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5-26 22:05
[잡담] 반도체 지분 대만이 한국보다 높다?
 글쓴이 : 멍때린법사
조회 : 2,078  


그래도 댓글보니 너무 TSMC를 무시하는 듯한 느낌이..
어째거나 반도체란 산업에서 지분으로 따질때 대만이 20%이고..
한국이 15%..라고 누가 그러던 것으로 미국이 55%라나.. 나머지 유럽 일본 .. 등등

우리는 대만을 무시하고 싶으나.. 대만이 그렇다네요. 반도체 시장 규모가 아니라
전체 반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네임밸류나 기술.. 업계에서 가진 영향력등이 삼성등 한국보다 더 높다고..


어디서 본 글인데.. 정확히 어디서 본것인지 기억도 안나고 찾지도 못하겠네요.
관심있는 분들중에.. 이 반도체 업계 지분에대해 알거나 보신분 계실 것이라 생각해서 일단 적어 봅니다.


정확하게 대만이 20%고 한국이 15%라고 주장하더군요. 
뭐 그렇다고 그 양반의 주장이 맞다!! 그런 것은 아니고 너무 대만을 아래로 볼 이유는 없어 보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서클포스 21-05-26 22:09
   
TSMC 는 정확하게 위탁 생산 업체 입니다..

이 말 뜻을 정확하게 이해를 하셔야 지분이고 뭐시고 이해를 하는 겁니다..

즉 미국 기업이 반도체를 설계를 해서 이대로 만들어 주세요 하고 넘기면

TSMC 가  미세 공정 10나노 7나노  그리고 20나노 이런식으로 제조를 해서 위탁 받은걸 넘겨 주는 구조 입니다..

이 위탁 생산 분양서 TSMC 가 그 동안 반 독점 비슷하게 50프로 점유를 하고 있었습니다..

즉 미국 기업이 설계를 해주면 대만이 그걸 받아서 생산만 해주는 이런 구조가 정립되어 있었는데..

삼성이 이 사업 분야에 뛰어들었져.. 정확하게는 삼성 파운드리 입니다.. 즉 위탁 생산 분야..

TSMC 와 삼성이 경쟁 하는 분야는 반도체 전체 분야가 아니라.. 이 위탁 생산 분야 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TSMC 가  지금껏 계속 1위를 유지 해온것이고.. 삼성은 뒷늦게 최근에 뛰어든 것이져...

지금은 후발주자인 삼성과 TSMC 를 비교 하는 것 보다 차후 발전 가능성을 비교 해야 되는 것이져..
서클포스 21-05-26 22:14
   
이 위탁 생산 분야 즉 시스템 반도체 위탁 생산 분야와

삼성은 반도체의 다른 분야 즉 메모리 반도체 도 설계 에서 생산 까지 메모리 반도체를  설계 생산 다하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인 비메모리 분야 모바일 AP 프로세스인 엑시노스 ( 컴퓨터로 치면 통신모뎀+CPU+GPU그래픽 처리)  까지 하는 칩을 설계 해서
제조 까지 하고 있져..

다만 TSMC가 위탁 생산만 하는 업체지만 이 분야에서는 점유율이 높습니다..

이런 걸  전체 반도체 점유율로 뭉뚱 거려서 비교하는  방식은 잘못 된거 즉


TSMC 는  반도체 위탁 제조 말고는 다른 반도체는 전혀 못하는 기업인데.. 이걸로 전체 반도체 지분으로 계산
을 하면 안되는 것이져 ㅎㅎ
     
멍때린법사 21-05-26 22:18
   
단순히 설계 넘겨주고 끝이면.. 양산기술이 전부이게요..
전문가가 아니라 모르겠으나.. TSMC의 장점중에는 삼성이 현재로선 할수없고 따라갈 수 없는
산업계 협력 가치와 기술, 역활및 규모나 인력등 여러면에서 잘하고 있다고 그런 것으로...


그리고 적을 쓸데없이 무시해서 우리에게 득이될 것은 없습니다.
          
소피아 21-05-26 23:37
   
알려줘도 못 들은 척ㅋㅋㅋ 대만을 사랑하는 화교 발견~~
          
PTYPTY 21-05-26 23:41
   
적을 쓸데없이 무시해서 득될것 없는건 우리나라 반도체ㅡ업계의 임원진 및 관련직종 기술자 , 학계 인재면 충분하고요
대만 ,미국 , 중국에 대항하여 반도체 시장에서의 위상을 유지-향상시키려는 산학연의
인식은 매우 일치하며 충분히 경계하고있습니다.

여기서 커뮤니티질 하고있는 대부분의 사람은 삼성 및 우리나라 기업 응원하는게 최선입니다.

그쪽조차 전문가가 아니신데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해 억측하시며 일반화하는 경향이 다분하네요.
          
밀덕달봉 21-05-27 00:52
   
반대임.
삼성은 액시노트등 시스템 반도체 개발하고 투자하고 잇으니, 외주를 안주는 겁니다.
삼성이 tsmc보다 능력이 뛰어나니, 경쟁자로 등극할까봐 만만한 tsmc에 물량주고 삼성을 일부러 그동안 등한시 해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디비아가 왜 삼성을 택했느냐?
삼성의 주특기는 엄청난 수율로 엄청난 물량을 정교하게 뽑아내는 겁니다.
이분야에선 tsmc가 따라오질 못하니 수주물량을 엄청나게 물고 있으면서 소화를 못시키는 겁니다.
삼성은 일감을 주면 이걸 소화시킬 능력이 잇고, tsmc는 없습니다.
이게 반도체 분야의 가장 중요한 기술력 차이입니다. 왜냐 결국 비슷한 설계도 가지고 성능이 대동소이하면 그담은 가격 경쟁력인데, 이분야에선 d램등 독식했던 삼성의 노하우를 따라올 수 없습니다.
엔디비아 물량도 결국 이전 제품보다 신기술이 적용됏음에도 절반 가격이하로 더욱 고성능으로 뽑아 냇습니다.
tsmc는 이렇게 못만듭니다.
삼성이 tsmc에 진다고 하는건 tsmc는 애플이나 다른기업에서 설계도 받아와서 제작만 하는거고, 삼성은 단독으로 이분야에 투자하고 도전해서 만든 액시노트가 스냅드래곤에 못 미쳤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거지.
단순 기술만 비교하면 tsmc는 현재 삼성 수율에 발가락의 때만큼도 미치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tsmc는 생산해도 불량률이 높으니, 당연 이를 걸러내고 제품화 시키는 단가 훨 높을 수 밖에 없고, 물량도 삼성을 못따라가고 있습니다.
강남토박이 21-05-26 22:30
   
2019 반도체 기업 매출 점유율

1위 미국 55%
2위 한국 21%
3위 유럽  7%
4위 대만  6%
5위 일본  6%
6위 중국 5%

https://www.design-reuse.com/news/46346/2018-worlwide-ic-company-marketshare-by-headquarters-location.html
     
멍때린법사 21-05-26 23:17
   
그건 단순히 업계 매출지분이구요.... 
불과 얼마전 화웨이의 통신업계 매출규모 얼마인지와 기술등을 놓고 볼때..
업계사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 불가능한 매출 만큼의 압도적 그런 기업은 아니란 것.
하지만 그대로 두면 위협적이져.. 그래서 미국이 늦기전에 손을 쓴것이고..

그렇다고 대체가 가능하냐 아니냐 또는 전장산업이냐 같은 기업의 기술적 가치 평가가
전부도 아니겠지만 기업평가에서.. 매출이 업계에서 차지하는 지분의 전부는 절대 아니란 것.

혹은 최근 중국의 CATL 기업이 베터리 업계에서 차지하는 글로벌 매출 규모와
기술적 위치 산업체서 차지하는 영향력을 놓고보면.. 특혜로인한 매출 높은 기업일뿐임..
반도체도 업계 지분에대해 또 다른 내부시각?? 등에선  매출 평가가 전부는 아님.
영ㄱㄴㄷ 21-05-27 00:53
   
재밌네ㅋㅋㅋ 그럼 우리나라에서 위탁받아 생산하는 백신을 양산하면 우리도 백신 선진국인건가?ㅋㅋㅋ 바이오 제약사 레시피 가져다가 위탁생산하고 라벨은 제약사 라벨 붙여도 우리나라 제약 역량이 되는거임?ㅋㅋ tsmc가 퀄컴칩 만들어줘서 거기서 나오는 칩은 퀄컴칩 맞음?ㅋ
세트 21-05-27 01:29
   
때만화교 애잔하네~
과부 21-05-27 10:17
   
예전에 홈쇼핑에서 상품 판매하면 그 매출액을 전부 다 잡아줘서 홈쇼핑 매출액이 몇조 단위가 된적이 있었죠.
매출만 놓고 보면 국내 최상위 대기업...ㅋㅋ
결국은 비슷한거지요.
 
 
Total 1,50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7 [잡담] SK, 일본 중소 반도체기업 인수위한 투자 회사를 설립 축신 05-28 954
706 [잡담] 출산율 높이기 위해 극단적인 대책을? (9) 시골가생 05-28 1454
705 [잡담] [단독] 국민연금·KIC, 美물류펀드 6억弗 공동투자 (2) 축신 05-27 1372
704 [잡담] 반도체 대만 20% 한국 15% (12) 멍때린법사 05-27 3880
703 [잡담] 21년 1분기 낸드플래시 점유율 (1) 강남토박이 05-26 1077
702 [잡담] 세계 반도체기업 1분기 매출 TOP15 (1) 강남토박이 05-26 1388
701 [잡담] 반도체 지분 대만이 한국보다 높다? (11) 멍때린법사 05-26 2079
700 [잡담] 일본이 지금까지 투입한 올림픽 관련 비용이 정말 25조원… (2) 이미존재하 05-26 1215
699 [잡담] 포스코 올해 영업이익 6조 4805억원 전망 (6) 강남토박이 05-25 1883
698 [잡담] 파운드리 분기별 점유율 현황 (5) 강남토박이 05-24 1764
697 [잡담] 파운드리 시장의 치킨런의 시초라고 생각합니다. (9) 달과육팬티 05-24 2128
696 [잡담] 닛산 화학이 한국에서 반도체 재료 생산 공장을 건설 (6) 강남토박이 05-24 2843
695 [잡담] 1분기 DRAM 점유율 (5) 강남토박이 05-24 1883
694 [잡담] 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시설설비투자액 축신 05-24 967
693 [잡담] 삼성전자-TSMC 설비투자액 전체 반도체기업의 43% 축신 05-23 1249
692 [잡담] 반도체 기업 순위 변화 (6) 강남토박이 05-23 2117
691 [잡담] 배터리는 미국에 굴복해서 넘겼네... (26) 미친파리 05-23 2560
690 [잡담] 미 상무부 "한국 기업 요구사항 적극 지원할 것. 실망시… (3) 호연 05-22 3702
689 [잡담] 삼성 파운드리 애플 수주? (7) 축신 05-21 1687
688 [잡담] 4월 유럽 자동차 시장 제조사별 판매량 (3) 강남토박이 05-20 953
687 [잡담] 코스피, 1Q 영업익 131.73%↑…"질적 성장국면 진입" (2) 축신 05-20 654
686 [잡담] 매그나칩 국내에 5천억 투자 (2) 축신 05-20 974
685 [잡담] 국내 반도체 장비기업 1위 세메스 1분기 실적 (3) 축신 05-19 2975
684 [잡담] 100대 기업 1분기 영업이익 34조원, 작년 동기대비 3.8배 늘… (1) 축신 05-19 1200
683 [잡담] 이제는 태양광발전소 할만하지 않을까요? (9) 므흣합니다 05-19 1359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