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9-22 13:37
조선사, 수주보다 어려운 '수주 가이드라인'
 글쓴이 : 굿잡스
조회 : 2,868  

조선사, 수주보다 어려운 '수주 가이드라인'

"수익성 있는 것만 수주해라"
정부, 낮은 가격 수주 원천봉쇄…가격경쟁력 중국·일본보다 뒤처져
현대중공업, 컨선 9척 막판 수주 불발

업계 "도크·일손 남아도는 고정비 손실은 감안 안해"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9189214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굿잡스 17-09-22 13:39
   
조선업 자체가 현재 세계적 불황인 상황에선 고정비 지출을 감안해서 한시적으로 수주 가이드 라인을

좀더 유연하게 해서 수주 절벽을 막고 업황이 살아나면 그때 가서 다시 좀더 타이트하게 하는게 현명한 정책일 듯.
아비요 17-09-22 14:44
   
적자보면서 수주한 덕분에 망할뻔한거 겨우 살려놨는데 또 적자수주 하겠다고 설치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도산처리해야 하나요?
     
굿잡스 17-09-22 14:56
   
일감절벽은 어떻게 하나…

정부와 은행권은 조선업계의 고질적 문제인 과당 경쟁을 막고 구조조정을 차질없이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기준을 완화하면 조선사들이 자구 노력을 게을리할지 모른다”며 “인력 감축을 통해 생산 효율을 높여 가격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당장 기준을 완화하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반면 조선업계는 가이드라인과 현실의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선박 가격이 원가 이하로 떨어지는 바람에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중국과의 수주경쟁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영국 조사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국내 조선사가 많이 건조하는 초대형유조선(VLCC) 가격은 9월 현재 척당 8100만달러로 2008년 9월(1억6200만달러)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일감이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고정비 손실이 가이드라인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척당 수주 가격이 원가보다 낮으면 당장 손실을 보는 것처럼 보이지만 많은 물량을 수주하면 고정비를 충당하면서 결과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국업체를 고사시키려는 중국 업체의 ‘시간벌기 전략’도 이 같은 계산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중견 조선사 관계자는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지만 현 수준의 가이드라인으로는 빈 도크를 채울 수 없다”며 “합리적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91892141
          
호갱 17-09-22 15:32
   
그것은 국가 세금 안처먹은 그룹이 할말임
               
굿잡스 17-09-22 16:42
   
대우조선과 다른 조선 업체는 구분하길 바람.(그리고 쨉,짱국등 다른 나라 업체는

지금 각종 세금 안쳐먹고 조선업 함?? 지금같은 어려운 시기에 왜 이들 각국 정부들은

지원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멀리뛰기 21-01-02 08:42
   
조선사, 수주보다 어려운 '수주 가이드라인'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1:39
   
조선사, 수주보다 어려운 '수주 가이드라인' 감사합니다.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627
8542 [기타경제] [OECD 주요 선진국] 2018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현황 (10) 스크레치 05-30 2864
8541 [기타경제] 美 "홍콩 구멍 막아라"‥美中 싸움에 불똥 (4) 스쿨즈건0 02-03 2864
8540 [전기/전자] 미국판 반도체 굴기?.. 바이든 "40조원 들여 자체생산 추… (14) 스크레치 02-26 2864
8539 [전기/전자] TSMC 모리스 창, "중국반도체, 우리보다 5~7년 정도 뒤쳐져.… (8) 귀요미지훈 06-06 2865
8538 [잡담] 2023년 4만불 돌파하겠네요 (5) 폭군 06-28 2865
8537 [잡담] 일본 경제재제에 대항할 수 있는 조치가 무엇이 있을까… (14) Eagle15 07-02 2865
8536 [전기/전자] "차세대 갤럭시폴드에 방수·방진 기능 넣는다" (12) 유랑선비 05-28 2865
8535 [자동차] 벤츠보다 한수 위!..코나 일렉트릭, 1회 충전에 35시간 질… (3) 스크레치 08-18 2865
8534 [기타경제] '베트남 경제의 축 "삼성전자," 일하기 좋은 직장'… (7) 스쿨즈건0 04-08 2866
8533 [기타경제] 해외 장기 투자자가 일본 주식을 전혀 사지 않는 이유(일… (3) 하늘소리 07-22 2866
8532 [기타경제] 8호태풍 중국 칭타오 폭우 피해/ 9호 태풍 북상중 상하이… (3) 조지아나 08-26 2866
8531 살아나는 日경제…물가 뛰고 실업률 급락. (3) 스쿨즈건0 04-01 2867
8530 [전기/전자] 삼성전기ㆍ무라타…불붙는 ‘MLCC’ 주도권 경쟁 (9) 스크레치 06-12 2867
8529 [전기/전자] 에르도안 "아이폰 말고 삼성도 있다" (9) 스크레치 08-14 2867
8528 [전기/전자] 삼성전자 갈 길 간다…"파운드리 1등 생태계 키울것" (4) 스크레치 07-04 2867
8527 [기타경제] 매출 126조 K콘텐츠, 반도체 넘본다 (5) 스크레치 06-23 2867
8526 삼성디스플레이, 애플에 2억대 플렉시블 OLED 공급 (6) 스크레치 12-21 2868
8525 [기타경제] 미, '한국 철강관세 면제' 최종 발표 (15) 아로이로 08-30 2868
8524 [잡담] 우리가 무엇으로 경제가 힘들다는건가요? (33) wpxlgus1234 05-20 2868
8523 [과학/기술] 中 네이버 접속 전면차단…"텐안먼 30주년, 인터넷 검열 … (5) 스쿨즈건0 06-12 2868
8522 [잡담] (최신판)세계에서 가장 물가가 비싼 도시 TOP10 (8) 스위트콘 06-10 2868
8521 [기타경제] 포스코 철강없어서 못판다..매출 목표 59조→62조 (7) 스크레치 05-03 2868
8520 [전기/전자] 삼성은 PC 용 ARM 프로세서를 만들까? (8) 이름없는자 07-17 2868
8519 쥬라기의 추세도 모음 (2) 옐로우황 02-20 2869
8518 中황당한 '사드 보복' 병뚜껑에 껌 붙이고 과자 … (2) 스쿨즈건0 03-14 2869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