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7-03 15:49
[잡담] [단독]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슈퍼을'?…엔비디아 이어 MS·아마존 줄섰다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2,995  

글로벌 거대 빅테크 기업들이 SK하이닉스에 5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인 HBM3E 샘플을 요청, 사실상 선주문에 나섰다. 앞서 다량의 샘플을 요청한 엔비디아에 이어 고객사 요청이 쏟아지면서 SK하이닉스는 'HBM3E' 올인 모드다. AI(인공지능)열풍으로 HBM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슈퍼 을' 지위를 공고히하고, 그룹 실적부진 회복의 실마리를 찾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3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줄줄이 SK하이닉스에 HBM3E 샘플을 요청했다. AMD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이 포함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고객사들이 자사 GPU 등 반도체 칩이나 클라우드 시스템과 메모리 반도체 간의 호환성을 인증하기 위해 진행하는 샘플 요청은 발주 전 필수적인 과정이다. 제품의 수율이 대량 양산을 할 만큼 안정적으로 올라왔다는 것을 시사해, 납품 전 최종 단계로 여겨진다. HBM3E는 현존 최고 사양인 4세대 HBM 'HBM3'의 다음 세대 제품이다. 현재 HBM3를 대량 양산하는 곳은 전세계에서 SK하이닉스가 유일하다.

SK하이닉스는 쏟아지는 고객사들의 HBM3E 샘플 요청에 분주한 모습이다. 먼저 샘플을 요청한 엔비디아 물량을 맞추기도 빠듯하다. 이번 샘플 요청 고객사들은 올 연말에나 받아볼 수 있다. GPU(그래픽처리장치) 1위 기업인 엔비디아는 기존에 SK하이닉스의 HBM3를 공급받아 왔는데, 연이어 HBM3E 샘플을 요청했다. 거대 빅테크 기업들이 SK하이닉스 샘플을 목빼고 기다린다.

HBM3E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물량도 크게 늘렸다. SK하이닉스는 최근 업계 최선단 미세공정인 10나노급 5세대(1b)기술을 활용한 내년도 제품 생산량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대부분이 HBM3E로 채워질 예정이다.


현재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의 40%가량이 HBM에서 나오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메모리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하지 않느냐"며 "그야말로 HBM 올인"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에 HBM3E 샘플을 요청한 기업들은 모두 AI 산업 '큰 손'이다. AMD는 엔비디아와 함께 GPU 시장을 이끌고 있다. GPU는 챗GPT 등 생성형 AI의 두뇌 역할을 한다. GPU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선 고성능·고용량 메모리인 HBM이 꼭 필요한데, GPU 시장을 양분하는 엔비디아와 AMD 모두 SK하이닉스에 손을 내밀었다.


 MI300X는 엔비디아가 지난해 말 출시한 최신 플래그십 GPU H100보다 2.4배 더 많은 HBM을 탑재한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서비스 양대 산맥이다.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50%가 넘는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은 생존 전략으로 생성형 AI 기술 도입을 꼽고, 최근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다. 아마존이 운영하는 전세계 1위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AWS(아마존웹서비스)는 최근 생성 AI 혁신센터 설립에 1억달러를 투자했고, 마이크로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는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와 손잡고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엔비디아 GPU를 탑재한 AI 서버와 자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개발 중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 등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이 현재 HBM 수요 증가의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https://v.daum.net/v/2023070315204303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푸른마나 23-07-04 04:37
   
현재는 하이닉스가 삼성보다 조금 더 성능이 뛰어나다고 하던데...
확실히 반도체는 조금이라도 더 뛰어난 성늘을 내는 업체에 모든 자본이 몰리는 상황이네요...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074
8480 [잡담] 일본 제3국 중재 위원회 제의 (46) 자비스05 07-16 2998
8479 [기타경제] 韓이 만든 UAE 원전 1호기..상업운전 시작했다 (1) 스크레치 04-09 2998
8478 [잡담] "김치도 그러더니 중국이 또"…韓 산후조리원 베껴 해외 … (1) 욜로족 05-06 2998
8477 제2롯데 vs 현대차 GBC…지상 500미터 최고층 마천루의 전… (4) 스크레치 02-10 2997
8476 [전기/전자] 日 PC업계, '韓메모리·LCD 대체' 검토했었다 (5) 스쿨즈건0 02-14 2997
8475 [전기/전자] 세계 프리미엄 TV 2대 중 1대 '메이드 바이 삼성' (10) 스크레치 03-22 2997
8474 [전기/전자] [단독]美 IT공룡들 日 수출규제 직후 삼성전자 찾았다 (11) 스크레치 07-17 2997
8473 [기타경제] 심심해서 조선업 관련 글 씁니다. (55) 나야나2222 08-22 2997
8472 [전기/전자] 자체설계 'M1'칩 탑재한 애플..반도체 산업의 '… (7) 스크레치 05-05 2997
8471 폴크스바겐, 중국서 아우디 68만대 리콜. (3) 스쿨즈건0 03-07 2996
8470 [전기/전자] 中 ‘배터리 몽니’…삼성·LG·SK, 보조금 또 고배 (10) 스쿨즈건0 03-17 2996
8469 [전기/전자] 한국인은 카드 긁고 중국인은 스마트폰 꺼내 든다, 명동 … (9) 스쿨즈건0 08-22 2996
8468 [전기/전자] LG화학 日파나소닉 제치고 테슬라 최대 공급자 올라 (8) 스크레치 03-27 2996
8467 [잡담] [단독]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슈퍼을'?…엔비디아 … (1) 강남토박이 07-03 2996
8466 심상정이랑 유승민 이야기로 이야기하다가 (8) 수나이퍼 05-13 2995
8465 中겨냥 美수입규제, 한국이 최대 피해자. (6) 스쿨즈건0 08-09 2995
8464 ‘사드보복’에 한국기업들 잇단 백기, 한국기업들 ‘재… (6) 스쿨즈건0 09-15 2995
8463 [전기/전자] LG, 글로벌 텔레매틱스 시장 1위..하만은 3위 (5) 스크레치 07-06 2995
8462 [자동차] 일본車 8월 판매 57%↓…8년 만에 '최저' (11) 스크레치 09-05 2995
8461 [전기/전자] 벤츠보다 비싼 TV … ‘억대 TV’시대 (7) 스크레치 05-03 2994
8460 [전기/전자] 마이크로소프트도 ‘화웨이 제재’ 가세...화웨이 노트… (4) 스크레치 05-24 2994
8459 [기타경제] 美, 자국기업 중국 자본투자 차단 검토 (8) 귀요미지훈 09-28 2994
8458 [전기/전자] 삼성, EUV 시스템반도체용 3D 패키징 기술 첫 개발 (1) totos 08-14 2994
8457 [전기/전자] (악재)러시아 반도체 원자재 금수조치 (6) 폭커 06-30 2994
8456 [금융] 흥국생명 5억달러 조기상환 불발에…채권시장 불안 ‘일… (6) 가민수 11-03 2994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