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3-19 16:32
[금융] 한국의 원화 가치가 폭락중이다? 틀린 말이다.
 글쓴이 : 세월의소리
조회 : 2,424  

2019년도 평균 환율과 오늘자 환율 비교



◈. 원화보다 가치가 올라간 통화



1. 달러 1166.51  > 1280  = 9.7% 상승


2. 엔   1070.63   > 1177  = 9.9%  상승


3. 유로 1305.86  > 1399   = 7.1%  상승


4. 위안 168.68    >  180   = 6.7% 상승



ㅡㅡㅡ



◈. 원화보다 가치가 떨어진 통화


1. 영국 파운드 1488.50  > 1481 = 0.5% 하락


2. 캐나다 달러   879.19 > 877.85 = 0.2% 하락


3. 호주   달러   810.51  > 730   = 9.9% 하락


4. 러시아 루블    18.04  > 15.83  =12 % 하락


5. 브라질 레알  295.88  >  251   = 15 % 하락



ㅡㅡㅡ



종합 : 1. GDP 규모 1,2,3위 그리고 EU가 쓰는 소위 준기축통화 이상급에서는 원화 가치가 약세


      

          2. 하지만 그외 국가 단위급으로 내려가면


 


           대한민국보다 GDP 규모가 큰 영국파운드는 오늘 기준 오히려 원화 가치가 더 높아졌다.
          
           
           대한민국과  GDP 규모가 비슷한 캐나다, 호주, 러시아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호주는 10%, 러시아는 무려 12% 이상 원화가치가 높아졌다.



           대한민국 보다 GDP 규모가 큰 브라질레알화는 비해 원화는 무려 15% 상승했다.
    


ㅡㅡㅡ

    


결론 > 펜데믹으로 인해 경제불황이 불보듯 뻔한 시점에서
       
         모든 자본들이 안전 자산인 기축통화로 여겨지는 주요 통화에 쏠려 가치가 상승했다.

 


         한국의 원화는 이 기축통화를 뺀 주요국과의 통화에서는 오히려 가치가 높아졌다.


 

         그러므로 현재 환율은 원화 가치 폭락이 아닌 달러강세 or 기축통화 강세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ociete 20-03-19 16:43
   
정확히 말하자면 달러만 강세인거 같습니다. 기축통화가 아니라...
지금 보면 유로, 엔, 위안화 모두 달러대비 약세로 전환중이구요. 다만 아래 언급한 국가들보다 하락폭이 적은것이지요.

아래 언급하신 영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 러시아는 모두 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자원수출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들 같네요. 이런 사태에서 당연히 원화보다 훨씬더 민감하게 반응하는것 같구요.

영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 러시아 화폐 대비 원화가치가 상승(해당 환율 하락)한 이유는 우리나라가 재정환율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달러대비 원화의 하락폭보다, 해당국가의 하락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땡말벌11 20-03-19 16:55
   
달러도 위험하지 않나요?
양적완화와 미정부에서 돈을 어마어마하게 팔고, 국채도 FRB에서 구입한다고 하면
돈이 엄청 풀린다는 것인데요.
세계적으로 소비시장 위축에 있어서 미국도 피해가기 힘들 것입니다.
그렇다면 달러의 가치가 위축될 듯한데요.......
유동성이 높은 안전자산으로 몰리는 것은 지난 경제위기때에도 그랬었는데......
이번에도 그러하네요.
carlitos36 20-03-19 18:28
   
미국과 무제한 달러 통화 수왑을 해야지 안 휘둘리지
fymm 20-03-19 18:35
   
파운드, 캐나다면 인정

파운드는 기축통화에,, 달러전에 지구돈이었는데,,, 영국이 맛탱이가 가긴갔나보군
멀리뛰기 21-01-12 08:52
   
[금융] 한국의 원화 가치가 폭락중이다? 틀린 말이다. 감사합니다.
 
 
Total 16,5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771
8793 [자동차] [단독]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4월 착공식…정의선 부회… (19) 스크레치 03-22 3343
8792 [잡담] 누가 누가보고 답답하다고 합니까 ㅋㅋ (28) 폭군 03-22 1698
8791 [자동차] 러시아도둑 가장 사랑하는車…'기아차 리오' 뽑… (6) 스크레치 03-22 3589
8790 [잡담] 최근 10년 명목 1인당 gdp 수치 변화(IMF 원화기준) (5) 폭군 03-22 1333
8789 [잡담] 작년 대한민국 경제는 최악이었죠 (106) 폭군 03-22 2448
8788 [기타경제] 아시아 gdp 순위 (1960~2020) (4) 유랑선비 03-22 4611
8787 [잡담] PPP(Purchasing Power Parity)에 대한 이야기 (24) 동키일일일 03-21 2147
8786 [잡담] 삼성전자 대규모 경력직 채용 (8) 티유 03-21 7097
8785 [기타경제] 韓,프랑스 국민소득 추월 (IMF) (136) 스크레치 03-20 11851
8784 [전기/전자] 인텔 낸드플래시 철수 저울질, SK하이닉스 위상 높일 절… (13) 스크레치 03-20 5270
8783 [전기/전자] LG전자 가전경쟁력 통했다 (3) 스크레치 03-20 3298
8782 [전기/전자] 삼성전자 3년째 美 특허보유 1위···2위 IBM 보다 1.6배 많… (2) 스크레치 03-20 2169
8781 [전기/전자] 스마트폰 배터리 크기 '반으로' 줄인다 (6) 스크레치 03-20 2676
8780 [기타경제] "도쿄올림픽 취소? 일본 최악의 경제위기 올 것" (2) 초록바다 03-20 2030
8779 [전기/전자] 거침없는 삼성 초격차..초고속 모바일 낸드 첫 양산 (4) 스크레치 03-20 2671
8778 [금융] 한미 스와프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아무런 관련이 없… (8) 세월의소리 03-20 2632
8777 [전기/전자] 352조 쌓아둔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M&A 나설까 (31) 스크레치 03-20 6931
8776 [잡담] 한국의 통화스와프 체결 현황 (9) 이리듐 03-20 4234
8775 [금융] 미국과 통화스와프 체결국 현황 (2020.3.19 기준) (6) 스크레치 03-19 4954
8774 [잡담] 내일 주가 오르겠지만... (3) 미친파리 03-19 2226
8773 [금융] 美, 실업수당 신청 급증.."역사적 수치 기록할 것" (3) 부두 03-19 1656
8772 [전기/전자] 삼성 이미지센서 초격차… 1억5000만화소 벽 깨나 (14) 스크레치 03-19 4311
8771 [기타경제] JP모간의 경고 "中 1분기 성장률 -40%"…충격적 보고서 발… (10) 초록바다 03-19 3696
8770 [기타경제] [단독]제7광구 34년만에 재추진..한국의 마지막 승부수 (23) 스크레치 03-19 3008
8769 [과학/기술] 日언론 주목한 韓 '워킹 스루' 검사법 무엇? (5) 스크레치 03-19 1925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