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2-04 12:24
[기타경제] 뉴스에선 볼수 없는것~
 글쓴이 : 당구홀릭
조회 : 2,824  

16774abd4a26490.jpg

167770bf4462e682e.jpg

ㄱㅣ레기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황제폐화 18-12-04 14:56
   
수수료 맘대로 내리면 경제 살아나나?
그럼 카드사는 이윤 줄어드니 신규인력 안 뽑고 구조조정 들어가고 무이자 없에고 포인트 줄이고 그럼 또 사용자 줄어드니 매출 떨어지고 아주 고맙겠습니다.
     
프라하의밤 18-12-04 15:07
   
카드사 직원보다는 개인사업자가 훨씬더 많잖아요.
     
이든윤 18-12-04 16:55
   
극 소수의 카드사 불로소득 챙겨서 욕먹을 바엔
다수의 자영업자 챙겨주는게 고마운거죠

개인적으로는 수수료 인하 효과가 꽤 있을걸로 예상됨
     
할쉬 18-12-04 20:00
   
자한당같은 개소리한고 있네..
너님이 장사한번 해봐.. 카드 수수료에 목아지가 꺽일 지경이니까
베이빈 18-12-04 16:30
   
자영업자나 영세업자들한테
영업하면서 가장힘든점이 뭐냐, 수수료문제가 크냐?
물어보면, 카드수수료 따위 나가는지도 모르겟다라는게 첫대답입니다

가장큰문제는, 시도때도없이 올라가는 임대료문제죠.

장사 할만하면, 매년 8프로정도씩 올리고
눈뒤집어진 건물주는 재계약때즘 임대료 두배로올리고,
건물인지도 상승시켜준 자영업자 바로 쫒아내버리죠...

조물주위에 건물주, 이걸 조져야는데

국회의원들중 건물주가 태반이라 ㅋㅋㅋㅋ 절대못잡죠 ㅋ

1.8퍼센트 수수료 줄여봐야 체감할수있을까용 ㅋㅋ?
     
아리아링 18-12-04 20:19
   
보통 자영업자들한테 제일 힘든게 뭐냐고 묻는다면 당연 인건비가 1위일텐데요
매년 8프로씩 올린다고요? 그럴만한 상권이 우리나라에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까
요즘엔 불경기가 심해서 나갈까봐 임대인들이 벌벌떠는 시대인데 현실하고 동떨어진 얘기를 하시네요
     
kira2881 18-12-05 16:52
   
선전선동 하지 맙시다.

상가임대차 보호법도 모르시나?

게다가 올해부터 강화되서 최고 10년까지 임차인이 권리 주장이 가능하고 임대료 인상 상한도 5%로 제한해놨습니다.

윗분 말처럼 요즘엔 경기가 최악이라 10년이나 버틸 자영업자가 거의 없어서 상가 공실율도 역대 최고인데 무슨 소릴 하시는건지.
빨갱척결 18-12-04 16:32
   
문제는 카드사 수익감소로 일반 카드사용자가
불이익되고 있다는거는 생각못함
즉 각자 자기이익만 챙긴다는거지.
이 등쉰정부는 이놈꺼 챙겨줄려고 딴놈걸 뺏는짓하니
사회갈등과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넘은 더 부자가된다는거...
     
무영각 18-12-05 08:50
   
잘가여~
punktal 18-12-04 16:54
   
카드사들은 앉아서 돈 버는 대기업들이고 자영업자들은 우리네 가장들이 대부분이잖아요.아주 잘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Sulpen 18-12-04 19:40
   
이야...
이상하게 특정 주제만 사람이 많은 느낌이 ㅋㅋ

카드사 수수료 인하는 당연히 효과가 있습니다.

지금이야 중간 유통단계가 증가(배달업체 및 주문앱)해서 그것에 의한 부담이 크지만, 전통적으로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부담되는 부분이 카드수수료, 임대료, 프렌차이즈 비용 부분이었지요.

임대료 부분 빼고 카드수수료는 인하한 상태고, 프렌차이즈 비용도 공정위에서 주시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임대료도 약간의 시도를 하고는 있는데(최소 보장기간 증가 등) 그게 효율적일지는 지켜봐야겠지요.

배달업체야 소형업체들 입장에서는 무작정 부담의 증가라고는 볼수 없으니 결국 카드수수료 부분은 잡고 배달앱 부분이 생긴 샘인데 이건 배달앱과 같은 중간 유통망의 수익에 관한 법률을 국회에서 제정을 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렌차이즈 비용이나 배달앱 수익에 관해서 행정부가 과도하게 규제하기 힘든게 관련 법률이 미비하기 때문이지요...
멀리뛰기 21-01-02 15:03
   
[기타경제] 뉴스에선 볼수 없는것~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54
   
[기타경제] 뉴스에선 볼수 없는것~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28
8698 외국인, 대만 이어 韓주식 많이 샀다. (5) 스쿨즈건0 07-11 2819
8697 [기타경제] 티웨이·에어서울, 日 노선 재개 (7) 귀요미지훈 02-07 2819
8696 “미국산 소고기 수입중단 해야” 정부 “위험도 낮고 … (5) 스쿨즈건0 07-21 2820
8695 [잡담] 일본이 검토중인 경제 제재 목록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 (7) 피의숙청 03-17 2820
8694 [자동차] 현대-기아 8월 미국 자동차 시장 3위 (3) 강남토박이 09-03 2820
8693 [기타경제] 러시아산 끊기자 대안 국가 뜬다..캐나다·아르헨티나 각… (3) 굿잡스 03-30 2820
8692 롯데케미칼 고공행진…1위 LG화학 꺾나 (3) 스크레치 10-18 2821
8691 [전기/전자] 파운드리팹 LG에 개방"···삼성의 통큰결단 (9) 진구와삼숙 04-22 2821
8690 [기타경제] 원·달러 환율 1220원대로 올라섰다…엔화 가치 저하는 심… 샤넬케이 03-29 2821
8689 LG, 日 도시바에도 OLED 패널 공급…日 TV업체 한국산 OLED … (2) 스크레치 01-14 2822
8688 [전기/전자] 한국, AI반도체 특허 세계 1위…2년새 5배 ↑ (9) 스크레치 03-21 2822
8687 [기타경제] 2019년 선박 소유 상위 10개국 (2) 블루로드 04-29 2822
8686 [전기/전자] ETRI 세계최초 400G 광송수신 엔진 개발.. "전송속도 4배" (3) 스크레치 03-25 2822
8685 [전기/전자] [단독]LG화학·인니 국영기업부·투자조정청 회동…배터… (2) 스크레치 04-07 2822
8684 [기타경제] ‘강제징용’ 일본제철 주식 매각명령 12월9일부터 가능… (8) 스쿨즈건0 10-12 2822
8683 [자동차] 현대 日도요타에 선전포고…中서 수소전기차 맞대결 (2) 스크레치 11-05 2822
8682 [과학/기술] 해상도 100배 높은 홀로그램 개발 (4) 진구와삼숙 02-17 2823
8681 [자동차] 위기의 테슬라, 'B3'로 신용등급 강등…"4개월 내 … (15) 스크레치 03-28 2823
8680 [기타경제] “ 美·中갈등 심화…韓경제 심각한 영향줄듯” (6) 스쿨즈건0 05-22 2823
8679 [전기/전자] 국산화 반 년이면 끝..일본 아베발 파산 올 수도 (8) darkbryan 08-07 2823
8678 [기타경제] 中 세자녀 정책 추진 시동 (8) 스크레치 10-26 2823
8677 [전기/전자] 美와 손잡은 삼성…'현존 최고' 서버용 SSD·D램 모… (3) 스크레치 08-09 2824
8676 [기타경제] 뉴스에선 볼수 없는것~ (13) 당구홀릭 12-04 2825
8675 [기타경제] 소프트뱅크 투자 후폭풍…3분기 순손실 7조원 넘어 (10) 귀요미지훈 11-07 2825
8674 [재테크] 달러 매각? 보유? (8) 기름쟁이 01-30 2825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