 했는데 TSMC가 물량을 제때 못맞출 것으로 판단하고 삼성에 의뢰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또한 GPU 메모리를 삼성에서 공급받으니 같은 회사에서 물건 많이 주문하면 좀 깍아 줄 수도 있고 또한 삼성 자체도 TSMC 보다 위탁생산쪽으로는 후발 주자니 고객사에 더 잘해주지 않을까요?? 그래서 앤디비아 입장에선 나쁠것이 없는 선택일 것 같네요.
멀리뛰기 21-01-02 15:15
   
[전기/전자] 삼성 vs TSMC···막오른 7나노 기술경쟁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5:05
   
[전기/전자] 삼성 vs TSMC···막오른 7나노 기술경쟁 잘 읽었어요~
 
 
Total 21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9 [자동차] 네덜란드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8년) (4) 스크레치 04-02 2271
168 [기타경제] "이젠 국민소득 4만불 목표", '3% 성장' 불가능하지… (4) 스크레치 03-31 4188
167 [잡담] 삼성반도체가 상반기 불황인 이유와 세계1위의 이면 (8) 인간성황 03-27 3834
166 [기타경제] 3만불대 이상 주요선진국 경제성장률 현황 (2018년) (26) 스크레치 03-22 5414
165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시점 현황 (6) 스크레치 03-16 4855
164 [전기/전자] 삼성전자, '50조' 글로벌 반도체사 NXP 인수 검토 (7) 스크레치 03-07 4012
163 [전기/전자] '100조 현금' 삼성전자, 20조는 M&A 실탄...반도체 설… (7) 스크레치 02-24 2570
162 [기타경제] 대한민국 지역별 1인당 GRDP 순위 (16개 광역시/도) (18) 스크레치 02-23 3969
161 [기타경제] 한국산 분유 찾는 中…김치 찾는 日 (7) 스크레치 02-19 2886
160 [기타경제] "월급 22% 인상" 스페인의 최저임금 실험 (14) 스크레치 02-18 3237
159 [기타경제] 주요 24개 선진국 1인당 GDP 3만불 돌파시점 현황 (3) 스크레치 02-12 1280
158 [기타경제] 주요 25개 선진국 최저임금 현황 (연간 기준) (11) 스크레치 02-07 2181
157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3) 스크레치 02-01 1191
156 [기타경제] 주요 25개 선진국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12) 스크레치 02-01 2066
155 [전기/전자] 삼성 vs TSMC···막오른 7나노 기술경쟁 (14) 스크레치 01-20 4552
154 [기타경제] 선진국 여권(Passport) 파워 랭킹 순위 (2019년) (8) 스크레치 01-19 3409
153 [기타경제] 한국 가계빚 증가 속도 2위 (17) 공평 01-06 2749
152 [기타경제] '70년만에 신기록' 수출 사상 첫 6000억달러 돌파 (54) 귀요미지훈 12-28 4460
151 [기타경제] 최악의 한해를 보낸 개발도상국 (20) 스크레치 12-15 5874
150 [기타경제] 하위권 6개 선진국 1인당 GDP 증가현황 (2018년) (8) 스크레치 12-13 3105
149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증가 현황 (2018년) (5) 스크레치 12-11 1832
148 [기타경제] 주요 20개 선진국 올해 1인당 GDP 증가현황 (2018년) (10) 스크레치 12-09 2869
147 [기타경제] 2022년 日 제치고 '수출 4강' 간다 (21) 스크레치 11-23 4949
146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까지 걸린시간 (3만불 -> 4만불… (6) 스크레치 11-22 2679
145 [기타경제] 역대 부자나라 TOP30 (2010년 기준) (3) 스크레치 11-15 2318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