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2-03 09:23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글쓴이 : 트랙터
조회 : 2,930  

1월 고용지표가 발표되고 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되어 미 증시 지수가 급락을 했습니다.
미 노동부는 이날 1월 비농업부문 취업자수가 20만명 늘었다고 밝혔는데요. 시장전망치 17만500명 증가를 웃도는 상황이라는군요.

실업률 또한 4.1%로 17년내 최저치를 이어갔으며 특히 시간당평균임금은 전년대비로 2.9% 상승했다고 합니다. 이는 2009년 6월 이후 최고치라는 군요.
이에 따라서 임금상승의 가속화로 인플레이션이 촉발된다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아무래도 올 3차례 금리인상 방침이 가속도를 낼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미국시장의 시각은 재정,통화정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실업률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연실업률로 복귀되어 경기부양효과가 약화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결국 장기 실업률을 해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만 일어나게 될 것이라는 거죠.
조금은 더 두고봐야 할 문제 일듯 보입니다.

올해 최저임금 대폭 상승으로 우리 역시 인플레이션 현상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우려와는 달리 년초 환율은 계속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올라가 현재 1086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우리도 미국금리인상에 맞춰 금리인상이 될것인데요.
이런 환율하락과 금리인상으로 경기부담이 가중되는것이 우려됩니다.

트럼프의 강한달러 주장과는 달리 달러는 약세를 지속하고 잇는데요.
이는 정치적 요인이 경제적 요인을 압도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더군요.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겠습니다.
어찌되었든 미국 금리인상이 가속을 받는다면 우리역시 인상속도는 빨라질거 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자의뉴스 18-02-03 12:46
   
한국경제 연구원은 원화강세가 외환위기가 올수있다고 경고.
http://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998

이주열 한은총재 원화강세는 수입물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성장의 내용을 수출뿐 아니라  소비쪽도 관심있게 보고있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2762
멀리뛰기 21-01-02 09:29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3:50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감사^^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65
8234 [전기/전자] 삼성·LG디스플레이, 日과 4세대 OLED 기술 내년 중 개발 완… (7) 스크레치 09-06 2934
8233 [전기/전자] 도시바, 日정부와 담합해 '외국인 투자자 제한' (4) 스크레치 06-11 2934
8232 경제민주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문가분들 계신가요??? (14) 간성이 03-22 2933
8231 [전기/전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코리아’ 아성 지켰다 (5) 스크레치 03-04 2933
8230 [전기/전자] 영국, '엔비디아 ARM 인수' 국가안보 차원에서 조… 키륵키륵 11-17 2933
8229 [기타경제] "백화점 한국인 넘쳐난다" 수퍼엔저에 일본 싹쓸이 (6) 부엉이Z 11-21 2933
8228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11) 스크레치 03-18 2932
8227 [기타경제] 주요 선진 25개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5) 스크레치 06-30 2932
8226 [자동차] 전기차 기술력에 관해서 (18) 루이14 08-03 2932
8225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3) 트랙터 02-03 2931
8224 [기타경제] [주요국] 1인당 육류 소비량, 수산물 소비량 (13) 스크레치 07-14 2931
8223 [기타경제] 일본 3개 월째 수출 감소? (12) 공평 03-18 2931
8222 부동산 뉴스나 구글링 포털의 답변이 곧 정답은 아니다. (2) 김PD 01-23 2930
8221 삼성전자, 꿈의 반도체 M램 내년 상용화 (4) 스크레치 05-25 2930
8220 [기타경제] 노무현의 균형발전 1.0 김경수의 균형발전 2.0 (12) 너를나를 10-04 2930
8219 [자동차] 현대차 파쿠르 로봇 '보스턴 다이나믹스' 주인 물… (4) 푹찍 11-11 2930
8218 [전기/전자] 글로벌파운드리 분할 매각으로 선회.. 삼성전자 반사이… (6) 진구와삼숙 03-11 2929
8217 [잡담] 중국 무섭지 않나요? (18) 알파2021 06-07 2929
8216 [전기/전자]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34조원에 인수 추진 (8) Architect 07-16 2929
8215 3분기 달러대비 원화가치 4.6%↑...2년3개월 만에 최고치 (5) 스테판커리 10-19 2928
8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폰 자동 통역 기술이 세계 … (5) zone 08-24 2928
8213 [기타경제] 월급쟁이들의 전쟁 : 연말정산 (6) 노는언니 12-13 2928
8212 [과학/기술] 한국, 탈석탄화 관련 특허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3) 귀요미지훈 04-26 2927
8211 북한도발에 美방산주 "훨훨"···韓 방산주는 "소외" (3) 스쿨즈건0 09-10 2926
8210 美 국제무역위 "삼성·LG세탁기로 美산업 피해" 판정. (11) 스쿨즈건0 10-07 2926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