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7-22 12:38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2,794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장기적으로 국내 가계의 부담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 분석. ‘금리 충격’이 단기적으로 보면 우리 경제의 건전성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중장기 시계로 보면 개선 여지가 있다는 것. 국회예산정책처는 20일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 올리면 국내 가계 부담이 단기적으로 증가하나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안정된다”분석.

보고서는 일단 한·미 국채금리, 나아가 국내 대출금리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돼 움직인다는 점을 검증. 예컨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와 국내 국채 10년물 금리는 양(+)의 상관관계(0.79)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와 국내 대출금리간 상관계수는 0.73으로 계산. 김종혁 예정처 거시경제분석과 경제분석관은 “미국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국내 시장금리와 대출금리도 함께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금리 상승은 우리 가계의 건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단기적으로는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예정처의 주장. 국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2분기 후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신용을 약 0.9~1.35포인트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GDP 대비 총신용 비율은 경기에 비해 과도한 신용(민간부채)이 공급돼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를 선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다. 현재 주요국에서 사용. 이 지표가 상승하는 것은 2분기, 그러니까 단기적으로는 대출상환 부담이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의미. 가계 경제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8분기 이후를 가정한 결과는 달랐다. 대출금리 1%포인트의 상승은 8분기 후 GDP 대비 총신용을 약 1.29~1.63%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 이는 대출금리가 오르면 중장기적으로 차주가 대출 규모를 줄이고, 이는 곧 우리 경제위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 문제가 개선될 여지가 있음을 뜻한다. 김 분석관은 “가계부채 수요가 시장금리 상승에 의해 억제돼 중장기적으로 가계 부문 건전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실물경기에 비해 과도한 신용이 공급되지는 않은지, 특정 부문에 쏠림현상이 있지는 않은지 모니터링을 면밀하게 해야 한다”면서 “위기를 조기에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7-07-22 12:40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3879485
활인검심 17-07-22 21:39
   
8분기가 지나면이란 소리는 금리 올리고 나면 그 쇼크가 있은뒤 2년뒤란 소리잖아...
뭔가 쇼크사태가 터지면 그후에 그에 상응하는 정책을 내놓는게 당연한건데 분석을 날로 먹는군
아비요 17-07-23 14:36
   
이거 완전 개소리네요..ㅡ.ㅡ 가계부담이 증가해서 부채를 줄이거나 늘리지 않을테니 결국 가계부채 부담이 줄어든다는 말이잖아요.
뽐뿌맨 17-07-24 13:21
   
길거리에 똥이 많으면 나돌아다니지 않게 되니 똥 밟을 확률이 줄어든다...  그런 이야기랑 뭐가 차이나지?
답은 똥을 치우는 것 아닌가?
sariel 17-07-24 15:59
   
조건을 붙여야 성립이 가능한데 그러니까 8분기 동안 도미노로 망하거나 어떠한 쇼크도 발생하지 않고
망하는 사람들도 적고 부채상환을 못하는 사람도 거의 없는 상태에서 대출만 줄이면 된다는 건데 ..
최소한 경제에서 리스크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는 알텐데 지금 저걸 말이라고..
월컵첫우승 17-07-29 01:51
   
8분기면 2년인대요................

망할사람 다망하고 남은 사람 가지고 회생했냐는 뜻인가요??/
멀리뛰기 21-01-02 08:34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1:30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감사합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04
8798 [자동차] 포르쉐 LG화학 배터리 탑재 '타이칸' 9월 공개 (14) 스크레치 08-09 2792
8797 [전기/전자] SKC 日의존 반도체 핵심소재 블랭크 마스크 하반기 양산… (5) 스크레치 04-20 2792
8796 [기타경제] 디폴트 위기 고조 中, 내년까지 빚 1700조 도래 (11) 스크레치 08-25 2792
8795 [잡담] 한국 출산율 증가 가로막는 세 번째 원인 - 공포 마케팅 (4) conanmoon 03-22 2792
8794 [전기/전자] 中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홍수로 줄도산… 한국 3社엔 기회 (8) 스크레치 01-29 2793
8793 [기타경제] 김정은 하노이 行, 어디를 가도 '韓노이' (8) 스크레치 02-11 2793
8792 [기타경제] 日후쿠시마 제보 "세슘 측정기엔 항상 빨간불 켜져 있다" (3) EIOEI 08-03 2793
8791 [전기/전자] 삼성전자 "英에 5G장비 공급 가능하다" (2) 스크레치 07-10 2793
8790 [자동차] 영국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9년 상반기) (9) 스크레치 07-17 2794
8789 [잡담] 국내연구진 해양 사고시 유출 기름, 제거및 회수 발명품… (3) 조지아나 07-24 2794
8788 "美 금리 오르면…韓 가계부채 부담 줄어든다" (8) 스쿨즈건0 07-22 2795
8787 [과학/기술] 황산니켈 국산화…전기차 배터리 강국 이끈다 (5) 진구와삼숙 07-28 2795
8786 [기사]도시바, 반도체 팔아도 지옥 (2) 켄차 09-25 2796
8785 [기타경제] 미국발 LNG 수출 대란…조선 '빅3' 부활 신호탄 (12) 스크레치 07-28 2796
8784 [기타경제] 韓, 日등유 수출금지하면 일본 등유가격 폭등 - 블룸버그 (16) 스크레치 08-19 2796
8783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업계최고 176단 4D 낸드플래시 개발 (13) 스크레치 12-08 2796
8782 [전기/전자] [단독]삼성, 양자컴퓨팅 '또' 투자…이스라엘 '… (1) 스크레치 09-07 2796
8781 롯데,정부에 SOS "中에 사드부지 제공 불가피성 설명해달… (9) 스쿨즈건0 03-06 2797
8780 美 산업계가 '한미FTA' 폐기 반대하는 4가지 이유 (3) 스크레치 09-10 2797
8779 [기타경제] 韓 36척 vs 中 2척…LNG선 시장 휩쓰는 한국 조선. (9) 블랙미스릴 08-21 2797
8778 [전기/전자] 갈길 먼 中 파운드리… SMIC, TSMC·삼성 추격 벅차네 (7) 스크레치 03-14 2797
8777 [기타경제] 세계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06-24 2798
8776 [주식] 문대통령, 바이오헬스 산업 '반도체 만큼 키운다' (14) 영대오 05-21 2798
8775 네이버 "1년후 완전 자율주행車 목표" (3) 스크레치 03-31 2799
8774 삼성전자, 4세대 V낸드 SSD ‘T5’ 선봬 (5) 스크레치 08-16 2799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