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11-08 10:14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글쓴이 : 보미왔니
조회 : 2,998  

(1) 세계경제포럼 : 국가경쟁력 순위 작년보다 2단계 오른 13위

여러분이 잘 아시듯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해마다 세계 각국의 국가경쟁력을 측정해 그 순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통계, 그리고 기업 CEO 대상 설문조사 등에 기초해 그 순위를 매긴하고 합니다.
지난 10월에 발표된 올해의 국가경쟁력 순위를 보면 한국이 지난해보다 2단계 오른 13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보수언론들은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리 경제가 거의 궤멸 직전의 위험한 상태에 빠진 듯 난리를 떱니다.
그런데 세계경제포럼에서 작성한 국가경쟁력 순위는 계속 상승해 왔습니다.
2017년 17위, 2018년 15위였던 것이 2019년에는 13위로 상승해 왔으니까요.
그렇다면 세계경제포럼은 현실을 전혀 모르는 바보들의 집단이라는 말인가요?

(2) 스탠더드앤드푸어사(S&P) :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국제 신용평가사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기존과 같이 AA로 평가했습니다.
그 근거로 최근의 한국 경제 성장세가 다른 고소득국가보다 탄탄하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보수언론은 우리나라 성장률이 2% 아래로 떨어지게 생겼다고 난리를 떠는데, S&P사는 왜 그런 말을 하고 있을까요?

궁금하게 생각되면 Economist지에 실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한 번 읽어 보세요.
2019년 전망치를 보면 미국 2.2%, 일본 1.0%, 영국 1.1%, 캐나다 1.6%, 유로지역 1.3%입니다.
우리가 세계 최강 경제대국이라고 생각하는 독일은 불과 0.5%에 지나지 않구요.

우리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동아시아의 네 마리 용도 비슷한 처지입니다.
홍콩 0.5%, 싱가포르 0.7%의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니까요.
예외적으로 타이완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것도 불과 2.4%에 지나지 않습니다.
현 정부의 경제정책이 성공적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2% 내외의 성장률을 갖고 너무 심하게 시비를 거는 건 볼성사나운 일입니다.

(3) New York 시장 :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5년물) 27bp로
2008년 이래 최저수준


어제 퇴근길에 라디오 뉴스에서 이 소식을 들었는데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거의 보도가 되지 않았더군요.
CDS 프리미엄이란 어떤 국가가 발행한 채권원금이 상환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를 뜻합니다.
따라서 국가부도의 위험이 클수록 이 프리미엄이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기 마련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한국의 프리미엄은 무려 669bp나 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다가 최근 27bp라는 최저치를 기록하게 된 것입니다.
그만큼 우리 경제에 대한 해외신인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하는데, 국내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한국경제의 기초체력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셈입니다.

(4) 세계은행(World Bank) : 한국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

세계은행이 발행한 “2020년 기업환경평가”에서 평가 대상이 된 190개국 중 우리나라가 5위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10년 16위이던 것이 2014년 5위로 올랐고, 그 뒤 계속 5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기업하는 사람의 천국처럼 자주 인용되는 미국이 6위, 독일 22위 그리고 일본이 29위입니다.




일본 진짜 망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눈팅중 19-11-08 18:49
   
지정학적 불리함이 긍정적인 요소에서 -를 추가하는 것으로 작용 합니다.
북한 리스크를 제거하면 신용도는 트리플A- 까지도 가능했을 나라입니다.
그 신용도를 기초로 더 가치가 있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을 나라인데.
아쉽고 안타까운 일입니다.
개 거지같은 주변국들로 인해 날개를 제대로 펴 본일이 없으니
멀리뛰기 21-01-02 18:10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12 08:30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멋진글~
 
 
Total 16,5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085
8522 [전기/전자] [단독] LG전자, 세계 최대 170인치 ‘마이크로 LED TV’ 첫 … (9) 스크레치 08-16 3007
8521 [기타경제] 한국 차량용 반도체 살리자, SK의 통큰 투자 (8) 굿잡스 03-03 3007
8520 [전기/전자] 75인치 이상 TV 韓 시장점유율 93%…'초대형=삼성전자&#… (6) 스크레치 03-11 3006
8519 [과학/기술] 방사성 폐수 속 세슘만 제거…화학적 미세 수중로봇 개… (10) 진구와삼숙 06-19 3006
8518 [전기/전자] 삼성,구글전용 엑시노스 칩셋 개발 (5) 스크레치 04-10 3006
8517 [전기/전자] 동부하이텍 아쉽네요 (10) 식후산책 01-25 3006
8516 [전기/전자] LG롤러블 무단도용한 中 업체 "부적절했다" 결국 사과 (11) 스크레치 02-09 3006
8515 [기타경제] 10월 외환보유액 12억 4천만 달러↓... 석 달째 감소 (4) VㅏJㅏZㅣ 11-03 3006
8514 [기타경제] 韓조선, 올 수주 中제치고 7년 만에 '세계 1위' 확… (12) 귀요미지훈 12-10 3005
8513 [과학/기술] 굴착기도 전기차 시대'...호룡, 국내 최초 전기 굴착… (9) 진구와삼숙 10-15 3005
8512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일본 1인당GDP (IMF최신) (3) 스크레치 04-22 3005
8511 [전기/전자] 삼성 中화웨이 칩셋 생산 루머 (5나노) (5) 스크레치 03-22 3004
8510 [기타경제] 아시아에 K편의점이 뜬다…한류 타고 이마트24도 '진… (5) 스크레치 06-23 3004
8509 [잡담] 토왜가 일본을 똑 베끼려는 소름 돋는 이유.. (3) 도다리 01-03 3004
8508 [전기/전자] 세계최초 5G, 도쿄올림픽이 배워간다 (3) 스크레치 02-11 3003
8507 [자동차] 2020년 전기차 배터리 진정한 경쟁이 시작된다 (8) 꿈결 11-25 3003
8506 [전기/전자] EUV 다음은 GAA…삼성전자 비메모리도 '초격차' (4) 스크레치 01-25 3003
8505 [부동산] "평형 무관 전셋값 1억"..입주 폭탄 '영종도의 혼란 (6) 가민수 05-09 3003
8504 [기타경제] “Jap 코로나 긴급사태 연장에 경제손실 516조원” (8) 굿잡스 05-28 3003
8503 [전기/전자] 일본은 왜 외산 가전의 무덤이 됐나 (10) 꼬마와팻맨 04-15 3003
8502 [전기/전자] TSMC 회장 "일본 생산비용 매우 비싸다..여러 번 시찰 (8) 꼬마와팻맨 07-27 3003
8501 제주산 수산물 일본·미국·중국 수출 '활발' (3) 스쿨즈건0 04-23 3002
8500 [기타경제] '파국' 택한 아베 폭주, 왜?…호사카 유지 교수. (3) 스쿨즈건0 08-03 3002
8499 국가 경쟁 구도로 비화하는 OLED 기술 경쟁...독·중·일 뭉… (3) 스크레치 04-04 3001
8498 [기타경제] 미국·유럽서 공개된 갤폴드..왜 미국서만 '딴지' … (14) 굿잡스 04-22 300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