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8-21 00:12
[자동차] 독일 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통'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2,848  

독일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통'




휘발유 차보다 배기 가스를 적게 낸다면서 이른바 클린디젤로 불리던 아우디와 폭스바겐, 포르쉐 같은 독일 경유차가

배출가스를 조작한 것으로 확인.


환경부가 오늘 이런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백억원 대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214&aid=0000973468&date=20190820&type=2&rankingSeq=4&rankingSectionId=10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9-08-21 00:13
   
frogdog 19-08-21 00:32
   
요세 보면 일본이나 독일같은 전범국들 산업을 보면 전쟁의로 인해 기술이 발전해 왔는데

더이상 테크날러지의 진척이 없으니 날조와 조작을 해대는거 같네요

특히 독일차는 프리미엄차라는 예명을 받으면서 고가에 팔리는만큼 사람들에게 돈값을 할수 있는 기술을 적용시

켜야 하는데 그게 기술적으로 힘드니깐 말만 번지르게만들어서 조작을 한걸로 생각이 되어지네요

바로 프리미엄브랜드란걸 최대한 이용한거겠지요

앞으로 현대기아차 무시 못하게 될겁니다 물론 아직 기본기가 조금 부족하지만 앞으로 딱 몇년안으로

독일차와 동급수준 가격은 절반수준의 차를 만들게 된다고 봅니다

그렇게 되면 일본차는 쳐리되고 독일차는 많은 출혈을 일으키며 지금의 많은 프리미엄브랜드중에

한두개만 남고 나머지는 없어지겠지요
피의숙청 19-08-21 03:54
   
또??
totos 19-08-21 06:09
   
디젤에 요소수를 쓰는거 자체가 경제성과는 거리가 멀어요.
원래 대형 엔진의 환경 오염원 저감을 위해서 개발된거지, 경제성을 추구하는게 아니였거든요.

독일은 한국/일본/미국 완성차 기업에 비해서 하이브리드, 전기차 개발이 많이 늦었습니다.
디젤 로드맵을 20년 가까이 짜 놓고 가상의 유로7 규격까지 구상 했으니까요.
조작을 안하면 디젤은 더 이상 경제성이 없는 파워트레인으로 전략하고, 그건 독일차의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는거지요.

디젤은 끝났어요.
요소수 제대로 쓰면 유류비 결코 싸지 않습니다.
NVH를 희생하면서 탔던게 경제성인데, 그 경제성조차 무너지면 디젤은 더 이상 매력이 없는거지요.

폭스바겐 그룹이 수소 자동차 개발에 현대자동차의 핵심 부품을 구매해서 사용해야 됩니다.
전기차? 한국 대기업에 의존하고 있어요.
주도권을 못 가진다는겁니다.
독일에서 고성능 차체 만들던 기술자들은 대거 한국으로 몰려간 상태이구요.

폭스바겐, 아우디, 벤츠, BMW 등등 파워트레인 내 놓는 걸 보면 큰 위기감이 없어 보입니다.
최소한 이번 풀체인지에서 하이브리드나 플러그인 방식을 내 놨어야 하거든요.
결국 디젤 아니면 수입차 유지 못하는 카푸어들이 만든 기형적인 한국 시장이라고 보여 집니다.
     
쿠비즈 19-08-21 22:33
   
디젤 아니면 수입차 유지 못하는 카푸어?? 최근에 나온 X5 M50d나 X7 M50d같은 차량이 유지비 때문에 타는 차라 생각하시나요? 2000cc급 디젤만 타보신 분이나 할 소리를 하시네요.
새콤한농약 19-08-21 09:25
   
아우디가 독일차냐? 중공차 아니냐?
     
황악사 19-08-21 17:20
   
중국에 넘어간건 볼보
멀리뛰기 21-01-02 17:40
   
[자동차] 독일 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통' 감사^^
멀리뛰기 21-01-12 08:05
   
[자동차] 독일 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통' 감사^^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11
8623 [과학/기술] 아모텍, 적층형세라믹콘덴서(MLCC) 시장 '출사표' (9) 4457205 07-26 2842
8622 [자동차] 현대차 미국시장 소매판매 사상 최다 (3) 굿잡스 03-05 2842
8621 [전기/전자] LG전자 AI칩 독자개발…"인공지능 경쟁서 한 발 앞선다" (6) 스크레치 05-17 2843
8620 [잡담] 통일전에 이탈리아까지 잡고 gdp 8위까지 찍을수 있겠네… (17) 폭군 01-22 2843
8619 [기타경제] 현대로템 폴란드에 트램 초도물량 첫 수출 (4) 스크레치 07-05 2843
8618 삼성전자 영업이익…9년 만에 애플 제친다 (3) 스크레치 06-11 2844
8617 한국 피자헛 지분 100%, 오차드원에 매각. (3) 스쿨즈건0 09-01 2844
8616 [기타경제] 중국 경제성장률 수년 전부터 이미 4∼5%대였을 수도 (9) 개소리전문 08-31 2844
8615 [기타경제] 韓조선 13년만 최대수주..뱃값도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10) 스크레치 04-06 2844
8614 [기타경제] 폼페이오 "中, 약탈경제 표본…개방·세계화 우스갯소리" (10) 스크레치 06-20 2845
8613 [기타경제] "환불해주세요"..中 1위 공유자전거의 몰락 (8) 굿잡스 12-20 2845
8612 [기타경제] 솔직히 외노자 수를 늘려야 합니다. (23) 공평 04-13 2845
8611 [과학/기술] 31조 투자 나선 TSMC…삼성 ‘파운드리 초경쟁’ 때 놓치 (25) 카카로니 02-02 2845
8610 [잡담] 닛산 화학이 한국에서 반도체 재료 생산 공장을 건설 (6) 강남토박이 05-24 2845
8609 [잡담] 메모리 반도체 역대급 슈퍼 사이클 ㄷㄷㄷ (2) 강남토박이 01-01 2845
8608 제네시스 EQ900, 사우디서 최고 럭셔리세단 선정 (3) 스크레치 04-04 2846
8607 [과학/기술] 美에서'1+1'행사하는 갤럭시S10…한국은'봉' (15) 스쿨즈건0 03-10 2846
8606 [전기/전자] LG 스마트폰이 계속 망하는 이유 (5) 넷우익증오 03-28 2846
8605 [기타경제] 한국 무역 '예상밖 선전'..2∼3월 수출 증가율 '… (5) 스크레치 03-29 2846
8604 [전기/전자] 삼성 5나노 파운드리, 국내 팹리스 '진입로' 열렸… (4) Architect 07-05 2846
8603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세계 첫 국제표준규격 `DDR5 D램` 개발 (6) 스크레치 11-16 2847
8602 [기타경제] 한-인니 CEPA 최종 타결.."세계인구 4위 시장 본격 열린다" (2) 그대만큼만 11-25 2847
8601 [전기/전자] TSMC 3분기 매출 yoy 48% 증가 (5) 미켈란젤리 10-10 2848
8600 [자동차] 독일 車의 잇단 '배신'…배출가스 조작 또 '들… (9) 스쿨즈건0 08-21 2849
8599 SK하이닉스, 글로벌 반도체 톱3 굳힌다 (4) 스크레치 05-10 2850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