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3-18 22:03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6년)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6,684  

<2016년 세계 국부순위 TOP 10> 




1위 미국 (선진국) (84조 7840억 달러)


2위 일본 (선진국) (24조 700억 달러)


3위 중국 (개발도상국) (23조 3930억 달러)


4위 영국 (선진국) (14조 1510억 달러)


5위 독일 (선진국) (12조 4190억 달러)


6위 프랑스 (선진국) (11조 8910억 달러)


7위 이탈리아 (선진국) (9조 9730억 달러)


8위 캐나다 (선진국) (7조 5640억 달러)


9위 호주 (선진국) (6조 4280억 달러)


10위 대한민국 (선진국) (6조 2780억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0즐기자0 17-03-18 22:30
   
중국제외 9위까지는 선진국에 오랬동안 있었기 때문에 국부는 많이 쌓엿을것임...

우리나라는 신생 선진국이라서 아직 쌓아놓은 국부가 많지않은게 당연함....
     
스크레치 17-03-18 22:32
   
전 세계10위 한것도 대단하다고 봅니다.
주빡 17-03-18 22:54
   
근데 GDP도 아닌 국부란게 정확히 뭡니까? 개념을 모르겠음. 부동산 같은건가..
     
스크레치 17-03-18 23:00
   
한나라의 특정 재생산 가능한 유형재산의 집합체를 일정시점에 화폐가치로 나타낸

그나라의 부
          
니꼬치다 17-03-18 23:31
   
해외자산은 제외한건가요?
               
주빡 17-03-18 23:48
   
일본이 저렇게 높은거 보니 해외자산 포함된 거 같아요. 아님 말구
                    
abcd2014 17-03-19 17:03
   
걍 재미로 보는 순위죠

한예로 일본은 엄청난 부채와 재정 여력에 허덕이는데
왜냐면 저 국부란게 현금화 할 수도 없는 자산이기 때문이죠..민간의 기업설비등이라서
     
서울뺀질이 17-03-19 00:22
   
National (net) wealth, also net wealth (in Singapore), national net worth, gross national wealth (GNW), and total national wealth, is the total sum value of monetary assets minus liabilities of a given nation. It refers to the total value of wealth possessed by the citizens of a nation at a set point in time.[1]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wealth

위키피디아의 정의에 의하면  어떤 한국가가 소유한 총 금융자산에서 부채를 뺀 총합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정의는  일정 시점에서 한 국가의 국민이 보유하고 있는 부의 총가치라고 나옵니다. 이 정의가 맞을 겁니다.  왜냐하면 발제자 분이 쓴  2016년  세계국부 순위가  위 링크에 나옵니다.


 This figure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a nation's ability to take on debt and sustain spending, and is influenced by not only real estate prices, but also by the stock market, human resources, technological advancements which may create new assets or render others worthless, national infrastructure and exchange rates.

이 국부 수치는 한 나라가 부채를 부담하면서 지출을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의 중요한 지표이고  부동산 가격뿐만 아니라 주가 , 인적자원, 기술 발전, 국가의 기반 시설 그리고 환율에 영향을 받는다고  나옵니다.
          
주빡 17-03-19 01:54
   
와우 그렇다면 일본은 그많은 부채에도 불구하고 2위라는 소리군요.
해외자산이 어마어마하다는 소리네요. 역시 부자는 망해도 3대를 가는군
               
서울뺀질이 17-03-19 02:43
   
일본은 60년대 부터 해서 쭈욱  돈을 벌어서 해외 투자를 해서 부가 엄청 쌓인 겁니다. 규모 면에서는  한국하고는 비교 불가임.  한국이 벼락 부자 라면  일본은  재산을  몇세대를 물려 받은 재벌 정도 입니다.  일본은 이미 기반이 잡혀 잇는 상태에서 돈을 번 거고  한국 맨땅에 헤딩하면서 이정도 번 겁니다.  둘다 대단하죠.

하지만 한국이 일본 수준의 국부를 쌓으려면 엄청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이전 처럼 고도 성장은 이미 끝났으니까요.  히든 카드는 북한과의 평화 통일 정도.

짱개는 지덜 실력이 아니라  미국의 다국적 기업을 위시한 여러 기업들이 투자한 덕을 본 겁니다.  게다가  본국으로의  송금을 제한하고  공장도 함부로 철수 못하게 해서 거의 강제로 뺏다 시피 해서 만든 겁니다.    이제는  중국에 미친척하고  몰빵하는 투자는 없을 겁니다. 

순전히 지덜 실력으로 국부을 늘려야 하는데 이게 이제는 쉽지 않죠.  돈이 들어 오기는 상대적으로 쉬워도 그걸 관리하는게 더 어렵습니다.  요샌 외환 보유고 때문에 자본 통제를 해서 해외 기업 인수도  못하고 있습니다.
우주정복자 17-03-19 08:01
   
올해는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겠군...
바볼랏 17-03-19 10:33
   
이런 순위는 사실 재미삼아 보는 정도 이상의 의미는 없는것 같습니다.

일본을 예로 들면

아베가 경기부양책으로 일본국민의 예금을 담보로 국채를 찍어내서 연명하고 있는데

2015년 기준 일본의 정부부채는 1053조엔으로

가계대출을 뺀 일본 총예금 1400조엔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국채이자 지출만 전체 예산의 24프로가 넘습니다.

이미 세입보다 세출이 많은구조로 변하여서 빠르게 국가부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정부부채가 총예금에 달했을때 디폴트에 빠지고

실질적으로는 그 전에 디폴트에 빠지게 됩니다.

이때 일본이 자랑하는 국민이 국가 빚을 대부분 떠안는 구조는 재앙이 됩니다.

디폴트에 빠지면 실물자산, 금융자산의 하락은 당연한 수순이고

일본정부가 덕정령을 발효한다면 부채탕감은 할 수 있으나 그에따른 자산감소는 필연적이라서

이러한 국가의 위험도를 빼 놓은 평가는 사실 무의미하다고 봅니다.
kira2881 17-03-19 12:45
   
많이 쫓아왔네요 우리나라. 어느새 10위까지 진입했다니;;;

예전에는 일본하고 넘사벽이었는데 말이죠. 대략 3~4배 차이까지 줄어든거 보니 딱 인구수로 나눈 국부는 얼추 비슷해진거 같습니다.
토미에 17-03-19 14:50
   
한국이 선진국?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드래곤쥐 17-03-19 16:41
   
 ̄ヽ、  _ノ ̄ ̄ ̄ ̄ ̄ ̄ ̄ ̄ ̄ ̄ ̄ ̄ ̄ ̄ ̄ ̄ ̄ ̄ ̄ ̄ ̄ ̄ ̄
    `'ー '´ 
     O
      o
       。 ,. -ー冖'⌒'ー-、
         ,ノ       \   
       / ,r‐へへく⌒'¬、   ヽ
        {ノ へ.._、 ,,/~` 〉 }    ,r=-、
       /プ ̄`y'¨Y´ ̄ヽ--―}j=く    /,ミ=/
     ノ/レ'>-〈_ュ`ー‐'  リ,イ}     〃  /
   / _勺 イ;;∵r;==、、∴'∵; シ    〃 /
  ,/ └' ノ \   こ¨`    ノ{ー--、〃__/
  人__/ー┬ 个-、__,,..  ‐'´ 〃`ァーァー\
. /   |/ |::::::|、       〃/:::::/    ヽ
/   |   |::::::|\、_________/' /:::::/〃
     
kira2881 17-03-19 18:27
   
한국이 선진국이 아니면 뭐임?

설마 개발도상국으로 말하려고 하는건 아니죠?

IMF에서도 2010년경부터 선진국으로 분류하는 나라인데, 설마 아니라고 우길 생각?
          
스크레치 17-03-19 22:00
   
그냥 무시하세요 어차피 의도 뻔한거 다 아시잖아요...

상대해봐야 시간낭비입니다.
               
kira2881 17-03-20 09:01
   
닉네임부터가 진한 쪽국의 냄새가 나는군요 ㅋ
까를 17-03-20 09:45
   
일본따위가 선진국???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뽕쳐먹은 넘들도 솔직히 알잖아... 돈많은거 빼고 일본 개도국수준인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멀리뛰기 21-01-01 21:23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6년)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1:12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6년) 잘 봤습니다.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37
15715 [기타경제] 세계9위 경제대국 韓 (명목기준) (IMF 4월 최신판 기준) (22) 스크레치 05-29 6698
15714 [금융] 다들 아시겟지만. 유럽에서 구제 금융 타결이 실패했습… (6) 오대영 04-08 6697
15713 [잡담] 삼성전자 위엄 ㄷㄷㄷ (3) 강남토박이 11-05 6696
15712 [과학/기술] 현대중공업, 세계 최대 출력 '힘센엔진' 개발 (17) 진구와삼숙 10-09 6695
15711 [전기/전자] 갤럭시폴드 폭발적 인기…삼성닷컴 초기 물량, 10분 안돼… (14) 스크레치 09-06 6694
15710 [기타경제] 日대마도 韓손님 겨냥해 호텔도 새로 열었는데… (15) 스크레치 09-13 6689
15709 [잡담] 2020년 한국 수출 실적 정리 (30) 축신 01-01 6689
15708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6년) (21) 스크레치 03-18 6685
15707 [기타경제] 그리스 물량 싹쓸이 韓 K조선 세계톱 질주 (6) 스크레치 10-12 6685
15706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순위 (2018년) (8) 스크레치 06-10 6681
15705 [전기/전자] 삼성 파운드리 결과물보고 예전에 찬양하던 사람들 다 … (17) 가세요 10-06 6681
15704 [잡담] 영국이 한국 돕겠다? (32) 일반시민 08-23 6672
15703 [전기/전자] "다행히 일본산 부품 사용해줬다"…日, 삼성 마음 바뀔까… (9) 너를나를 09-20 6670
15702 [기타경제] 日은 경고 날리고…"한국 車산업 기반 무너진… (15) 스쿨즈건0 10-03 6670
15701 [잡담]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도 엄청 발전했네요.. (9) 고우진 10-13 6668
15700 [기타경제] 삼성·하이닉스, 미국에 '화웨이 수출' 특별허가 … (22) 스포메니아 09-10 6667
15699 [전기/전자] 中 파운드리 기술력 韓·대만에 5년 뒤처져 (12) 스크레치 09-03 6666
15698 오 1빠다!!! (13) 투바공화국 01-01 6665
15697 [기타경제] '한국은 이미 선진국' "K-방역이 가져온 자부심" (27) 스크레치 05-27 6665
15696 [기타경제] 일본tv,삼성엘지가 코웃음 (4) 냥냥뇽뇽 09-20 6664
15695 [잡담] 내년 대만경제 한국추월... (27) 너겟 12-17 6662
15694 "1통에 7천 원" 中서 날개 돋친 듯 팔리는 한국 우유 (10) 스크레치 04-09 6661
15693 [잡담] 삼성 베트남 3000명 직접고용 연구소 취소 (9) 전북FC 03-30 6661
15692 [기타경제] 선진국 1인당GDP 순위 (2020년) (PPP기준) (IMF최신) (13) 스크레치 05-20 6660
15691 [잡담] 아베가 연설을 하려고 일어서자 UN이 매몰차게 거부 (7) 하루두루 12-02 665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