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1-15 16:35
[기타경제] 수출물가 4개월만에 반등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2,467  

0.JPG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11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는 97.54으로 전월대비 0.8% 상승

수출물가가 지난해 9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지난해 12월 반등에 성공

원·달러 환율을 보면 지난해 11월 평균 1167.45원이었던 것이 지난해 12월 1175.84원으로 0.7% 상승

환율 효과를 제외한 계약통화기준 지난해 12월 수출물가가 전월대비 0.1% 상승.

세부 품목별로 보면 장기간 하락세를 지속하던 반도체의 수출물가가 반등. 

지난해 12월 D램은 0.6%, 플래시메모리 0.9% 상승


지난해 12월 수입물가지수는 108.84로 한 달 전보다 1.6% 상승
한은은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봤다.


--------------------------------------------------------



3개월만에 수출물가지수가 0.8% 상승했는데

가장 큰 원인으로 0.7% 상승한 원달러 환율을 꼽고 있네요.

긍정적인 점은 환율효과를 제외하더라도 0.1% 상승했다는 점이 될 듯 합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반도체 수출물가인데 

D램 0.6%, 플래시메모리 0.9% 상승했다고 하는데

이게 반도체시황 호전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역시 환율효과라고 분석이 됩니다.

왜냐하면 계약통화기준으로는 수출물가가 전달(11월)대비 소폭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가격이 얼른 회복이 되어야겠습니다.



최근에 더 중요해진 점은 유가입니다.

최근 미국-이란 사태와 OPEC의 감산노력이 계속되면서

원유가격이 상승세라는 점이 수출물가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가 되겠습니다.

유가가 어느 정도 선까지 오를 경우엔 전반적인 수출물가지수의 상승과

석유화학제품 수출가격 상승, 철강 및 조선업 수요증가로 

리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오는데 

그 이상으로 오를 경우 역효과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 것이냐...는 분도 계실 것 같아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설명을 곁들였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수출입물가지수?>

우리가 흔히 소비하는 생필품과 서비스의 물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소비자물가지수가 있고
그 반대로 생산자입장에서 생산물의 물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생산자물가지수가 있듯이
수출입에도 수출입상품의 가격변화가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수출입상품의 원가변동을 통해
교역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출입물가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수출입 각각 약 200여개 품목의 가격변동을 통해 측정합니다.


<수출입물가지수 표시통화>

1. 원화기준
2. 계약통화기준
3. 달러기준

위 3가지인데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원화기준' 표시가 일반적입니다. 
기사 등에서 언급하는 것도 '원화기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원달러 환율에 따라 변동이 생깁니다.
환율변동을 제외한 수출입물가의 변동을 알기 위해 수출입 계약시 정한 결재통화를 기준으로 한 
'계약통화기준' 수출입물가지수를 보조지표로서 따로 언급하기도 합니다.
계약시 달러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계약통화기준'과 '달러기준' 수출입물가지수는
거의 쌍둥이처럼 같이 움직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수출입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환율
2. 원자재 가격

위에 설명드렸듯이 보통 '원화기준'을 쓰기에 환율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로 환산한 수출물가지수도 상승합니다.
그리고 보통 원자재를 수입한 후 국내에서 가공하여 수출을 하기때문에 원유 등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경우에도 수출상품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어 수출물가지수가 상승합니다.
환율과 원자재가격이 동시에 움직일 경우, 예를 들어 유가는 내렸는데 환율이 오른 경우엔
유가하락으로 수입물가가 하락해야 하지만 환율이 더 많이 올랐다면(즉, 원화가치가 더 많이 내렸다면)
수입물가지수가 오히려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0-01-15 16:37
   
할게없음 20-01-15 18:14
   
정말 깔끔한 정리네요 잘읽었습니다
     
귀요미지훈 20-01-15 19:51
   
감사합니다.
draw 20-01-15 18:28
   
잘보고 있습니다
     
귀요미지훈 20-01-15 19:52
   
감사합니다
fymm 20-01-16 02:09
   
멀리뛰기 21-01-02 18:22
   
[기타경제] 수출물가 4개월만에 반등 감사^^
멀리뛰기 21-01-12 08:40
   
[기타경제] 수출물가 4개월만에 반등 잘 읽었어요~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40
8490 [자동차] 현대차 소식 - 터키, 알제리 (4) 귀요미지훈 01-22 4187
8489 [기타경제] 2019년 성장률...한국, 미국, 스페인, 독일, 중국 (31) 귀요미지훈 01-22 4471
8488 [전기/전자] 日 도쿄일렉트론 평택에 신규공장 준공…고객사 옆 밀착… (35) 스크레치 01-21 7572
8487 [기타경제] "500억 잡아라"…국제관광도시 선정 놓고 '부산 vs 인… (3) 너를나를 01-21 3688
8486 [전기/전자] 日,韓 '탈일본' 가속..."잠자는 사자의 콧털 건드… (17) 스크레치 01-21 5528
8485 [부동산] 수출규제에 이어 일본이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며 스케일… (6) 경상도마미 01-21 2613
8484 [과학/기술] SK머티리얼즈도 상반기 중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 (19) 귀요미지훈 01-21 2827
8483 [기타경제] 종양) 한국경제 ‘J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6) 너를나를 01-21 3638
8482 [기타경제] 일본경제실상과 도발배경 (2) 냥냥뇽뇽 01-21 2664
8481 [잡담] 재계 1세대와 일본과의 인연 (3) mymiky 01-21 1768
8480 [기타경제] POSCO가 포기한 인도제철소, 인도 철강사 품으로 간 사연 (13) 귀요미지훈 01-21 3885
8479 [기타경제] 2019년 ICT 수출입 결과 (6) 귀요미지훈 01-21 1694
8478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석유수송선박 5척, 해양플랜트 2기 수주 (5) 귀요미지훈 01-21 1487
8477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 현황 (2019년) (24) 스크레치 01-21 3185
8476 [전기/전자] 전세계 반도체 기업 수익 순위 1987 - 2017 (4) 유랑선비 01-21 3354
8475 [전기/전자] 韓 솔브레인 ‘99.9999999999%’ 불산 생산 (51) 스크레치 01-19 11532
8474 [부동산] 9억 초과 주택...내일부터 전세대출 막힌다 ~ (22) 별찌 01-19 4245
8473 [전기/전자] 日 JDI의 몰락, 우리는 괜찮을까 (25) 스크레치 01-19 7583
8472 [과학/기술] 한국의 우월한 초격차 기술력에 전세계 모든 기업들이 … (3) 경상도마미 01-19 6270
8471 [잡담] 일베.일뽕 뻑갈 엔화실상 (7) 도다리 01-19 5072
8470 [잡담] 한국의 심각한 고령화 저출산 문제 중국과 비교. (18) someak 01-18 3601
8469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현황 (2019년) (9) 스크레치 01-18 5539
8468 [기타경제] 韓조선 3년 연속 세계1위 노린다...반도체처럼 LNG船도 … (23) 스크레치 01-18 3469
8467 [기타경제] 日불매가 햇반 0.1% 원료 바꿨다 (23) 스크레치 01-18 4170
8466 [전기/전자] 삼성 "마이크로 LED TV 300만원대에 내놓을 것" (25) 스크레치 01-18 3369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