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3-30 20:40
[기타경제] 작년 명목GDP 성장률 1.1%…환란 후 최저
 글쓴이 : 폭군
조회 : 1,40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643043&viewType=pc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이 2.0%를 기록했다. 지난 1월 발표됐던 속보치와 동일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1.1%로 외환위기 이후 21년 만에 최저로, 1인당 국민소득은 4년 만에 뒷걸음질쳤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4/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1.3%로 연간으론 2.0% 증가했다.

작년 명목 GDP는 1914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성장했다. 재작년 3.1%에서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외환위기 이듬해인 1998년에 -0.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998년 이후 명목 GDP 성장률은 한 번도 3%를 하회하지 않았다.

경제성장률은 보통 기준연도 가격을 적용하는 실질 GDP 증가율을 사용하지만, 명목 GDP는 해당연도의 시장가격이 반영되기 때문에 실제 물가가 반영된 체감 성장률이라고 볼 수 있다.

명목 GDP 감소에는 지난해 저조했던 물가 상승률이 배경에 있다.

작년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경기부진에 따른 낮은 수요측 상승 압력과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가격 하락, 무상교육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 명목 성장률은 실질 성장률을 상회하지만 지난해엔 물가 상승폭이 크게 제한돼 이례적으로 명목 성장률이 더 낮은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2006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국가 전반의 물가 상태를 보여주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 상승률은 작년에 -0.9%를 보였다. -1.2% 기록했던 1999년 이후 가장 낮았다.

작년 명목 성장률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노르웨이와 이탈리아를 이어 세번째로 낮다.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지난해 0.3% 증가했다. 7.7% 감소했던 1998년 이후 최저다.

국민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1인당 GNI는 3만2047달러를 기록했다. 4년 만의 감소다.

지난 2017년 처음으로 3만달러를 돌파했던 1인당 국민소득은 재작년 3만3000달러를 넘어섰다 다시 3만2000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저성장과 저물가에 원화 약세까지 겹친 영향이다.


작년 경제가 많이 안좋았네요 올해 극복하길 바래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국뽕대일뽕 20-03-30 20:54
   
자라
화이팅 20-03-30 21:57
   
일본과 경제 전쟁, 미중 경제전쟁, 반도체 치킨게임....저 와중에 저정도면 선방했네...
헨진Ryu 20-03-30 22:26
   
선거철이 되니 멍멍
bc371857 20-03-30 22:41
   
옛날 인조이 재팬에서 왜구들이 궤벼을 늘어 놓는게 생각난다
물가상승율 올라서 명목성장율 높아지는게 자랑할 일이냐?
80년대 브라질 같은나라가 그랬쥐 경제 폭망하고 물가 쳐 올라 국민들은 아우성인데 물가상승율 처 올라서 명목 지디피 성장율 처 오르고 실질적 경제수준은 퇴보하는데 명목지디피는 오르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겠다
     
폭군 20-03-30 23:00
   
일반적으로 명목 성장률은 실질 성장률을 상회하지만 지난해엔 물가 상승폭이 크게 제한돼 이례적으로 명목 성장률이 더 낮은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2006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물가상승폭 하락이 지속되면 디플레이션 물가상승폭이 한도치를 초과하면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죠. 브라질의 경우는 인플레이션입니다
브라질의 화폐가치가 심각하게 떨어지고 그 영향으로 물가가 미친듯이 치솟아서 경제위기까지 갔었죠. 뭐든 과하면 안 좋은 법 입니다

실질성장률과 명목성장률이 균형있게 성장해야만 올바른 성장이죠 물가가 지속적으로 정체해서도 안되고 그렇다고 지나치게 상승해서도 안됩니다
멀리뛰기 21-01-12 08:56
   
[기타경제] 작년 명목GDP 성장률 1.1%…환란 후 최저 좋은글~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64
8898 [기타경제] 북한 참담한 명목GDP (vs 한국 광역지자체와 비교) (24) 스크레치 04-02 5282
8897 [기타경제] 금융위기 때와 현재 제조업 경기 비교 (10) 귀요미지훈 04-02 3368
8896 [전기/전자] 삼성 갤럭시폴드2 렌더링 사진 공개…S펜 품었다 (12) 스크레치 04-02 5594
8895 [재테크] 맨날 오를때 사고 내릴때 파는 멍청이들은 돈을 언제 벌… (5) 꺼먼맘에 04-02 1837
8894 [주식] 코스피 2.3% 반등..하루만에 1,720선 회복 (1) BTJIMIN 04-02 1216
8893 [자동차] 제네시스 첫 '전기차 전용 SUV' 내년 6월 양산 (21) 스크레치 04-02 2576
8892 [재테크] 증시 폭락한다고 해서 적금깰까 했더니 도로 올라버렸군… (8) 꺼먼맘에 04-02 2194
8891 [기타경제] "日 불매운동 통했다" 아사히맥주 '절반', 유니클… (20) 스크레치 04-02 4648
8890 [잡담] 증시 또 폭락 (13) 통도판타지 04-01 3993
8889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2) - 변동환율제, 위기에 빠진 양키… (10) 귀요미지훈 04-01 1546
8888 [전기/전자] 韓 '배터리 전성시대'···빅3, 글로벌 점유율 첫 4… (35) 스크레치 04-01 5157
8887 [기타경제] '코로나 팬데믹' 버틴 수출..물량기준 17개월 만에… (7) 굿잡스 04-01 4381
8886 [기타경제] 선진국 명목GDP 순위 (2020년) (34) 스크레치 03-31 5832
8885 [전기/전자] 하만 전세계 무선스피커 시장 점유율 5년 연속 1위 (34) 스크레치 03-31 4958
8884 [과학/기술] 빛으로 암 저격…포스텍, 진단·치료 다 하는 조영제 개… (3) 진구와삼숙 03-31 2250
8883 [전기/전자] 코로나19에도 반도체 전망은 '好好' (4) 스크레치 03-31 2002
8882 [전기/전자] 삼성전자 차세대 TV, QD·마이크로LED 경쟁 예고 (7) 스크레치 03-31 1704
8881 [잡담] 오래전 베트남이 꿈꾸던 것이 바로 (2) darkbryan 03-31 4369
8880 [전기/전자] LG디스플레이 中화웨이 'P40' OLED 패널 공급 (4) 스크레치 03-31 1721
8879 [기타경제] 베트남이 쌀 수출규제 하고있다네요 (8) darkbryan 03-31 2643
8878 [자동차] 현대 수소차 유럽서 훨훨…네덜란드서 대량 구매 (6) 스크레치 03-31 1933
8877 [잡담] 삼성이 중국에 반도체공장 9조5천억 추가 투자한다는데 (4) 티유 03-31 1944
8876 [전기/전자] LG화학 日파나소닉 맹추격…세계 1위 눈앞 (5) 스크레치 03-31 1436
8875 [전기/전자] SK하이닉스도 파운드리 사업 진출…투자회사 통해 '… (5) 진구와삼숙 03-31 1494
8874 [자동차] 제네시스G80 출시 첫날 2만2000대 계약..현대차 역대 최다 (19) 스크레치 03-31 3750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