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1-27 12:37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PPP기준) 현황 (2021년)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7,406  

대한민국이 역사상 최초로 

1인당 국민소득 양대 기준 가운데 하나인 구매력지수(PPP) 1인당 국민소득에서  

드디어 일본을 넘어서는 내년 2021년의 인구 5천만명 이상 국가의 1인당 국민소득(PPP기준) 현황 






<2019년 기준 전세계 인구 5천만명 이상 국가 현황> (2019년 대한민국 통계청 기준) 



총 29개국 

- 10억 이상 인구 (중국, 인도)
- 3억 이상 인구 (미국)
- 2억 이상 인구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브라질, 나이지리아)
- 1억 이상 인구 (방글라데시, 러시아, 멕시코, 일본, 에티오피아, 필리핀, 이집트)
- 9천만명 이상 인구 (베트남)
- 8천만명 이상 인구 (콩고민주공화국, 독일, 터키, 이란)
- 6천만명 이상 인구 (태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 5천만명 이상 인구 (남아공, 탄자니아, 미얀마, 케냐, 대한민국, 콜롬비아)



* 통일 대한민국 인구 (2019년 기준) (7751만 6866명) 









<2021년 인구 5천만명 이상 국가 1인당 국민소득 현황> (PPP기준) (2019.10월 IMF 최신 기준) 





1. 미국 (3억 2906만 4917명) (6만 9644 달러) 
2. 독일 (8351만 7045명) (5만 7295 달러)
3. 프랑스 (6512만 9728명) (5만 171 달러)
4. 영국 (6753만 172명) (4만 9658 달러)
5. 대한민국 (5185만 705명) (4만 8516 달러) 
6. 일본 (1억 2686만 301명) (4만 8192 달러)
7. 이탈리아 (6055만 75명) (4만 2858 달러)

* 통일 대한민국 인구 (2019년 기준) (7751만 6866명)

-------------------------------------------------- 1인당 국민소득(PPP기준) 4만달러 이상 

-------------------------------------------------- 30-50클럽 주요 선진 7개국 현황 

8. 러시아 (1억 4587만 2256명) (3만 2132 달러) 
9. 터키 (8342만 9615명) (3만 464 달러)
10. 중국 (14억 3378만 3686명) (2만 2620 달러) 
11. 태국 (6962만 5582명) (2만 2535 달러)
12. 멕시코 (1억 2757만 5529명) (2만 2021 달러)
13. 이란 (8291만 3906명) (1만 8197 달러)
14. 브라질 (2억 1104만 9527명) (1만 7666 달러)
15. 콜롬비아 (5033만 9443명) (1만 7053 달러)
16. 인도네시아 (2억 7062만 5568명) (1만 5769 달러)
17. 이집트 (1억 38만 8073명) (1만 5646 달러)
18. 남아프리카 공화국 (5855만 8270명) (1만 4241 달러)
19. 필리핀 (1억 811만 6615명) (1만 789 달러)
20. 인도 (13억 6641만 7754명) (9770 달러) 
21. 베트남 (9646만 2106명) (9345 달러)
22. 미얀마 (5404만 5420명) (7762 달러)
23. 나이지리아 (2억 96만 3599명) (6297 달러)
24. 파키스탄 (2억 1656만 5318명) (6208 달러)
25. 방글라데시 (1억 6304만 6161명) (5911 달러)
26. 케냐 (5257만 3973명) (4287 달러)
27. 탄자니아 (5800만 5463명) (3741 달러)
28. 에티오피아 (1억 1207만 8730명) (2908 달러) 
29. 콩고민주공화국 (8679만 567명) (895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없습니다 20-01-27 13:04
   
ppp는 국민생활수준 비교할때나 쓰느거지 국가간 비교에는 별 의미 없습니다.
     
할게없음 20-01-27 15:38
   
비슷한 생활수준을 가진 국가간 비교에는 정확한 지표에요 격차가 나는 국가간 비교에는 의미가 없지만요
          
유기화학 21-04-29 15:34
   
22
     
유기화학 21-04-29 15:34
   
ㄷㄷ
에린하르티 20-01-27 13:09
   
그냥 행복회로...
     
유기화학 21-04-29 15:34
   
ㄷㄷ
하야로비 20-01-27 15:25
   
전혀 의미 없음. PPP는 중국도 2만불을 가뿐히 넘겨버림.
     
자비스05 20-01-28 02:07
   
참고로 중국의 2019년도 1인당 예상 PPP는 1만9519입니다
겨우 넘었다고는 할 수 있겠군여
          
유기화학 21-04-29 15:34
   
2
     
유기화학 21-04-29 15:34
   
ㄷㄷㄷ
아차산의별 20-01-27 17:33
   
2018년  연평균환율  1100원대만되도
올해  gdp총량에서  캐나다를
일인당 gdp에서  이태리를  저멀리  따돌렸을건데
환율이  아쉽네요
     
유기화학 21-04-29 15:34
   
22
동키일일일 20-01-27 18:42
   
통계는 모집단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많은 오류가 생깁니다.
대표적인 예가 2019년에 유행했던 10대강국이란 표현과 위의 글과 같은 5천만먕 이상이란 표현입니다.

한국은 2018년 GDP 기준으로 세계 10위를 기록했습니다. 그러자마자 모든 통계를 세계 10대 강국이란 표현으로 내기 시작합니다.
세계 10대 GDP 국가 중 중국과 인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전통적인 선진국에 저성장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근데...
10대 GDP 국가를 제외한 20대 국가를 보면 인도네시아가 15위를 차지하고 있고, 터키와 같은 신흥 국가가 따라오고 있습니다. 이런 국가의 국가통계는 아예 보지 않습니다. 당연히 경제성장률이 높은데도요...
예를 들어 경제성장률에 우리보다 높은 국가가 많이 들어가 있으면 안되죠. 그러다 보니 10위 아래는 싹둑 잘라버립니다. 뒤는 보지 않고 앞 국가 뒤통수만 보는거죠.

그리고 위의 5천만명이상이라는 이상한 통계가 등장합니다.
당연히 한국의 경제력이 높게 나옵니다. 거기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같은 우리가 봤을때 예전부터 쫌 떨어진것 같은 나라를 빼버리기 위해 PPP기준을 또 씁니다.

당연 한국의 경제력이 올라가 보이겠죠.
그러면 뭐합니까? 국뽕만 취하지 한국의 펀드멘탈은 변하지 않습니다.

최근 많은 마이너 통계들을 보게 되는데 이는 내가 원하는 답을 맞추기 위해 만들어내는 통계의 조작일 뿐입니다. 이런 통계에 혼돈되지 말고 곧 나올 2019년 GDP 기준 통계만 보면 됩니다.
우리 앞에 있는 국가가 어디인지, 우리 뒤에 따라오는 국가는 얼마나 따라왔는지...
     
유기화학 21-04-29 15:34
   
33
화이팅 20-01-27 19:06
   
인구수만 봐도 절대 작은나라가 아니고....통일 한국은 진짜 작은 나라가 아니죠....작은 나라라고 계속 세뇌시킨 것도 일본이고....북한 인구의 경우 통일 대한민국이 될경우 경제 상황 좋아지면 약 4천만까지 늘어날거고  그러면 1억2천5백만의 일본과 인구수로도 아주 큰차이는 안나게 되죠
     
유기화학 21-04-29 15:34
   
22
태촌 20-01-27 22:04
   
통일 되면 북한인구 터지는건 상수이고, 남한도 분명 인구 폭증되는 요인이될텐데,,,
장기적으로는 다시 인구 감소되더라도 인구 1억 찍을 수 있다고 봅니다.
지금 대가리수면 모든지 다 되는 시대에 내수시장 1억이 더 위력이 있을지, 2개의 이질적인 문화가 섞이는 사회혼란이 더 위력이 클지 모르겠군요.
     
화이팅 20-01-27 23:14
   
물론 사회 혼란이 있겠죠....하지만 적절히 1국가 2개 지역 분리 관리 형태를 유지해서 사회 혼란만 최소화 시키면 북한의 무궁한 자원과 값싼 인적 자원...대륙으로 육로 수송 및 육로로 에너지 도입등....너무 많은 이점이 있죠....값싼 노동력때문에 베트남등 동남아에 전진기지 만들필요도 없죠..근면성실한 우리 민족으로 대체 하면 되는데....
          
미친파리 20-01-27 23:58
   
통일되면, 북한 인건비가 바로 우리기준 70%까지 올라가 버릴겁니다.
그렇다고 숙련도가 올라간 노동력도 아니고,
북한 인력이 근면성실하다고요? 공산주의체제에 있던 사람과 남한 사람을 비교하면 안됩니다.
통일의 환상을 가지면 안됩니다.
               
Wombat 20-01-28 07:53
   
22222 나도 통일론 찬성하는 사람이지만
이런건 생각안하는 분들이 많아요
                    
유기화학 21-04-29 15:35
   
22
               
화이팅 20-01-28 10:43
   
개성공단 인력만 봐도  동남아보다  낫죠....2개지역 분리해서 괸리하면 임금이 70%까지 올라가지 않을겁니다.
                    
미친파리 20-01-28 13:41
   
개성공단 인력이 동남아 보다 낫다는 근거는 뭐죠?
노동부에서 발간한 개성공단 노동생산성 현황 보고서에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고 나와 있는데 말이죠.
                         
유기화학 21-04-29 15:35
   
2
                    
유기화학 21-04-29 15:35
   
33
               
유기화학 21-04-29 15:35
   
ㄷㄷ
          
유기화학 21-04-29 15:35
   
2222
     
유기화학 21-04-29 15:34
   
33
멀리뛰기 21-01-02 18:25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PPP기준) 현황 (2021년) 좋은글~
     
유기화학 21-04-29 15:35
   
33
멀리뛰기 21-01-12 08:43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PPP기준) 현황 (2021년)  잘 보았습니다.
     
유기화학 21-04-29 15:35
   
22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31
8534 [기타경제] 세계 선진국 1인당GDP (2019년 명목기준) (63) 스크레치 02-04 8486
8533 [전기/전자] 영화 82편 1초 전송...삼성, 초고속 D램 '플래시볼트… (21) 스크레치 02-04 5083
8532 [잡담] . (17) 티유 02-03 10103
8531 [잡담] LG화학, 지난해 배터리부문 영업손 4543억…적자전환 (11) 티유 02-03 5651
8530 [기타경제] 2020년 1월 수출입동향 (6) 귀요미지훈 02-02 3595
8529 [기타경제] . (19) darkbryan 02-01 10657
8528 [잡담] SK하이닉스 지난해 영업이익 2.7조…87% 급감 (32) 티유 02-01 4469
8527 [과학/기술] 삼성 5G 점유율 다시 4위로 (42) 통도판타지 02-01 8348
8526 [자동차] 테슬라,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공식 인정 (6) BTJIMIN 01-31 6425
8525 [기타경제] 에어버스, 미·영·프 검찰에 4조6000억원 벌금 합의 (5) 귀요미지훈 01-31 2926
8524 [기타경제] 미국, 2019년 성장률 발표 & 연준의 29일 금리정책 (3) 귀요미지훈 01-31 1951
8523 [주식] 코스피 과연 어디까지 내려갈까? (18) 9timez 01-30 3655
8522 [재테크] 달러 매각? 보유? (8) 기름쟁이 01-30 2823
8521 [전기/전자] [단독]LG 日제치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세계 1위 (47) 스크레치 01-30 8541
8520 [기타경제] 영국, 5G 장비에 중국 화웨이 일부 허용키로 (32) 귀요미지훈 01-29 4905
8519 [자동차] 작년 전기버스 판매량 551대...중국車 점유율 23%로 하락 (3) 너를나를 01-29 2637
8518 [기타경제] 한화그룹, 방산사업 매출 5조원 돌파 (6) 귀요미지훈 01-29 3729
8517 [자동차] 2019년 브랜드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5) 귀요미지훈 01-29 2308
8516 [자동차] 기아차, 유럽시장서 첫 50만대 돌파 (12) 귀요미지훈 01-29 1697
8515 [자동차] 현대차, 3월 인도네시아 공장 착공 (11) 귀요미지훈 01-29 2198
8514 [전기/전자] 삼성 세계최초 2번접는 폴더블폰 출시 전망 (36) 스크레치 01-28 10535
8513 [기타경제] 2019년 1인당 GDP 31,791달러(추정), 감소요인들 (44) 귀요미지훈 01-28 5932
8512 [기타경제] 국제관광도시에 부산..강릉·전주·목포·안동, 지역관광… (3) 너를나를 01-28 2719
8511 [기타경제] . (9) 귀요미지훈 01-28 4762
8510 [기타경제] . (2) 귀요미지훈 01-28 1554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