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4-04-08 10:56
[기타경제] [심층분석] 점점 무서워지는 AI 기술, 미국 공항마다 안면인식 기술 확대
 글쓴이 : 이진설
조회 : 1,103  
   http://newsimpact.co.kr/View.aspx?No=3188501 [41]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위원] 비행기를 타기 위해서는 보안검색대를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그런데 보안검색대에서 탑승객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탑승객의 ID를 검색해서 개인정보를 확인한다면,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정면으로 충돌할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교통안전국(TSA)으로 하여금 미국 내 430개 공항에 안면인식 기술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추진하자, 상하원 모두 이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TSA는 이미 수 개월전부터 30개 미국 공항을 대상으로 파일럿 프로그램 형식으로 안면인식 기술을 적용해왔다. 파일럿 프로그램은 안면인식을 통해 범죄이력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효과가 컸다고 판단한 TSA는 이를 430개 공항으로 확대하는 한편, 이전 장치보다 훨씬 업그레이드된 자격증명인증기술(CAT) 장치를 공항에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CAT 장치는 탑승객의 실시간 사진을 캡처하고 사진이 부착된 정부 발행 신분증과 비교하는 안면인식 기술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자동적으로 탑승객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 인종 등이 곧바로 파악이 된다.

문제는 탑승객의 동의여부와 상관없이 안면인식기술을 무차별적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이다. 실제로 뒤늦게 안면인식기술 실험대상이 된 탑승객들은 TSA로부터 얼굴 스캔을 거부할 수 있는 선택권을 받지 못했다는 민원을 제기해왔다. 탑승객들은 또한 이렇게 스캔된 사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혀 받지 못했다고 불쾌해한다.

TSA측은 스캔한 사진은 개인의 ID와 확인한후 곧바로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삭제한다고 밝혔지만, 이를 곧이 곧대로 믿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정치권에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존 케네디 상원의원(공화당)과 제프 머클리 상원의원(민주당)이 이끄는 초당파 상원의원 그룹은 TSA의 안면인식기술이 개인정보 보호문제와 정면으로 충돌한다며 이를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여행자 개인정보보호법(TPPA)으로 불리는 이 법안은 TSA가 여행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막는 것을 골자로 한다.

탑승객들의 불만과 정치권에서 관련 법안이 제출되는 등 반발이 거세지자, 바이든 행정부도 한 발 물러서는 듯 하다.

바이든은 연방정부 기관들에게 오는 12월까지 인공지능(AI)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조치를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는 TSA의 안면인식기술과 관련한 반발뿐 아니라, AI 사용이 광범위한 분야로 확대돼 관련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대책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는 특히 앞으로 미 공항을 이용하는 여행객들은 TSA의 안면인식기술 사용을 거부할 권한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모든 연방 기관에 AI 기술의 오용에 따른 위험성이나 미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매년 분석·평가해 결과물을 공개하도록 했다. 이 같은 여러 조치로 미 연방정부는 막강한 구속력을 이용해 AI를 간접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럼에도 바이든 행정부는 AI기술을 보다 더 광범위하게 활용하기 위해 올여름까지 AI 전문가 최소 100명을 채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세심한 분석을 통해 줄여나가겠지만, 행정 전반에 걸쳐 AI 기술을 활용할 계획 자체를 없애지는 않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AI 컴퓨터가 CCTV를 통해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모두 감시하며 컴퓨터 스스로 위험하다고 판단하는 인물들을 제거하는 영화 ‘이글아이’를 떠올리게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444
15773 [잡담] 자동차반도체 부족현상,3분기까지 이어질 듯 (3) 유기화학 02-05 1004
15772 [기타경제] 수출입지수 6개월 연속 상승..반도체·컴퓨터 수요 지속 (1) 스크레치 03-31 1004
15771 [주식] SK머티리얼즈 사상 최고가..'반·전' 통했다 (1) 스크레치 07-21 1004
15770 [기타경제] 네이버, 1분기 매출 23% 증가한 1조8452억..전사업 두자릿수… (1) 굿잡스 04-21 1004
15769 [전기/전자] 반도체 부족 장기화로 1분기 세계 자동차 생산 1000만대 … (1) 캡틴홍 02-17 1005
15768 [전기/전자] ARM 기반 반도체, 작년 4분기 67억개 팔려..1초에 842개꼴 (1) 스크레치 02-19 1005
15767 [기타경제] 2분기 사상 최대 실적..'K자 회복' 본격화? (1) FOREVERLU.. 07-29 1005
15766 [기타경제] LX 덩치 키우기… 한샘 찍고 세미콘 증자, 판토스 상장 (1) 대한사나이 09-08 1005
15765 [금융] 인플레이션, 거시경제전문가들 “공급병목 해결 어렵다… (3) 사랑하며 11-11 1005
15764 [기타경제] 작년 성장률 25년만에 日에 뒤져… (2) VㅏJㅏZㅣ 02-15 1005
15763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1.2조' LNG선 6척 수주…현대LNG 발주 (1) 스크레치 05-03 1006
15762 [기타경제] 기업들마저 "올림픽 안 돼"..Jap 정부만 "문제없어" (4) 굿잡스 05-15 1006
15761 [부동산] 지난해 다주택자 비중 6년만에 감소, 압박 정책의 효과 … 키륵키륵 11-17 1006
15760 [잡담] 삼성전자한테 초대박 환경이 조성중 ㄷㄷㄷ 강남토박이 03-28 1006
15759 [전기/전자] 삼성TV 新기록 또 깼다..연간 최고 점유율 31.9% (6) 스크레치 02-24 1007
15758 [기타경제] 우주산업 주도권 경쟁 점화.."미래차·바이오·반도체처… (1) 스크레치 02-26 1007
15757 [전기/전자] 코로나에도 삼성전기 날았다..'1조클럽' 복귀 예… (1) 스크레치 04-06 1007
15756 [기타경제] 육아·취미용품도 ‘NO Jap’… 확대되는 Jap상품 불매운동 (3) 굿잡스 08-11 1008
15755 [전기/전자] 자동차 넘어 아이폰·軍장비까지..번져가는 반도체 기근 (6) 스크레치 02-13 1008
15754 [금융] 日증시 큰손 BOJ, ETF 매입 줄이나 (1) 스크레치 03-15 1008
15753 [주식] 10월 마감과 주식양도세정책 순기능 (1) 지팡이천사 10-31 1009
15752 [기타경제] "맥주시장 점유율 높여라"..주류업계, 3사3색 (1) 스크레치 02-05 1009
15751 [기타경제] 한국맥도날드 'BTS세트 사면 BTS 엽서 증정' 행사 … (3) 스크레치 06-11 1009
15750 [자동차] 글로벌 EV시장 점유율 전망 ① 2035년 90% 육박한다 (3) 스크레치 08-04 1009
15749 [잡담] 미국의 삼전 보조금 지급에 대한 KAIST 김정호 교수 의견 (1) 강남토박이 03-16 1009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