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7-11 20:06
[잡담] "삼성전자, 4나노 수율 75%" 파운드리 고객 더 많아진다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6,762  

삼성전자가 최근 4나노 공정 수율 개선에 성공하며 퀄컴과 엔비디아가 다시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통해 위탁생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이투자증권은 11일 발간한 파운드리 보고서를 통해 "파운드리 무게의 추가 삼성으로 기울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4나노 수율이 75% 이상, 3나노 수율이 60%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되면서 이탈 고객사들을 다시 확보하기에 유리하다는 전망이다.


 삼성전자, 4나노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신규 고객사 확보

삼성전자가 첨단 4나노미터(nm) 파운드리 공정에서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고객사를 새롭게 확보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최근 데이터센터에 공급되는 서버용 AI 반도체 생산을 수주했다. 해당 반도체는 삼성전자 디자인하우스(DSP) 업체의 설계를 걸쳐, 내년 하반기 삼성전자 파운드리 4나노 공정에서 양산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해당 반도체 업체의 물량을 수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신규 수주 물량은 최근 삼성전자 4나노 공정 수율이 이전보다 안정화됐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4나노 공정 수율은 TSMC와 유사한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수주한 4나노 공정 AI 반도체 외에도 최근 5나노 공정에서도 의미 있는 신규 물량을 따냈다.

https://zdnet.co.kr/view/?no=20230711154516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어이가없어 23-07-11 23:49
   
실제로 50 안될껄?
푸른마나 23-07-12 01:14
   
삼성전자 4나노는 tsmc 5나노와 성능이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진다고 하던데....
상도남 23-07-12 10:40
   
23년 상반기 삼전의 파운드리 분야에 의미 있는 발전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요즘 삼전 관계자의 발언들이 자신감 묻어 나고 있구요.
핵심은 3나노 GAA 공정이 70%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소문이 있다는 것입니다.
3나노에서 적용된 기술들이 버린 4,5 나노 공정에 적용되면서
4,5 나노의 수율이 70% 넘긴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토막 23-07-12 14:46
   
아무 근거도 없는 추측임.

삼성은 수율에 관한 어떤말도 한적이 없음.
그러다 저번에 3나노 공정에 대해서 거의 완벽하다고 말한게 전부.
한수위의 23-07-12 14:49
   
의미없음. 그냥 주가 방어용 언플일 뿐임.
EIOEI 23-07-12 17:24
   
삼성이 파운드리를 제대로 살리려면 자사 비메모리 반도체 비중이 어느 정도 지탱해줘야 하는데 비메모리 경쟁력이 경쟁사에 비해 뒤떨어지는 게 더 큰 문제
딴떼쭈룽 23-07-12 17:48
   
몇년간 삼성파운드리는 그놈의 수율을 못잡아서 그동안 말이 많았는데 이렇게 카더라만 주구장창 나와서 안스럽습니다. 최근기사대로 75% 수율이 나온다면 좋겠네요
포르투나 23-07-12 19:52
   
이건 빅칩 생산을 얼마나 할 수 있냐로 보면될겁니다.

위글 대로라면 퀄컴  엔비디아등을 다시 잡을수 있겠죠.
nasnas 23-07-13 13:20
   
삼성말은 믿음이 잘 안갑니다.
신뢰가 안가요.
진실게임 23-07-15 12:03
   
수율 같은 거 발표해주는 경우가 없음.  누가 기업 기밀을 막 떠드남?

외부에선 계약과 생산량을 보고 높겠구나 낮겠구나 파악하는 거지.
사다리공장 23-07-17 13:58
   
수율도 중요하지만, 생산제품의 성능도 중요하죠. 같은 3나노라도 같은게 아님.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669
15758 [전기/전자] 脫일본 착수한 삼성…"日기업들, 삼성 변화에 긴장" (28) 스크레치 07-17 6790
15757 [잡담] LG엔솔 수주잔고 370조원 ㄷㄷㄷ (9) 강남토박이 10-30 6788
15756 [전기/전자] 韓 게임 막아놓고…중국은 2조 벌어 갔다.. (55) 스쿨즈건0 12-24 6786
15755 [전기/전자] 韓510조 vs 日 2조 [반도체 투자전략] (21) 스크레치 06-22 6786
15754 [기타경제] 日 불화수소 수출 규모 97% 감소 (17) 귀요미지훈 10-17 6780
15753 [기타경제] 中하이난 韓제품 없어못판다..코로나 보복소비 급증 (3) 스크레치 04-29 6778
15752 [금융] 원화, 이젠 웃돈주고 빌린다..달러와 신세 '역전' (39) 스크레치 09-22 6777
15751 [기타경제] 세계 5대 라면기업 현황 (2020년) (44) 스크레치 11-05 6776
15750 [기타경제] 미국인도 신라면 홀릭…농심, 상반기 美매출 '사상 … (47) 스쿨즈건0 07-16 6774
15749 [전기/전자] 日언론 탄식 약진하는 韓 "아이폰12 부품 비중" 1위 (42) 스크레치 11-22 6771
15748 [전기/전자] 삼성의 ARM 인수? "That's NO~NO" (32) 스크레치 07-25 6770
15747 [전기/전자] 인텔, 삼성에 파운드리 첫 발주.. 미중 분쟁·AMD 고려한 … (29) 행복찾기 06-17 6769
15746 [전기/전자] 日도시바 1년내내 적자 삼성과 격차 더 커질 듯 (27) 스크레치 02-18 6769
15745 [기타경제] 경제대국 라이벌 캐나다 vs 대한민국 현황 (34) 스크레치 06-21 6763
15744 [기타경제] 소프트뱅크 위기 (18) 냥냥뇽뇽 09-27 6763
15743 [잡담] "삼성전자, 4나노 수율 75%" 파운드리 고객 더 많아진다 (11) 강남토박이 07-11 6763
15742 [기타경제] 45억뷰를 자랑하는 인기 웹툰의 게임화 ‘신의 탑M 위대… (1) 굿잡스 05-04 6762
15741 [전기/전자] 日도 주목하는 LG전자 가전제품, 외산 무덤서 '승승장… (13) 스크레치 06-26 6761
15740 [기타경제] (중국조선 실체)“오일·가스 한국 못 따라가” 절망 깊… (16) 스크레치 11-21 6759
15739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7톤급 액체엔진 인증모델 500초 연소시험 … (19) 귀요미지훈 10-14 6757
15738 [기타경제] 한국 KTX, 터키 달릴 수 있을까 (23) 스크레치 09-05 6757
15737 [전기/전자] 메이드 인 재팬'의 몰락..일본 기업 눈물의 변신 (13) 스크레치 10-02 6756
15736 [잡담] 저가 배터리 시대 (6) 이름없는자 02-04 6756
15735 [전기/전자] 'GOS 논란' 삼성 탓 아니다?…ARM 설계 문제 '점… (32) 나이희 04-13 6756
15734 [잡담] 삼성전자 베트남 R&D센터 완공.jpg (2) 강남토박이 11-09 6756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